도민이 주인공이 돼야 한다.
2020-09-16 14:07
고경란 (Homepage : http://)
02. 기고.hwp ( size : 14.00 KB / download : 5 )

원본 이미지 크기입니다.
‘공공디자인’은 공공 공간뿐 아니라 공공시설, 일부 사적 공간 등을 미적, 기능적으로 디자인하는 일이다. 가로등, 쓰레기통, 가두판매대, 공중전화 박스, 버스 정류장, 자전거 거치대 등은 ‘스트리트 퍼니처’로서 공공시설을 넘어 그 사회의 미적 감각을 보여 주는 디자인 아이콘이기도 하다.
이러한 이유에서 우리 도는 디자인의 공공성을 강화하기 위해 도시디자인담당관 직제를 신설하고 도시의 미적 감각을 높이기 위한 여러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제주도 공공디자인 정책의 궁극적인 목표는 제주에 살고 있는 도민들이 도시의 주인이자 주인공이 돼야 한다는 것이다.
도민의 편의를 위해 이정표를 알기 쉽고 보기 좋게 만들고, 난립하는 간판을 정돈하고, 건물을 보기 좋게 설계해 도시 전체가 아름다워지도록 정책적으로 노력하고 있다.
디자인을 통해 문화의 가치가 곳곳에 스며들게 하려면 지속적인 관심과 일관된 정책이 필요하다.
얼마 전 문화체육관광부에서 공공디자인에 관한 통합형 조례안을 두고 관계기관의 의견을 조회했다. 이에 따라 우리 도에서도 공공디자인 진흥에 관한 조례를 개정 중에 있다. 공공디자인 심의기준과 심의대상을 구체적으로 정해 도내 공공기관, 공기업에서 설치하는 각종 시설물 등은 공공디자인 심의를 받아야 한다.
앞으로 연차적 계획을 통해 제주 문화와 지역특색을 보여주는 통일감 있고 독창적인 표준 형태의 공공디자인 개발을 추진할 계획이다.
나와 ‘함께’ 도시를 살아가는 사람들에 대한 배려와 존중의 마음이 담겨있는 공공디자인으로 ‘사람과 자연이 공존하는 청정제주’의 가치 실현에 최선을 다해 나갈 것이다.
(도시디자인담당관 공공디자인팀장 고경란)

No 제목 이름 날짜
2788 친환경=석유의 감소  ×1 김선준 12-02
2787 "나 하나'쯤이야'" 가 아닌 "나 하나'부터'"  ×1 ×1 양준호 12-01
2786 코로나 19로 인한 환경오염, 무엇이 문제인가  ×1 강연지 11-30
2785 질병치료에 좋은 민간치료법~, 영어 쉽게 정복하는 법~ 유익한 11-30
2784 제주도농아복지관, 권익옹호교육 실시  ×1 제주도농아복지관 11-27
2783 [기고] 안전한 제주시 만들기, 우리 함께 해요  ×1 ×1 이호동 김건 11-26
2782 제주도내 쓰레기로 방치된 오름들 이대로 괜찮은가  ×1 ×1 고동현 11-25
2781 민관이 함께 지켜야할 다중이용실설 비상구  ×1 ×1 남원119센터-김슬기 11-24
2780 대기오염의 심각성과 정부와 개개인의 노력  ×1 강길현(제주대학교 행정학과 11-23
2779 보조 배터리 재활용 된다는 사실을 아시나요!  ×1 고기봉 11-22
2778 (기고)공공장소에서 지켜야 하는 필수 에티켓   ×1 이호동주민센터 김정희 11-19
2777 [독자투고] 코로나19 재확산, 로컬푸드로 이겨내자  ×1 비밀글 임관규 11-18
2776 [기고]농촌에 부는 스타트업 바람을 기대하며  ×1 송민형 11-17
2775 (독자투고) 어울림과 멀어짐으로 계획하는 김장김치 담그기  ×1 유승훈 11-17
2774 [기고]우리 집 안전한 겨울나기 첫 걸음, 주택용소방시설  ×1 양승호 11-14
2773 (기고)고향을 지키는 슬기로운 선택, '고향세'  ×1 임규현 11-12
2772 체육종목별회장선거에대한우려  ×1 김병우 11-12
2771 제2공항 여론조사를 말하다  ×1 오병관 11-09
2770 칼럼 기고 문의  ×1 비밀글 김성일 11-08
2769 비상구는 생명의 문! 절대 막지마세요  ×1 ×1 동부소방서 표선119센터 이정훈 11-08
2768 (독자투고) 농업인의 날! 농업에서 찾은 희망  ×1 유승훈 11-07
2767 조천청소년문화의집‘개관기념 지역 간담회’ 개최  ×2 조천청소년문화의집 11-06
2766 서귀포시노인복지관 치매예방홍사업 일자리를 하면서...  ×2 김원 11-06
2765 서귀포시노인복지관 노인여가활동지원사업 일자리를 하면서....  ×2 임용국 11-06
2764 (기고)농촌의료공백, 공공의료로 다시 접근하자  ×2 임규현 1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