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적 재난과 상담사의 역할 그리고 지역 대학의 사명
2020-08-12 05:00
송재홍 (Homepage : http://)
신종 감염병의 출몰이 잦아지고 예측 불허의 자연재해와 사회적 재난이 빈번하게 발생하면서 사람들의 심리적 불안이 고조되고 정신건강과 심리상담에 대한 관심도 증대하고 있다. 가끔 주변 사람들에게 심리상담을 공부하고 싶으니 적당한 대학원 프로그램을 추천해 달라는 요청을 받을 때마다 필자는 난처한 상황에 빠지곤 한다. 도내에는 그들에게 추천할 만한 대학원 과정이 딱히 보이지 않기 때문이다.
심리상담은 심리적 고통이나 문제를 가진 사람에게 심리학적 전문 지식을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하거나 삶의 질을 향상시키도록 돕는 전문적 활동이다. 따라서 심리상담 업무에 종사하는 조력 전문가에게는 심리학에 대한 전문지식은 물론 인간의 행복에 대한 관심과 엄격한 윤리적 실천이 요구된다. 최근 학교와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상담전문가의 활동이 증대하고 있지만, 상담활동에 종사하는 전문가들의 자격과 업무를 지원할 수 있는 법적ㆍ제도적 장치는 충분히 마련되고 있지 않다. 무엇보다도 상담전문가는 심리학에 대한 전문적 지식을 쌓고 일정한 수련과정을 거친 후 관련 학회 또는 단체의 엄격한 심사를 거쳐 소정의 자격을 갖추어야 한다.
도내에는 제대로 된 상담전문가를 양성하고 있다고 자부할 수 있는 대학이 있는지 의심스럽다. 우리 도는 학부에 심리학과가 없는 유일한 지역이다. 특수대학원에 상담심리전공과 심리치료학과를 운영하고 있는 A대학의 경우 심리과학을 전공하고 관련 자격증을 갖춘 교수가 전무하다. 상담심리전공에 교육학으로 상담을 전공한 교수가 단 한 명 있을 뿐, 대부분 상담심리나 심리치료와 관련 없는 전공자들로 채워져 있다. 상담관련 학과를 운영하고 있는 B대학의 경우도 사정은 크게 다르지 않다.
교수의 전문성은 특정 학문영역에서 축적된 전공 지식과 기술을 바탕으로 다년 간 체계적인 훈련과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서 확립되고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대학 당국은 소속 학과가 설립 취지에 맞게 운영되도록 지원하고 관리할 책무가 있으며, 그러하지 못한다면 지역사회에 대한 대학의 사명과 책임을 다하고 있다고 보기 어렵다. 하루빨리 도내 대학의 학부에 심리학과가 설립되고 기존 대학원에도 제대로 된 교수진을 갖춘 심리상담전문가 양성프로그램이 마련되기를 간절히 바란다.

No 제목 이름 날짜
2758 로타리클럽과 소아마비  ×1 ×1 강성준 10-29
2757 간호간병통합 서비스 확대를 기대하며  ×1 고기봉 10-28
2756 가을철 야외활동 시 야생진드기 감염 주의해야  ×1 비밀글 정정식 10-28
2755 코로나시대, 홈족을 위한 반려식물 키우기  ×1 비밀글 정정식 10-28
2754 조류독감 확산방지를 위한 철저한 방역필요  ×1 비밀글 정정식 10-28
2753 [기고] 내 권리는 내가 찾자, 부동산 특별조치법  ×1 ×1 이호동 문아람 10-28
2752 (주)제이피엠 사랑의 헌혈봉사  ×1 (주) 제이피엠 10-27
2751 기고(불법광고물 없는 청정 제주를 위해)  ×1 김윤철 10-27
2750 기고(탄소포인트 가입 신청하세요)  ×1 김윤철 10-27
2749 나부터 실천하자  ×1 ×1 김홍배 10-26
2748 [기고] 주민자치, 나와 우리를 위한 시작  ×1 김광흡 이호동주민자치위원회 사무국장 10-26
2747 집단시설에서의 코로나119 방역수칙  ×1 ×1 한봉석 10-25
2746 청소년 비만, 신토불이 밥상으로 해결해야  ×1 비밀글 임관규 10-23
2745 슬기로운 청렴 실천  ×1 제주특별자치도 경제정책과 김선희 10-21
2744 말의 품격  ×1 ×1 허성환 10-21
2743 제주 대표 안내자 제주120만덕콜센터  ×1 이지영 10-20
2742 2020 평화아카데미 서귀포지역 4강좌 개최하여 서귀포YWCA 10-16
2741 청소년 무면허 운전금지  ×1 고기봉 10-16
2740 출국금지령  ×1 문석부 10-15
2739 [독자투고] 김장철 원산지 위반, 강력한 처벌로 대처해야   ×1 비밀글 임관규 10-14
2738 코로나 블루를 이겨내자  ×1 ×1 허성환 10-13
2737 환경보전과 관광의 조화, 클리닝 투어리즘‘Cleaning Tourism’  ×1 김민석 10-12
2736 계속 살아가기위해 할 수 있는 것 비밀글 송나연 10-11
2735 은빛마을노인복지센터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취약계층 주거위생개선 프로그…  ×2 은빛마을노인복지센터 10-08
2734 국민들의 눈높이에 맞는 ‘공정(公正)의 기준’  ×1 한국에너지공단 제주지역본부장 1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