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트병 재활용 분리수거 대비해야
2019-12-09 16:13
최유진 (Homepage : http://)

원본 이미지 크기입니다.
페트병 재활용 분리수거 대비해야

페트병 둘러싼 비닐 포장재 및 접착제 사용으로 인한 재활용이 골치라고 한다.
분리수거 업체를 찾아가보면 대부분이 페트병의 라벨이 있는 상태에서 배출되고 있었다.
그리고 일일이 페트병 포장지를 벗기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우리가 페트병은 분리수거를 해야 함은 익히 알고 있지만, 라벨까지 제거해야 한다는 사실은 아는 사람은 많지 않은 것이다.
분리 하려고 하여도 강력한 접착제가 붙어있어 분리하기 어려움이 따른다.
페트병 재활용은 환경부에 따르면 페트병 생산량이 2014년 기준 22만 4,754t에서 2017년 28만 6,325t으로 3년 사이 27%나 늘었다.
그리고 페트병의 분리 배출 비율도 80%로 높은 편이다. 하지만, 문제는 높은 분리배출 비율에 비해 재활용률이 낮다는 점이다. 국내 페트병 중 재활용이 가장 쉬운 1등급 제품은 재활용률이 불과 1.8%(2015년 기준)에 불과하다. 이는 상당수의 페트병이 재활용되는 것이 아니고 그냥 쓰레기로 버려지는 셈이다.
또 현재 한국의 세척공정 시스템으로는 ‘비 접착식 라벨’을 분리하기가 더 힘들다고 한다.
환경부 기준에 의하면 라벨등급에 따라 ‘비 접착식’이더라도 비중 1이상이면 ‘어려움’ 등급을 받게 된다. 이는 ‘세척과정’에서 분리 되도록 하는데 중점을 둔 기준을 따르기 때문이다.
또 세척과정에 수분리성 접착제라고 하지만, 분리하기 위해 90도 온도에서 수산화나트륨을 사용하여 환경오염이 초래되고 있다.
일본의 사례를 살펴보면, 정부에서 법으로 페트병 라벨을 분리하라고 엄격한 분리배출 제도를 정하고 있고 ,겉면 라벨 지를 가정에서 쉽게 뜯어낼 수 있도록 절취선을 만들어 놨다. 일본의 경우 접착제를 바르지 않아서, 세척과정을 거치지 않아도 된다.
이는 라벨지가 붙어 있는 페트병은 재활용이 어렵다는 점을 감안한 조치다.
또한 색 없는 투명한 페트병이 대부분을 차지한다. 페트병에 색이 섞이면 재활용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우리나라 맥주 페트병이나 색깔 있는 페트병 등은 재활용이 어려워 일본에서 페트병 연간 2만 2천 톤을 수입 하고 있다고 한다.
페트병 사용을 줄이는 것도 하나의 과제지만, 이미 만들어진 페트병의 재활용률을 높이는 것도 과제임은 분명하다. 이를 위해 재활용률을 높이기 위한 기술적·제도적인 고려가 가장 중요하겠지만, 우리 모두의 참여 역시 중요하다. 올바른 배출방법을 적극 홍보하여 올바른 페트병 분리배출을 통한 재활용률을 높여야 할 것이다.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최유진

No 제목 이름 날짜
2622 코로나19의 위기... 상생으로 극복하자!  ×1 농협 구례교육원 이은영교수 03-12
2621 불법소각에 대처하는 의용소방대장의 당부   ×1 ×1 남원남성의용소방대장 홍창보 03-11
2620 기고  ×1 ×1 비밀글 홍정민 03-10
2619 제주산림,IT 기술로 지킨다  ×1 고호영 03-06
2618 지키기 쉬운 5가지 '코로나19' 대응법  ×1 강인규 03-06
2617 코로나19 극복위한 안전문화 실천  ×1 ×1 위미여성의용소방대 대장 강미숙 03-06
2616 코로나- 생활 속 방역  ×1 안성희 03-05
2615 코로나19   ×1 ×1 김민호 03-05
2614 [기고]코로나19 장기화, 취약계층 어린이에게 각별한 관심을….  ×1 ×1 제주가정위탁지원센터 03-03
2613 '코로나19' 예방수칙 준수로 다 함께 이겨내자!  ×1 고기봉 03-01
2612 기고) 신학기 학교폭력 예방, 지속적인 사랑과 관심이 모아질 때  ×1 김문석 02-28
2611 한시 발표회 김세웅 02-24
2610 제주 한화 호텔&리조트, 봉아름지역아동센터에 목욕서비스 제공.  ×1 봉아름지역아동센터 02-21
2609 서귀포종합사회복지관 주거복지실현사업 봄의시작 어르신 2월“생신잔치…  ×2 서귀포종합사회복지관 02-21
2608 민속자연사박물관 소장품의 이관을 반대한다  ×1 김순택 02-21
2607 기고  ×1 고기봉 02-20
2606 원도심에 부는 새로운 바람, 소통  ×1 이도1동 주민센터 고 미 령 02-18
2605 제주 한화 호텔&리조트, 봉아름지역아동센터에 목욕서비스 제공.  ×1 봉아름지역아동센터 02-14
2604 바이러스 전성시대  ×1 허성환 02-13
2603 제주의 공공디자인 정립 왜 필요한가?   ×1 ×1 고경란 02-12
2602 2020학년도 제29기 법사학인 교육 신입생 모집  ×1 김춘삼 02-10
2601 제주 한화 호텔&리조트, 봉아름지역아동센터에 목욕서비스 제공.  ×1 봉아름지역아동센터 02-07
2600 한림여성농업인센터 상반기 프로그램 참가자 모집  ×1 한림여성농업인센터 02-06
2599 진정한 교복 자율화  ×1 ×1 허성환 02-05
2598 (기고) 자동차 의무보험 가입하셨나요?  ×1 김미옥 0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