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함께 공유 할 수 있는 도심 미니 공원 조성 사업을 기대하며
2019-11-29 06:06
김덕현 (Homepage : http://)

원본 이미지 크기입니다.
필자는 아이들이 더 이상 놀지 않는 놀이터에 도민들이 쉬고 만나는 도심 미니 공원을 조성 했으면 한다. 집에서 시청으로 가는 길에 늘 한 놀이터와 마주 치는데 아이들 없이 비어있는 놀이터를 보면 방치되어있다는 느낌을 받는다.

여행 중에 머물렀던 호주 시드니와 멜버른은 도시 안에 미니 공원이 많이 있었다. 공원에서 호주 시민들이 서로 만나고 이야기하는 모습이 인상 참 깊어 제주도에도 도민들이 쉬고 만나는 공간이 생겼으면 좋겠다고 생각했다. 인조적인 공원이 아닌 여러 가지 나무를 식재해 숲의 기능을 할 수 있도록 조성 했으면 한다. 특히 제주도가 원산지인 왕벚나무를 심는 것을 추천한다.

교육적인 측면에서도 인위적인 놀이터보다 자연적인 공원이 아이교육에 좋다. 아이의 뇌는 주어진 환경의 영향을 받아 수많은 시냅스가 연결되는데 3~5세 사이에서 최고로 발달하다가 5~6세에는 지능의 80%가 완성된다고 한다. 즉 어릴수록 다양한 자극을 많이 받아야 시냅스 연결이 활발해져 아이의 두뇌가 발달하게 된다. 아이가 나무와 돌· 흙 등 자연을 보고 직접 만져보는 것이 오감과 인지발달·정서발달에 도움을 준다. 내 아이를 똑똑한 아이로 만들고 싶다면 천편일률적인 놀이터보다 자연의 변화를 느낄 수 있는 공원이 좋다고 생각한다.

제주도 1인당 도시공원 면적은 전국 최하위권이다. 제주도는 채무 제로라는 미명하에 이미 있는 제주도내 장기미집행 도시 공원들도 방치해왔다. 장기미집행 도시공원이란 1999년 헌법재판소의 결정에 따라 2020년 7월이면 자동으로 사유지로 풀리는 공원을 말한다. 제주도가 공원 설립을 위해 사유지를 도시계획시설로 지정했지만 20년 넘게 공원을 조성하지 않아서 벌어진 일이다.

헌법 제 35조 1항에 따르면 모든 국민은 건강하고 쾌적한 환경에서 생활할 권리를 가지며 국가와 국민은 환경보전을 위하여 노력해야 한다. 따라서 제주도민은 건강하고 쾌적한 환경에서 생활할 권리를 가지고 있으며 환경보전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

제주도민들은 환경보전을 위해 제주도정의 정책들을 잘 이행해왔다. 이에 반해 제주도정은 예산 부족 및 예산 낭비라는 이유를 대며 제주도의 환경보전을 위해 투자를 하려고 하지 않는다. 제주도가 제주도의 환경보전을 위해 돈을 쓰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제주도가 도심 미니 공원 조성 사업과 함께 제주도민의 1인당 도시공원 면적확보를 위해 자기의 맡은 역할을 다하길 바란다.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김덕현

No 제목 이름 날짜
2628 영논철 농기계안전, 교통사고 없는 행복한 제주 농촌  ×1 고기봉 03-22
2627 세금과 즐거움의 크기  ×1 ×1 삼도1동 차무관 03-20
2626 (기고)깨끗한 자연을 위한 시작, 탄소포인트제 참여  ×1 ×1 양현주 03-16
2625 기고) 음주운전, 음주폭력, 아닌 지금은 코로나 종식위해 함께 뜻을 모울 때  ×1 김문석 03-14
2624 [기고] 내게 배정된 마스크, 양보합니다!  ×2 김양우 교수(한국보건복지인력개발원) 03-13
2623 [기고] 이호동 김건_안전사각지대 최소화를 위한 작은 손길  ×1 이호동 김건 03-13
2622 코로나19의 위기... 상생으로 극복하자!  ×1 농협 구례교육원 이은영교수 03-12
2621 불법소각에 대처하는 의용소방대장의 당부   ×1 ×1 남원남성의용소방대장 홍창보 03-11
2620 기고  ×1 ×1 비밀글 홍정민 03-10
2619 제주산림,IT 기술로 지킨다  ×1 고호영 03-06
2618 지키기 쉬운 5가지 '코로나19' 대응법  ×1 강인규 03-06
2617 코로나19 극복위한 안전문화 실천  ×1 ×1 위미여성의용소방대 대장 강미숙 03-06
2616 코로나- 생활 속 방역  ×1 안성희 03-05
2615 코로나19   ×1 ×1 김민호 03-05
2614 [기고]코로나19 장기화, 취약계층 어린이에게 각별한 관심을….  ×1 ×1 제주가정위탁지원센터 03-03
2613 '코로나19' 예방수칙 준수로 다 함께 이겨내자!  ×1 고기봉 03-01
2612 기고) 신학기 학교폭력 예방, 지속적인 사랑과 관심이 모아질 때  ×1 김문석 02-28
2611 한시 발표회 김세웅 02-24
2610 제주 한화 호텔&리조트, 봉아름지역아동센터에 목욕서비스 제공.  ×1 봉아름지역아동센터 02-21
2609 서귀포종합사회복지관 주거복지실현사업 봄의시작 어르신 2월“생신잔치…  ×2 서귀포종합사회복지관 02-21
2608 민속자연사박물관 소장품의 이관을 반대한다  ×1 김순택 02-21
2607 기고  ×1 고기봉 02-20
2606 원도심에 부는 새로운 바람, 소통  ×1 이도1동 주민센터 고 미 령 02-18
2605 제주 한화 호텔&리조트, 봉아름지역아동센터에 목욕서비스 제공.  ×1 봉아름지역아동센터 02-14
2604 바이러스 전성시대  ×1 허성환 0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