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공항을 둘러싼 오해와 갈등 '제주도가 시끄럽다'
2019-11-27 22:20
|
|||
---|---|---|---|
김민성 (Homepage : http://)
|
|||
‘제주도가 시끄럽다’ 제주특별자치도는 포화 상태로 인해 더 이상 노선 취항이 어려워진 제주국제공항의 수요를 분담할 목적으로 서귀포시 성산읍 신산리· 온평리 일원에 제주 신공항을 건설할 예정이다. 제주국제공항은 본토에서 날아오는 국내선 수요를 감당하기 위해 활주로 연장 공사와 터미널 확장공사를 여러 차례 진행하였다. 그러나 제주시 도심에 위치하여 대규모 확장이 불가능하고 가파르게 늘어가는 승객 수로 인해 터미널 확장의 효과가 계속해서 제한되었다. 결국 2015년 11월 10일 국토교통부는 기존 공항을 그대로 운영하면서 성산읍 신산리· 온평리· 난산리· 수산리· 고성리 일원에 제 2의 신공항을 짓겠다고 발표하였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제2공항은 제주도민들의 경제적 발전을 위한 것이며, 과포화를 막기 위한 현명한 정책이다. 또한 제2공항으로 발생할 지역주민의 고용·경제적 이익 창출· 제2항 주변 난개발 방지· 정주환경 개선 등을 장점으로 내세웠다. 하지만 최근 도민사회 일각에서 제주 제2공항 건설 반대 목소리가 심상치 않다. 공항 건설 예정지가 발표되자 서귀포시 성산읍 5개 마을 주민들은 삶의 터전을 송두리째 잃을 위기에 놓였다며 강하게 반발했다. 토지수용과 공항 소음 등 현실적인 문제에 맞닥뜨리게 된데 따른 것이다. 마을주민들은 반대대책위원회를 구성했고, 시민사회단체가 참여하는 ‘제2 공항 반대 범도민 행동’도 꾸려졌다. 또한 이들은 입지 선정 용역이 부실하게 이뤄지고 선정 과정에 문제가 있었다며 기존 용역에 대한 재검증을 요구했다. 제2공항 사전 타당성 용역 결과에 오류가 있었는지를 재조사하는 용역이 필요하다는 것이 마을 주민들의 의견이다. 제2공항 건설은 점점 속도를 낼 것으로 보이나 반대 단체의 반발은 쉽게 가라앉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반대쪽이든, 찬성 쪽이든 이제는 숨고르기가 필요하다. 무엇이 제주 미래 발전의 동력이 될 수 있는가. 주저앉을 것인가, 앞으로 나아갈 것인가 판단해야 할 시기이다. 또한 제주발전과 제주도민의 삶의 질 향상과 관련해 어떤 선택을 해야 좋은지를 가늠할 절체절명의 시기라고 생각한다. 날이 갈수록 시끄러워지는 ‘신공항 논쟁’이 결국에는 제주특별자치도 도민 모두가 활짝 웃을 수 있는 결과로 나타나길 기대해 본다. 제주대하교 행정학과 2학년 김민성 |
|
제주 주유소 휘발유·경유값 5주 만에 소폭 하락.…
제주 오피스텔서 20대 남성·10대 여성 추락사
'소나기' 제주지방 한풀 꺾인 폭염·열대야.. 그…
민주노총 제주 “290원 찔끔 인상, 최저임금 취지…
제철 지역 농축산물 할인... 제주농협, 14일 직거…
[한라일보 저녁잇슈] 2025년 7월 11일 제주뉴스
제주 하논 분화구 핵심구역 사유지 매입 본격 착…
시민단체 “추자해상풍력, 도내 신재생에너지 …
제주여름 별미 ‘한치’ 사라졌다.. “고수온 서…
이 대통령 문체장관 후보 최휘영·국토장관 김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