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식 바뀌어야 학생들이 이용한다
2019-11-08 20:32
강성범 (Homepage : http://)

원본 이미지 보기
학식, 바뀌어야 학생들이 이용한다.

우선 항상 학생들을 위해 열심히 일해주시는 생활협동조합 관계자 여러분들께 경의를 표한다.

필자는 2013년 대학에 입학하고 오랜 기간 휴학을 한 후 올해 복학했다. 학교는 입학할 때와는 다르게 많이 변했고 신입생이라는 꼬리표는 화석이라는 타이틀로 바뀌었다.

많은 것이 달라졌지만 변하지 않은 것이 있다. 바로 학교식당이다. 대부분의 대학생들은 끼니를 학교에서 해결한다. 그렇기에 저렴하고 질 좋은 학식은 학생들의 경제적 부담을 덜어주고 만족감을 높여주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타 대학에 비해 대학가가 제대로 발전하지 못한 우리 학교의 경우에는 그 중요도가 더욱 크다.

하지만 제주대 학식의 경우 그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해 안타깝다. 제주대 학교식당은 정식 3000원, 특식 4000원, 양식 5000원 등의 가격이 책정돼있다. 이에 몇몇 학생들은 학교식당에 몇 가지 문제점을 제기한다. 대표적인 의견이 바로 가격에 비해 다양하지 못한 메뉴이다. 정식과 특식을 먹어보면 몇 가지 음식이 반복적으로 제공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생활협동조합 측에서는 다양한 메뉴를 제공하겠다고 말하지만 실효는 없는 것 같다.

직접적인 비교는 어렵지만 같은 국립대인 부경대의 경우 학식으로 유명하다. 가격은 3500~6000원 사이이며 다양한 메뉴와 맛으로 인해 많은 학생들을 불러일으킨다. 또한 부경대는 학생들의 건강과 복지를 향상시키기 위해 2년 전부터 아침시간에는 학생식당의 식사메뉴를 천원에 제공하고 있다. 학생들은 오전 8시 30분부터 10시 30분까지 학내 식당에서 정식, 국밥, 찌개, 오므라이스, 카레 밥, 짜장 밥, 김밥 등 다양한 메뉴를 1000원에 이용할 수 있다. 이외에도 한국외대, 전북대 등은 다양한 음식과 저렴한 가격으로 학생들에게 큰 인기를 끌고 있다.

지속적으로 오르는 가격 또한 문제이다. 제주대신문을 살펴보면 생활협동조합측은 최저임금의 인상과 원재료 가격의 상승으로 식대를 인상하고 있다. 매년 적자가 발생하는 상황에서 어쩔 수 없는 부분이기는 하지만 몇 백 원씩 오르는 것이 학생들에게는 큰 부담으로 다가오기도 한다.

많은 학생들은 조금 더 나은 식사를 하기 위해 가격이 비싸더라도 정문과 후문으로 이동한다. 하지만 역시 음식의 질과 가격에 많은 불만을 토로한다, 그러면서 학식이 조금 더 나았으면 하는 생각을 한다.

학식이 학생들의 눈높이에 맞게 개선된다면 많은 사람들이 학식을 먹기 위해 학생식당으로 발길을 돌릴 것이다. 다양한 메뉴의 제공과 저렴한 가격, 이것이 진정한 학생을 위한 복지이지 않을까.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2학년 강성범

No 제목 이름 날짜
3393 장애인 인권, 이제는 진정한 실천이 필요한 때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김수준 04-19
3392 제주환경을 살리고 건강을 지키는 지름길, 플로깅   ×1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조은빈 04-19
3391 서귀포종합사회복지관, 산남새마을금고골프회부녀회산악회와 어르…  ×1 [5] 서귀포종합사회복지관 04-18
3390 제주관광 고부가가치화 전략 "웰니스"  ×1 ×1 [1] 고현숙 04-17
3389 제주올레길도 걷고, 클린올레도 하고  ×1 [2] 고상선 04-17
3388 방구석 작은 생태계 '테라리움' [4] 제주대학교 이유라 04-16
3387 [기고] 아파트 지하주차장, 반지하주택 침수에 어떻게 대비해야 할까  ×1 ×1 장명서 04-15
3386 우리의 일상이 된 미세먼지! 지혜롭게 대처해야  ×1 고혁준 04-14
3385 건강한서귀포시만들기  ×1 ×1 [1] 김태문 04-14
3384 사회적경제활성화 제주네트워크, 2023년 대표자회의 개최  ×1 (사)서귀포YWCA 04-12
3383 YWCA제주특별자치도협의회 여성신학아카데미 개최  ×1 [2] (사)서귀포YWCA 04-12
3382 제12회 우도 소라축제에 놀러 오세요.  ×1 우도면 04-12
3381 사람중심 '살고 싶은 도시' 서귀포시 만들기  ×1 [1] 윤매순 04-11
3380 작은나눔봉사회 후원물품 기탁  ×1 제주노인복지센터 04-11
3379 농업의 미래를 준비해야 비밀글 본문참조 04-11
3378 제주올레길도 걷고, 클린올레도 하고  ×1 [1] 고상선 04-06
3377 쓰레기로 하는 제테크 '쓰테크’  ×1 조호준 04-06
3376 동네를 지켜야 지구가 산다.  ×1 고기봉 04-05
3375 전동 킥보드, 우리도 파리처럼?  ×1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김성환 04-04
3374 4월 5일 식목일날 나무를 심어, 기후변화에 대응하자  ×1 [2] 제주대학교 3학년 문동혁 04-04
3373 위기임신출산 긴급전화 1422-37 사회공언 파트너십 협약 체결  ×2 애서원 04-04
3372 「에너지 효율향상 지원사업」활용을 통한 스마트한 비용 절감  ×1 에너지효율부 효율향상팀장 김 정 웅 04-04
3371 그곳에 보도사진이 있었다.  ×1 ×1 강현윤 04-03
3370 제주 생태계의 허파, ‘곶자왈’의 보존을 위하여  ×1 오세빈 04-02
3369 4.3 뮤지컬 동백꽃 필 무렵을 본후  ×1 [1] 황태성 04-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