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농폐기물 더 효과적으로 수거할 수 없을까?
2019-11-02 14:17
허가람 (Homepage : http://)

원본 이미지 크기입니다.

영농폐기물. 더 효과적으로 수거할 수 없을까?

최근 제주도의 환경오염에 대한 소식이 나날이 들려온다. 다양한 원인이 있겠지만 필자가 생각하는 원인은 영농폐기물 실질적 처리의 곤란이라고 생각한다. 영농폐기물은 영농과정에서 발생하는 각종 폐기물, 재배용 하우스나 비 가림용의 폐비닐, 폐농약병을 말한다.

농업인들은 영농폐기물 배출방법에 대한 정보 부족으로 농경지에 무단 방치하거나 노천 소각하는 사례가 빈번하다. 이로 인하여 농촌지역 토양 및 환경 오염요인으로 꼽히고 있으며, 나아가 비닐하우스 등 화재로 이어져 농가의 경제 손실로 이어지는 사례도 빈번히 발생하고 있는 소식을 종종 듣고 있다.

제주도는 감귤로 유명한 만큼 감귤 밭이 많은 만큼 영농폐기물의 양 역시 많을 수밖에 없다. 물론 영농폐기물은 각 밭에서 나름대로 깨끗하게 처리하기 위해 노력을 하지만 개인이 할 수 있는 일은 클린하우스에 가서 분리수거를 하는 것 정도이다. 영농폐기물 집하장이 있기는 하지만 버리는 과정이 까다롭다.

물론 젊은 세대는 인터넷을 이용하면 처리 방법을 알 수 있겠으나 감귤 밭을 경작하는 실질적인 세대는 어르신 세대이다. 인터넷을 제대로 사용하는 법을 모르며 휴대 전화조차 사용 못 하시는 분도 계시다. 이런 분들 대다수는 어디에 영농폐기물 집하장이 있는지 모를 것이고 영농폐기물을 어떻게 처리하는지도 모르실 것이다.

대부분 이동 수단이 오토바이인 점을 고려하면 사실상 폐기물처리는 불가능하다. 물론 읍·면 사무소에서 상·하반기에 동네를 돌아다니며 영농폐기물을 수거해가기도 한다. 하지만 제3자의 입장에서는 버려진 폐기물인지 아니면 사용할 곳이 있어 밭에 가져다 둔 것인지 불확실하고 밭을 일일이 돌아다니는 것 역시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이러한 점을 해결하기 위해 동네 농약 판매처를 이용을 제안한다. 대부분 지역에는 농약판매처가 있고 지역농민들이 이를 이용한다. 농약판매처에 협조를 구하여 영농폐기물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면 폐기물처리가 쉬워질 것이다.

밭의 위치와 혹시 영농폐기물의 유뮤를 파악하고 그것을 밭의 입구에 꺼내어두게 한다. 그럼 매달 주변 동사무소나 읍사무소에서 농약판매처가 제공한 정보를 토대로 하여 회수하는 것이 더 시간과 비용을 절약하기 좋은 방법이라 생각한다. 밭에 방치된 영농폐기물은 우리가 쉽게 생각하지 못하는 동시에 쉽게 소재를 파악하기 어려운 폐기물이다. 하지만 환경오염 문제는 서로가 힘을 합쳐 해결해야 하는 문제이다. 그만큼 각 세대에 맞추어 접근하는 방식에 차이가 있어야 한다고 필자는 생각한다.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허가람

No 제목 이름 날짜
3112 일회용품 없는 제주, 미래 세대를 위한 약속  ×1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2학년 고민희 04-06
3111 어른들은 주차장을 만들겠죠  ×1 ×1 비밀글 홍라원 04-05
3110 한라산탐방로 쓰레기종류  ×1 ×1 김용훈 04-04
3109 심각해지는 미세먼지, 이제는 행동할 때!  ×1 임승현 04-02
3108 나무심기, 기후변화 대응의 시작  ×1 김은지 04-01
3107 코로나19로 늘어난 환경오염의 주범, 플라스틱 폐기물은 누구의 책임인가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김민지 03-30
3106 미래를 위한 작은 실천_플로깅을 통한 환경 정화 활동  ×1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3학년 현민희 03-27
3105 비양도습지생태학교에 초대합니다.   ×1 생태교육허브물새알 03-25
3104 (기고) 자연장(自然葬)을 선호하는 이유  ×1 ×1 김성봉 03-24
3103 제주 도내 방치 렌터카 현재 상황은?  ×1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4학년 서행환 03-23
3102 산불 등 부주의 화재는 예방이 최우선  ×1 ×1 남원119센터 소방교 오성룡 03-23
3101 강력한 지도자  ×1 ×1 문석부 03-22
3100 농업용수 스마트하게 관리해야  ×1 고기봉 03-21
3099 인명을 구하는 비상구신고포상제  ×1 ×1 동부소방서 정용택 03-21
3098 장난으로 시작하는 학교폭력 이제 그만!!  ×1 서귀포경찰서 경위 이세희 03-18
3097 (기고)감귤원 간벌과 품질관리가 중요하다  ×1 ×1 강준형 03-17
3096 제주 횡단보도, 안전하십니까?  ×1 김승화 03-16
3095 외도동 새마을협의회   ×2 외도동새마을협의회 03-14
3094 제주유나이티드FC 12번째 선수는 제주도민  ×1 서귀포시체육회장 김태문 03-14
3093 서귀포중앙교회, 애쓰는 의료진, 보건담당자 격려물품 후원  ×1 서귀포중앙교회 03-11
3092 4560꽃중년 공익활동 배움터 신청하세요!  ×1 김현주(제주공익활동지원센터) 03-08
3091 긴급차 전용번호판 통과시스템  ×1 고기봉 03-07
3090 우리는 모두 '모범운전자', '안전운전자' 인가?  ×1 오재환 03-06
3089 한림읍지역사회보장협의체 방역활동  ×2 임철종 03-03
3088 기고) 자치경찰 2.0시대, 새로운 도약을 향한 자치경찰기마대!  ×1 ×1 이명량 03-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