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3은 청소년들이 함께 기억해야 할 역사입니다.
2019-09-14 15:39
강혜진 (Homepage : http://)

원본 이미지 보기
신성여자중학교 3학년 강혜진

제주 4·3은 1947년 3월 1일을 기점으로 하여 1948년 4월 3일, 무장대의 무장봉기 및 1954년 9월 21일까지 무장대와 정부 사이에 발생한 무력충돌과 진압과정에서 주민들이 희생당한 사건이다.

4월 3일, 우리 학교 전 교실에 제주 4·3 71주년 추념식 방송을 틀어주었으나 대부분의 학생들이 집중하지 않고 서로 이야기를 나누고 있었다. 또한 평소에 4·3 관련 행사나 4·3 교육에 관심을 보이거나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학생을 보기는 어려웠다.

매년마다 4·3교육을 받는 학생들이 왜 4·3에 대해 관심을 보이지 않는지 생각하다 우리 학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게 되었다. 그 결과, 4·3에 대해 ‘조금 안다’는 의견이 53%로 4·3에 대하여 알고는 있으나 자세히는 모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4·3 평화·인권 교육 주간에만 교육이 실시되고 있다고 생각하는 학생이 81%로 이는 4·3 교육이 단기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더하여 제주도민 100여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4·3교육의 방향을 묻는 질문에 ‘4·3 평화·인권 교육 주간만이 아닌 평소에도 주기적으로 실시되기를 바란다’가 51%였고, 이어 ‘4·3교육이 부족하다’는 의견이 76%였다. 이처럼 학생들이 교육을 통해서만 4·3에 대한 지식을 얻기에는 부족함이 있다.

4·3교육의 문제는 이뿐만이 아니었다. 2019년 4·3 평화·인권 교육 주간 운영 현황을 살펴본 결과 2018년 초·중·고등학교에 4·3 평화·인권 교육 교재가 보급되었으나 그 교재의 활용도가 낮았으며, 2019년에는 교재 보급이 홈페이지 탑재로만 이루어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교육을 통해 4·3에 대한 지식을 얻기에는 시수가 부족하였고, 전도에서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통일된 하나의 교육이 아니며 각 학교마다 다른 교육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4·3 평화·인권 교육 교원 직무연수가 도내에서 전국으로 확대되는 등 교원 교육 운영이 활발해지고 있으나 교육을 받는 주체인 학생들이 더욱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노력하는 것이 우선이다.

따라서 청소년들이 주체적으로 4·3을 알아갈 수 있는 방법이 무엇인지 생각하게 되었다. 이에 제주도내 초·중·고등학교를 모두 조사한 결과 초등학교 ‘90%’, 중학교 ‘96%’, 고등학교 ‘82%’ 가 4·3 관련 상설 게시판이 없다는 점과 3~4%를 제외한 거의 모든 학교에 교내 4·3 관련 동아리가 없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우리는 ▼첫째, 제주도내 중·고등학교에 4·3 상설 게시판 설치와 ▼둘째, 제주 청소년 4·3 탐구 연합동아리의 개설을 제안한다. 이를 통하여 계속해서 학생들에게 4·3을 알릴 수 있고 제주 청소년 4·3 탐구 연합동아리에서 게시판 제작이 이루어지게 되어 4·3을 알리는 주체가 어른들뿐만 아니라 청소년들도 있다는 인식을 줄 수 있을 것이다.

4·3은 우리나라의 역사이며 그 역사를 기억하는 것이야말로 우리가 해야 할 일이다. 위와 같은 정책들을 발판 삼아 앞으로 우리나라의 미래를 이끌어 갈 청소년들이 4·3에 대해 잘 알고 4·3을 가슴 깊이 기억하길 바란다.

No 제목 이름 날짜
3318 기초연금 이렇게 달라집니다.  ×1 제주도청 유은숙 01-25
3317 고향집, 화재예방을 선물하세요  ×1 서부소방서 안덕119센터 고길훈 01-21
3316 우도119지역대-남·여 의용소방대 취약계층 생필품 지원  ×1 우도119지역대 소방사 김정호 01-20
3315 양지공원 특별관리대책 추진협조  ×1 도청 노인복지과 유은숙 01-16
3314 (기고)영세 지방세 납세자를 위한 선정대리인 제도  ×1 고종필 01-13
3313 소방시설 등에 대한 불법행위에 ‘엄근진’하자  ×1 서부소방서 영어교육도시119센터장 김 01-10
3312 세상을 바꾸는 소통의리더십  ×1 [2] 오조리마을회 01-08
3311 겨울철 3대 화재 위험 전기제품!  ×1 김재업 01-05
3310 [기고] 身土不二 농축산물로 기부촉매제 역할을 하자!  ×1 ×1 배동언 01-04
3309 제주특별자치도장애청소년직업지도센터 도내 특수학교(급) 졸업을 앞둔 장… [1] 오경미 01-03
3308 소상공인 탄소포인트제를 아시나요!  ×1 [1] 고기봉 01-03
3307 사회적경제활성화 제주네트워크 '너도나도 우산함께' 사회적경제 인식개…  ×1 서귀포YWCA 12-29
3306 제주일고 38회 동창회 시온빌 자립생활관 후원  ×1 [1] 김정미 12-28
3305 한라야생화 온라인전시회에 초대합니다.  ×2 김평일 12-25
3304 제주원광재가노인복지센터 어르신 활동작품 전시회 “원광愛 작은 행복이…  ×2 [1] 제주원광재가노인복지센터 12-23
3303 한국전기공사협회 제주특별자치도회 천사의집에 성금기탁  ×1 천사의집 12-19
3302 디지털시대에 적응하는 우리 멋져요  ×1 강건혁 12-18
3301 심폐소생술! 의무교육으로  ×1 비밀글 성산 12-17
3300 겨울철 도로 위, 이것 조심하자! 도로 위의 암살자 '블랙아이스' 피할 수 …  ×1 [1] 제주대학교학생 김동건 12-17
3299 배달료, 수수료 걱정없이 맛있게!  ×1 [2]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강예린 12-17
3298 모두를 위한 키오스크, 가능할까? 키오스크 노인 접근성 개선돼야… [1] 정지우 12-16
3297 [기고]다시 뛰는 장년층, 희망의 디딤돌  ×1 ×1 [4] 백은숙 12-14
3296 제주영락종합사회복지관, 제주신협과 함께하는 "따뜻한 김장나눔"   ×1 제주영락종합사회복지관 12-13
3295 오·폐수의 무단 방류로 인한 바다 생태계 파괴를 막기 위한 우리의 자세  ×1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강지훈 12-12
3294 [기고] 119안심콜 서비스 선택이 아닌 필수  ×1 ×1 [3] 강기수(남원119센터 소방사) 1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