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재활용쓰레기 다시 자원으로 재순환해야
2019-03-14 09:13
아라동 (Homepage : http://)

원본 이미지 보기
한국은 지금 쓰레기 문제로 몸살을 앓고 있다. 중국이 2018년부터 쓰레기 수입을 금지하면서 한국에서 갈 곳을 잃은 저급한 플라스틱 쓰레기는 재활용을 빙자해 동남아시아로 수출하였으나 일부는 다시 되돌아오고 있다. 나라망신일 뿐만 아니라 방치된 쓰레기가 바다로 흘러들어가 미세플라스틱이 되어 우리 식탁을 위협하고 있다.

제주도에서도 해안이 플라스틱 쓰레기로 몸살을 앓고 있다. 제주환경운동연합이 '2018 국가해안쓰레기 모니터링' 결과, 가장 많이 배출된 플라스틱 쓰레기는 페트병류와 어업 관련 쓰레기로 나타났다.

플라스틱 쓰레기를 쉽게 버리고 쉽게 처리할 수 있었던 ‘쓰레기 잔치’는 끝난지 오래다.
쓰레기를 줄이고, 쓰레기가 발생하는 지역에서 다시 자원으로 순환해야 한다.
제주개발공사에서는 플라스틱 수거율을 높이기 위해 빈병 수거처럼 플라스틱 페트병을 반환하면 금전적 보상을 해주는 캔·페트병 자동 수거 보상기 시범사업을 확대하고 수거함에 캔이나 페트병을 넣은 만큼 포인트가 쌓이는데 2000점 이상이면 현금으로 돌려준다고 한다

우리 시에서도 매년마다 전 시민이 함께 대대적으로 참여하는 시민 대청결 운동의 날 또는 하천, 해안변 정화활동, 그리고, 각 자생단체들이 앞장서 캔이나 고철을 모으는 자원재활용 운동도 활발히 벌여 나가고 있으나 실질적으로 좀 더 시민들의 피부에 와 닿고 수거종류도 일부에 국한되지 말고 여러 가지 재활용품을 수거할 수 있는 방안도 고민해 볼 필요가 있다고 본다.
하지만, 가장 중요한건 행정에서 아무리 좋은 정책수립이나 홍보, 계도 및 단속을 지속적으로 하기 보다는 이제는 시민들의 자발적이고 올바른 재활용 쓰레기 배출이 하루 빨리 정착하는 것이 무엇보다 시급하다고 생각한다. 과연 지금도 요일별, 종류별 배출제도를 잘 몰라서 그냥 막 버리고 있는 시민이 몇이나 될까 하고 생각해 본다.

No 제목 이름 날짜
2360 (기고) 우리 아이들의 미래를 위한 선택, 기초질서지키기  ×1 ×1 노형동주민센터 김효실 04-24
2359 한라일보 창간 30주년을 축하합니다~~!!! 송진규 04-23
2358 한시 발표회 김세웅 04-23
2357 레몬법, 과연 소비자를 위한 법인가  ×1 ×1 김민경 04-22
2356 소방훈련 지원센터를 아십니까?   ×1 ×1 대신119센터 04-22
2355 서귀포시진로교육지원센터 토요! 멘토(job)기 ‘경호원’ 프로그램 운영  ×1 서귀포YWCA 04-20
2354 서귀포여성새로일하기센터 리스타트사무원양성과정 취업지원협의회 개최 서귀포YWCA 04-18
2353 항만119센터, 소방차 길터주기 훈련 실시  ×2 항만119센터 04-17
2352 항만119센터, 한라석유 현지지도  ×1 항만119센터 04-17
2351 항만119센터, 관내 인명구조함 점검 실시  ×1 항만119센터 04-17
2350 은성종합사회복지관 하모니 악기교실 운영  ×1 은성종합사회복지관 04-15
2349 제주원광재가노인복지센터 노인일자리 참여자 문화체험 실시  ×1 제주원광재가노인복지센터 04-15
2348 제주 고사리  ×1 서귀 04-12
2347 [기고]‘나’를 위한 질서, 기초질서 지키기  ×1 추자면 생활환경팀장 차무관 04-11
2346 도대체 어느나라 말이야?  ×1 문원영 04-11
2345 사월 그리고 꽃, 다섯 번째 봄 기억해요  ×1 김민경 04-09
2344 은성복지관 야간결식학생에 후원금 전달  ×1 ×1 은성종합사회복지관 04-08
2343 도민들이 필요로하는 공공보건의료를 강화하겠습니다  ×1 안성희 04-08
2342 도민여러분, 불법무기자진신고하세요!  ×1 제주서부경찰서 총포화약담당자 04-05
2341 의무소방원을 마치며  ×1 중문119센터 이상현 04-04
2340 소비자가 원하는 감귤(만감)  ×1 부영인 04-02
2339 봄철 고사리 안전하게 채취합시다  ×1 중문119센터 04-02
2338 청렴하고 공정한 진짜 선진국  ×1 한국에너지공단 제주지역본부장 류 04-01
2337 특별순회전 제주의 향기를 품다.  ×2 김원순 03-31
2336 치매에 대한 선입견 노망과 로망  ×1 문원영 0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