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5.우란분절[盂蘭盆節(백중, 百中)]의 의미(意味)와 유래(由來)
2021-09-15 12:05
우란분절(盂蘭盆節)이란 음력 7월 15일에 지옥이나 아귀(餓鬼)의 세계에서 고통 받고 있는 영혼을 구제하기 위해 3보(三寶:산스크리트어:triratna, 팔리어:tiratana, 영어:Three Jewels·Three Treasures)에 공양하는 의식이다. 백종(百種)·중원(中元), 또는 망혼일(亡魂日), 우란분절(盂蘭盆節)이라고도 한다. ‘백종’은 이때쯤 과일과 채소가 많이 나와 100가지 곡식의 씨앗을 갖추어놓은 데서 유래된 이름이다. 절에서는 재(齋)를 올리고 공양을 드렸으며, 민간에서는 100가지의 과실을 차려 제사를 지내고 남녀가 모여 음식을 먹고 노래와 춤을 즐겼다.

고대 전통적인 명절중 하나로 백중절(百中節), 중원일(中元日), 백종일(百種日), 백종일(白踵日), 망혼일(亡魂日), 머슴날이라고도 하며 불교에서는 우란분절(盂蘭盆節) 또는 백중(百中)이라고도 하며 조선시대엔 11대 민속 명절 중 하나로 신라를 거쳐 고려시대부터는 국가적으로 시행해온 유서깊은 절일(節日)로 조선시대엔 설과 정월대보름, 음력 2월 초하루, 3월 삼질, 4월 초파일, 5월 단오, 6월 유두, 7월 백종(백중), 8월 추석, 9월 중구, 11월 종지를 민속 명절로 기념했다.

우란분(盂蘭盆)은 산스크리트어 ullambana(울람바나)를 소리 나는 대로 적은 것으로, 도현(倒懸)이라 번역한다. ‘거꾸로 매달리는 고통을 받는다’는 뜻이다. 우란분재(盂蘭盆齋)는 『우란분경(盂蘭盆經)』에서 유래한다. 석가(釋迦)의 10대 제자중 목건련(目健連, Maudgalyayana, ? ~ ?)이 신통력으로 돌아가신 어머니를 찾아보니, 아귀가 되어 굶주리는 고통을 겪고 있었다. 목건련존자(目?連尊者)이 자신의 신통력으로 어머니를 구제하려 했으나 어머니의 죄가 너무 무거워 구제할 수 없었다. 그래서 목건련존자가 부처님에게 간청하니, 부처님이 여름 안거(夏安居)가 끝나는 음력 7월 15일에 여러 승려들에게 갖가지 음식과 과일을 정성스럽게 공양하면 어머니는 아귀의 고통에서 벗어날 것이라고 했다. 목건련존자는 부처님의 가르침대로 해서 어머니를 구제했다고 한다. 이 재(齋)는 인도에서뿐만 아니라 중국의 양 무제(梁武帝, Wudi Liang, 464 ~ 549)가 동태사(同泰寺)에서 처음 행한 후, 역대 왕들이 개최했다고 한다.

한반도에서는 고려 때 여러 차례 개최했고, 조선 때는 불교가 탄압을 받았으므로 서민들이 행했다. 성현(成俔, 1439~1504)의 『용재총화(?齋叢話)』에는 우란분재에 대해 ‘장안(長安:서울을 수도라는 뜻으로 일컫는 말.)의 사찰에서는 7월 15일에 백 가지 꽃과 과일을 모아서 우란분재를 베푼다. 가정집에서는 돌아가신 부모의 영혼을 위로하는 제사를 지내고, 승려들은 거리로 나가 탁발하였다’고 했다. 또한 이능화(李能和, 1869~1943)의 『조선불교통사(朝鮮佛敎通史)』에는 ‘7월 15일 백중날(百中-)에 각 사찰에서는 죽은 이를 위해 불단에 위패를 세우고 재(齋)를 지낸 뒤 그 위패를 불사르는데, 이 의식은 가정집에서 제사 지내는 의식과 똑같았다’고 했다. 현재 사찰에서는 여름 안거[夏安居:승려가 일정한 기간 동안 외출하지 않고 한데 모여 수행하는 일《음력 4월 16일부터 7월 15일까지. 후에는 겨울에도 행함.(동안거(冬安居)》.]가 끝나는 음력 7월 15일을 백중날이라 하고 그에 따른 법회를 행하고 있으나 민간에서는 소멸되었다.

이와 같이 불교에서 4대 명절중 하나인 우란분절(盂蘭盆節) 또는 백중(百中)에 대한 의미와 유래를 첨부파일과 같이 알아보기로 한다.

보도자료(PR마당)
  • 이 코너에 올린 자료는 신문에 선별 보도될 수 있으니 많은 이용 바랍니다.
  • ※ 보도자료(PR마당) 글 입력시 첨부파일 용량은 3M를 초과할 수 없습니다.
  • ※스팸 게시글로 인하여 회원만 글쓰기가 가능합니다.
No 제목 이름 날짜
35395 애월읍 소길리 독지가 고영훈 님, 애월읍 이웃사랑 성금 1,000…  ×1 애월읍사무소 03-27
35394 건협제주, 대한노인회 노인대학원생 건강강의 실시  ×1 건협제주 03-27
35393 서귀포 해오름주간활동센터, 플로깅 활동으로 재능Dream나눔…  ×1 서귀포해오름주간활동센터 03-27
35392 서귀포해오름주간활동센터, 액티비티 체험으로 새로운 세상…  ×1 서귀포해오름주간활동센터 03-27
35391 서귀포소방서 직할여성의용소방대 응급처치 교육  ×2 서귀포소방서 동홍119센터 03-26
35390 한림라이온스클럽 - 물품 봉사  ×1 한림라이온스클럽 03-26
35389 ‘식산봉의 황근 자생지 및 상록활엽수림’, 지속 가능한 생…  ×2 제주자연유산돌봄센터 03-26
35388 서귀포종합사회복지관 영구임대아파트입주자삶의질향상사…  ×1 서귀포종합사회복지관 03-25
35387 중문동, 봄맞이 주요도로변 불법 광고물 일제 정비  ×1 중문동 03-25
35386 제주 청년농부들, 함께 짓고 함께 나눈다  ×1 제주농업기술자협회 서귀포동부지회 03-25
35385 봉사활동  ×1 제주시 일도이동 100세 공감 발사랑 03-25
35384 제주서부 로타리클럽 도내 독거노인 주택 2곳 주거환경 개선…  ×1 제주서부 03-25
35383 ‘차귀도 천연보호구역’, 자연유산돌봄 활동   ×2 제주자연유산돌봄센터 03-25
35382 제주영락종합사회복지관, 국수지원사업‘국수 한 그릇, 희…  ×1 제주영락종합사회복지관 03-25
35381 이어도라이온스클럽, 서귀포종합사회복지관 경로식당에서 …  ×1 서귀포종합사회복지관 03-25
35380 동홍새마을금고, 서귀포종합사회복지관에 이웃돕기 후원품 … 서귀포종합사회복지관 03-24
35379 제주최고의 환경친화적 기업을 만들어 가겠습니다.  ×1 설비자재팀 신중근 03-24
35378 서귀포종합사회복지관, 자의누리봉사단과 함께 케어뱅크(Car…  ×1 서귀포종합사회복지관 03-24
35377 서귀포종합사회복지관, 코코치과의원과 저소득층 구강 건강…  ×1 서귀포종합사회복지관 03-24
35376 동신포리마 대표이사 서호초총동문회  ×1 서호초등학교총동문회 03-24
35375 2025 신풍벚꽃터널 축제  ×2 디자인실 03-24
35374 삼무 걷기 캠페인 및 금연·절주 정화활동   ×1 한수풀자원봉사회 03-24
35373 제주자연사랑산악회 해동포구 일대 환경정화활동 실시  ×1 제주자연사랑산악회 03-24
35372 제주시가족센터 아버지 학교 참여자 모집  ×1 제주시가족센터 03-24
35371 서귀포소방서 천지의용소방대 떡국떡 나눔행사  ×2 서귀포소방서 동홍119센터 03-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