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 대통령 "균형 발전은 국가생존전략".."AI 재난대응 제주 선봉"

李 대통령 "균형 발전은 국가생존전략".."AI 재난대응 제주 선봉"
1일 전국 17개 시도지사 간담회 주재 오영훈 지사 등 참석
국가 정책 결정 및 예산 배분 과정서 균형 발전 원칙 강화
  • 입력 : 2025. 08.01(금) 13:10  수정 : 2025. 08. 02(토) 08:09
  • 이상민기자 hasm@ihalla.com
  • 글자크기
  • 글자크기

이재명 대통령이 1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전국 시도지사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한라일보] 이재명 대통령은 1일 “균형 발전은 지역에 대한 지방에 대한 배려가 아니라 국가 생존을 위한 전략”이라며 "국가 정책 결정이나 예산 배분 과정에서도 이런 원칙을 최대한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대통령실에서 주재한 전국 시도지사 간담회에서 모두 발언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

이 대통령은 "대한민국은 그동안 불균형 성장을 국가의 성장전략으로 채택해온 것이 사실"이라며 "그러다 보니 모든 자원을 특정 지역과 특정 영역, 특정 부류에 집중해왔고, 그 부작용으로 '수도권 일극 체제'가 생겨났다"며 "한때는 이 방식이 매우 효율적인 발전 전략이었지만 지금은 성장과 발전을 저해하는 요소가 됐다"고 지적했다.

이어 "이번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 과정에서 수도권보다는 지방에 더 많은 인센트비를 지급한 것은 (지방에) 더 많은 지원을 해야 비로소 균형을 유지할 수 있다는 생각을 시현한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 대통령은 "지방자치는 민주주의를 배우는 장이자, 민주주의의 초등학교라고 한다. 실제로 지방자치는 민주주의 발전에 크게 기여해왔고 앞으로도 든든한 뿌리가 될 것"이라며 "앞으로도 지역주민의 의사를 최대한 반영해 지방행정이 이뤄지도록 중앙정부도 최선을 다하겠다"고 약속했다.

대한민국 시도지사협의회장인 유정복 인천광역시장은 정부에 지방분권형 헌법 개정안 마련을 촉구했다.

유 시장은 "중앙집권적인 사고에서 비롯된 시대착오적인 중앙정부 중심의 정치행정 체계는 불평등한 재정 분배 방식과 각종 규제 등으로 지방정부 책임을 다하는데 한계 상황에 있는 것이 사실"이라며 "지방 분권의 정신을 헌법에 포함시키는 지방분권형 헌법 개정안을 마련하고, 중앙정부에 집중된 자치조직권, 인사권, 재정권 등의 권한을 합리적으로 지방정부에 과감하게 이양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주요 특별지방행정기관을 지방으로 이관하고, 이 과정에서 지방정부의 참여를 보장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재명 대통령이 1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전국 시도지사 간담회를 마치며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앞줄 왼쪽부터 강훈식 대통령비서실장,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 김두겸 울산시장, 강기정 광주시장, 오세훈 서울시장, 이 대통령, 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장 유정복 인천시장, 박형준 부산시장, 이장우 대전시장, 최민호 세종시장, 김경수 대통령 직속 지방시대위원장. 뒷줄 왼쪽부터 오영훈 제주도지사, 이철우 경북도지사, 김관영 전북도지사, 김영환 충북도지사, 김동연 경기도지사, 김진태 강원도지사, 김태흠 충남도지사, 김영록 전남도지사, 박완수 경남도지사, 김정기 대구시장 권한대행, 우상호 대통령실 정무수석. 연합뉴스

한편 이날 오영훈 제주지사는 이 대통령에게 창의성과 기술을 결합한 인공지능(AI) 기반 재난대응과 청소년 교통비 무료화 등의 정책을 제안했다.

오지사는 "AI 3대 강국을 향한 AI 기반 재난대응에 제주가 선봉에 서겠다"며 응급차량 긴급지원 시스템과 구축 중인 AI 재난대응 시스템을 소개했다. 또 제주도가 광역 단위 최초로 시행한 청소년 버스 전면 무료의 전국 확산을 제안했다.



■기사제보
▷카카오톡 : '한라일보' 또는 '한라일보 뉴스'를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 064-750-2200 ▷문자 : 010-3337-2531 ▷이메일 : hl@ihalla.com
▶한라일보 유튜브 구독 바로가기


  • 글자크기
  • 글자크기
  • 홈
  • 메일
  • 스크랩
  • 프린트
  • 리스트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기사에 대한 독자 의견 (0 개)
이         름 이   메   일
8115 왼쪽숫자 입력(스팸체크) 비밀번호 삭제시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