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표 이모저모]강창일 후보 아침 일찍 투표
제18대 총선 제주시 갑선거구에 출마한 통합민주당 강창일후보는 9일 오전 7시 30분 제주시 한라초등학교에 마련된 투표소를 찾아 부인 장용선씨와 함께 투표했다.
고대로 기자 ㅣ 2008. 04.09. 13:32:05
[투표 이모저모]마라도 주민 25명 투표 참여 못할듯
 ○ …제주도 전해상에 내려진 풍랑주의보로 마라도 주민 25명이 투표에 참여하지 못하고 있는 벌어져 주민들이 발만 동동.  서귀포시 대정읍 마라도 주민들은 대정읍 사무소에서 투표를 해야 하지만 이날 0시를 기해 내려진…
고대로 기자 ㅣ 2008. 04.09. 11:41:53
[투표 이모저모]투표확인증 배부해도 저조
 ○ …제주특별자치도선거관리위원회가 투표에 참여한 유권자들에게 공공시설 이용 할인혜택을 누릴수 있는 '투표확인증'까지 주고 있으나 투표참여가 저조.  도선관위는 투표 참여자들에게 박물관과 국가·도 지정 문화재…
고대로 기자 ㅣ 2008. 04.09. 11:31:43
강금실민주당선대위장, 지지호소 회견
통합민주당 강금실 선대위원장이 8일 오전 제주특별자치도의회 도민의 방에서 강창일·김우남·김재윤 제18대 총선 후보와 동석한 가운데 기자회견을 열고 통합민주당 후보들에 대한 도민들의 지지를 호소했다. 강 위원장은 이…
고대로 기자 ㅣ 2008. 04.09. 00:00:00
강금실 기자회견 "국민 무시 위험한 독주 막아야"
통합민주당 강금실 선대위원장은 8일 오전 제주특별자치도의회 도민의 방에서 강창일·김우남 ·김재윤 후보가 참석한 가운데 기자회견을 열고 정부 여당의 독주를 견제할 수 있도록 통합민주당 후보를 지지해 달라고 호소…
/고대로 기자 ㅣ 2008. 04.08. 10:44:14
[4^9총선 선대위원장에게 듣는다]
'견제세력'역할 최선^부동층 공략 주력 김 태 균 통합민주당 제주도당 선거대책위원장 지난 대통령 선거에서 국민들의 지지를 얻지 못하고 이명박 정부를 탄생시킨 가운데 맞이한 4·9총선. 통합민주당 제주도당은 세명의 현역…
고대로 기자 ㅣ 2008. 04.04. 00:00:00
'정책' 외면… '약점'만 공략
한라일보와 제주CBS, KCTV제주방송, 제주의소리 공동주최로 31일 오전 KCTV제주방송에서 열린 제18대 총선 서귀포시 선거구 2차 합동토론회에서 4명의 후보들은 상대방의 약점을 집중 공략하면서 서귀포시를 살릴 수 있는 후보는 자…
고대로 기자 ㅣ 2008. 04.01. 00:00:00
[쟁점2] 내국인카지노 유치
내국인 카지노 유치와 관련 4명의 후보들은 도민합의를 전제로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는 입장을 보였다. 자유선진당 현영대 후보는 "도민들의 이용을 완전 차단하는 것을 전제조건으로 접근해야 한다"며 "제주관광활성화를 …
고대로 기자 ㅣ 2008. 03.19. 21:00:00
[쟁점1] 한미FTA 협상안 국회비준
한미FTA 협상안 국회비준에 대한 입장을 묻는 질문에 무소속 현경대 후보와 자유선진당 현영대 후보, 한나라당 김동완후보는 "개방이라는 시대적 흐름에 따라 수용해야한다는 입장을 보였고 통합민주당 강창일 후보는 선대책 …
고대로 기자 ㅣ 2008. 03.19. 21:00:00
올해 공공요금 전면 동결
제주특별자치도가 올해 상하수도 요금과 버스 요금 등 공공요금을 전면 동결키로 했다. 제주특별자치도는 7일 오후 도청에서 물가안정대책위원회를 열고 고물가 상황이 지속되는 가운데 가계소득 수준정체, 고용여건 악화 등…
고대로 기자 ㅣ 2008. 03.08. 00:00:00
[기후변화 대응道 제주 위기인가 기회인가] <4>전문위원 위촉
정례 토론·현장 취재 통해 의제발굴 비전 제시 한라일보사가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전문위원으로 위촉한 전문가들은 기상, 대기환경, 친환경농업, 육상 및 해양생태, 수자원, 정책분야에 이르기까지 두루 포함됐다. 전문위원…
고대로 기자 ㅣ 2008. 01.23. 00:00:00
[신재생에너지 개발 어디까지 왔나](5)수소에너지
풍력으로 수소 만들어 전기생산 성공올 한해 112억 투자해 기본 시설 완비 제주특별자치도는 차세대에너지이자 꿈의 에너지로 각광받고 있는 수소에너지 실증사업에 주력하고 있다. 수소는 지구상에서 가장 풍부한 자원이자 …
고대로 기자 ㅣ 2008. 01.11. 00:00:00
[신재생에너지 개발 어디까지 왔나](4)풍력발전
현재 22기 가동… 민간사업자 참여 활발道, 올해 60억 투자 국산화 기술개발 추진자연경관· 환경 훼손 극복방안은 숙제로 제주특별자치도의 풍력발전산업은 이미 상업화 수준을 넘어서 풍력 발전기 국산화 시대를 대비할 정도…
고대로 기자 ㅣ 2008. 01.10. 00:00:00
[신재생에너지 개발 어디까지 왔나](3) 태양광 발전사업
[연중기획/기후 대응道 제주 위기인가 기회인가]현재 15곳… 전력 7백여㎾ 생산막대한 시설투자비 해결이 관건 제주특별자치도는 화석연료 사용감축과 청정에너지 보급확산 및 지역에너지 자급기반 구축을 위해 태양광 발전…
고대로 기자 ㅣ 2008. 01.08. 00:00:00
[신재생에너지 개발 어디까지 왔나](2)지열에너지 사업화
[연중기획/기후 대응道 제주 위기인가 기회인가]시스템 구축시 유류비 50% 절감…시설비·환경오염차단 등 과제도 제주특별자치도는 시설재배 농가의 유류비 부담을 줄이기 위해 지열(지하공기)에너지를 냉·난방용으로 이용…
고대로 기자 ㅣ 2008. 01.07. 00: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