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이 살고 있는 서울 강북 아파트보다 제주 노형동 등 택지개발지구내 단지형 아파트가 1억원 정도 비싸다. 말로만 들을 때는 제주 부동산 가격이 크게 다가오지 않았는데 제주에서 직접 생활해 보니 실감이 난다. 퇴직후 제주에서 살고픈 마음도 있었는데 집값을 생각하면 엄두가 안난다." 올해 초 제주로 발령받은 한 공기업 직원의 말이다.
무섭게 오른 제주지역 집값은 도민은 물론 '제주살이' 바람을 타고 전국적으로 뜨거운 관심사 가운데 하나다. 높은 관심을 업고 상승행진을 계속하던 도내 아파트값이 올 4월 1년 8개월만에 보합세로 돌아섰던 것이 8월 하순부터 다시 소폭의 상승세를 타면서 일각에선 조심스럽게 '짧은 조정기가 끝난 것 아니냐'는 의견을 내놓고 있다. 하지만 최근 자연녹지 지역 등에 주택이 마구잡이식으로 지어지면서 공급과잉 우려에다 미국 연방금리제도 위원들의 발언으로 비춰볼 때 미국 금리인상이 머지 않았다는 시각도 만만찮아 국내 금리에 미칠 영향 등을 감안할 때 '집값 흐름을 좀 더 지켜봐야 한다'는 분석이 엇갈리는 등 제주 주택시장은 그야말로 안갯속이다.
▶주택 평균매매가격 상승폭은 확실히 둔화됐는데…= 한국감정원의 도내 주택 평균 매매가격을 보면 올 1월 1억9289만원, 2월 1억9494만원, 3월 1억9576만원에서 4월 1억9616만원, 8월 1억9646만원으로 지난 4월 이후에는 등락폭이 축소돼 왔다.
도내 아파트 평균매매가격 역시 2015년 1월 1억6260만원에서 7월 2억1093만원, 11월 2억2142만원, 올 1월 2억3389만원으로 가파른 급등세를 보이다 3월 2억4005만원, 8월 2억4049만원으로 최근 몇달 동안은 소폭의 등락을 거듭하면서도 2억4000만원대에 머물러 있는 모습이다.
하지만 한국감정원의 주간 아파트 가격동향을 보면 아파트 매매가격은 8월 넷째주 0.11% 상승에서 마지막주 0.09%, 이달 5일 0.11% 올라 3주 연속 상승세다. 올 4월 상승행진을 멈춘 후 보합세와 소폭의 내림세를 반복하던 것이 4개월여만인 8월 하순부터 소폭의 상승세로 전환되면서 앞으로 주택가격이 어떻게 전개될지에 대한 관심은 더욱 높아지는 모습이다.
▶가계대출 10조원 시대 코앞=올 6월말 기준 도내 금융기관의 가계대출 잔액은 9조5621억원으로 1년 전보다 40.6% 늘었다. 전국 16개 시도 가운데 최고 증가율이다. 6월중에만 가계대출이 2969억원 늘어 올들어 증가폭이 가장 컸다. 이같은 추세라면 2~3개월 내로 가계빚이 10조원을 넘어설 것으로 점쳐지는 상황이다.
이처럼 도내 가계대출 잔액이 증가한 것은 주택 등 부동산시장이 호조세를 띠면서 부동산 투자에 대한 높은 관심이 반영된 탓이다. 또 사상 초저금리 장기화로 활황세를 보이는 부동산만한 투자처가 없다는 인식도 부동산시장에 불쏘시개 역할을 했다.
꾸준한 제주로의 인구 유입도 부동산 경기를 끌어올렸다. 올 상반기동안 제주로 순이동한 인구는 8447명으로 작년 같은기간(6549명)보다 28.9% 늘었다. 상반기 중 도내 세대수는 5732세대(제주시 3663세대, 서귀포시 2069세대) 늘었다.
▶국내 금리변화도 예의주시해야=문제는 현재의 사상 초저금리 기조가 언제까지 지속되느냐의 문제다. 당장은 가계대출 이자율을 훌쩍 뛰어넘는 집값 상승률이 반가운 상황이지만 금리 상승기에는 대출이자 부담으로 가계 부실 상황에 맞닥뜨릴 수도 있다.
미국 연방금리제도 위원들이 최근 연내 금리인상을 예고한 가운데 오는 11월 미국 대선을 감안하면 12월 인상 가능성을 점치는 시각이 적지 않다. 과거 상황을 볼 때 미국의 기준금리가 인상 또는 인하되기 시작하면 국내의 경우 1년 정도의 시차를 두고 따라가는 모양세를 나타냈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부동산 114는 추석 이후 부동산시장 관전포인트를 통해 "2004년 6월부터 시작된 미국 금리인상과 2007년 8월 시작된 미국의 금리 인하때 약 1년 정도의 시차를 두고 국내 금리도 오르내렸다"고 밝혔다. 이어 "현재 국내 금융권 전체 가계대출 잔액 중 주택담보대출 비중이 절반 가까이를 차지하는 상황에서 미국 연준의 금리인상 기조에 따라 국내 금리가 오르면 주택담보대출에 대한 가계부채 상환 압박이 가중돼 주택시장 위기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며 "금리변화에 대비해 부채상환 능력을 철저히 점검해야 할 시점"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