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완구, “한 푼도 받지 않았다” 해놓고 성완종 측근에 ‘줄전화’ 한 이유는?

이완구, “한 푼도 받지 않았다” 해놓고 성완종 측근에 ‘줄전화’ 한 이유는?
  • 입력 : 2015. 04.13(월) 17:09
  • 뉴미디어부 기자 hl@ihalla.com
  • 글자크기
  • 글자크기

국회 정치분야 대정부질문 정청래·이완구/ 사진=연합뉴스

이완구 국무총리는 13일 이른바 ‘성완종 리스트’ 파문과 관련, 돈을 한푼도 받은 적이 없고 수사에는 성역이 없는 만큼 검찰 수사에도 응할 용의가 있음을 내비쳤다.

이 총리는 이날 국회 정치분야 대정부질문에서 정청래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이 ‘검찰 수사에 응할 용의가 있느냐’는 질문에 “당연하다. 총리를 포함해 누구도 성역이 있을 수 없다”고 단호히 말했다.

정 의원의 ‘총리직을 내려놓고 수사받으라’라는 요구에 이 총리는 “일국의 국무총리가 메모에 연유도 모르는 이름이 있다고 해서 그렇게 하는 건 온당치 않다”고 반대 입장을 분명히 밝혔다.

이 총리는 또 자신의 이름이 성 회장이 남긴 메모에 남겨 있는 이유에 대해선 “전화통화에서 법과 원칙을 강요했고, 억울한 게 있으면 검찰에 당당히 수사받으라고 한 것이 섭섭했던 모양”이라고 추론했다.

이 총리는 특히 성 전 회장에게 후원금을 받지 않았다고 강조했다. 이 총리는 정 의원이 ‘성 전 회장과 언제 일면식이 있었느냐’고 묻자 “제가 15·16대 국회의원 말쯤인 2003년, 2004년쯤 본 것 같다”며 “충남도지사 재직 당시 2008년부터 2년 간 안면도 개발권을 둘러싸고 경남기업과 송사를 벌인 적이 있으며 2006년 정치자금법 도입 이후 후원금으로 1만원 한 장 받은 적이 없다. 밀접한 관계에 없으니 돈받을 이유도 없다”고 했다.

이 총리는 이어 “정치인으로 후원금 한 푼 받지 않았고 충청포럼에 가입한 적도, 대선자금에 관여한 바도 없다”며 “이 분과 밀접한 관련이 없다”고 재차 강조했다.

이 총리는 지난 11일 새벽 태안군 의회 이용희 부의장과 김진권 의원에게 전화를 걸어 고압적인 태도로 성 전 회장과의 대화 내용을 캐물었다는 주장에 대해선 “이용희 부의장과는 도지사시절부터 친분이 두터워 친분 있는 분이 제 말을 해 보도됐으니 친분이 없다면 모를까 전화해서 알아보는 것은 당연하지 않느냐”고 반문했다.

이 총리는 특히 “15차례 전화를 했다고 하는데 실제로는 서로 엇갈려 통화가 안됐고 3∼4번 통화한 것”이라고 해명했다.
  • 글자크기
  • 글자크기
  • 홈
  • 메일
  • 스크랩
  • 프린트
  • 리스트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기사에 대한 독자 의견 (0 개)
이         름 이   메   일
8265 왼쪽숫자 입력(스팸체크) 비밀번호 삭제시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