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치의 날을 아시나요!
2022-11-07 20:03

원본 이미지 크기입니다.
조윤아,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요즘 젊은 세대들에게 김치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것이 무엇일까? 혹시 사진 찍을 때 하나, 둘, 셋 하면 ‘김치~’라고 하는 것이 떠오르지 않을까? 지난 11월22일은 국가에서 법정 기념일로 정한 제1회 김치의 날이었다.
“한국인은 김치 없이 살 수 없다.”라는 말이 있다. 이 말처럼 한국인의 밥상에는 늘 김치가 있다. 그렇다면 11월 22일이 무슨 날인지 아는가? 바로 국가에서 법정기념일로 정한 ‘김치의 날’이다. 아마 제대로 답을 할 수 있는 사람은 거의 없을 것이다. 우리는 김치가 우리의 것이라고 자부하면서도 정작 김치의 날이 있는지는 모르는 것이다.
김치의 날은 ‘김치산업 진흥법 일부개정법률’에 따라 김치 문화 계승·발전과 국민에게 김치의 영양적 가치와 중요성을 알리기 위해 매년 11월 22일로 지정되었다. 이는 김치 소재 하나하나(11월)가 모여 22가지(22일)의 효능을 나타낸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김치는 우리나라 전통 발효식품으로 소금에 절인 채소에 젓갈과 고추, 파, 마늘 등 여러 가지 양념을 버무려 담근 음식이다. 김치는 각종 무기질과 비타민이 풍부해 영양학적으로 우수한 식품으로 면역력 증진 및 바이러스 억제, 항산화 효과, 변비와 장염 및 대장암 예방, 콜레스테롤 및 동맥 경화 예방, 다이어트 효과, 항암효과 등의 효능을 가지고 있다.
김치는 먼 과거부터 시작되었다. 과거부터 채소는 보존이 어려운 식품 중 하나였다. 채소는 말리면 영양가가 줄어들고 맛도 없어졌다. 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채소를 소금에 절이게 되었고, 오래 보관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게다가 소금 외에도 장이나 초, 향신료 등을 함께 섞어서 두었더니 새로운 맛과 향이 보태진 식품이 탄생했는데 이것이 채소절임 식품인 김치의 시작이라고 볼 수 있다.
이후 김치는 지역의 특색에 맞게 다양하게 변했다. 예를 들면 제주도 김치는 섬이라는 특성상 해물이 많이 들어가고 국물이 넉넉한 편이다. 또한 섬이라 양념이 귀해 양념을 적게 써서 만든다고 한다.
최근 미국에서도 우리나라가 김치의 종주국임을 인정하여 11월 22일을 김치의 날로 지정하였다. 이렇듯 해외에서도 김치의 날을 제정하고 김치의 우수성을 인식하며 김치의 가치에 대해 알린다.
하지만 한국에서 김치의 날을 인식하는 이들은 많지 않다. ‘익숙함에 속아 소중한 것을 잃는다.’는 말처럼 김치도 그럴 수 있다고 생각한다.
우리는 김치가 늘 우리 곁에 있는 것을 당연하게 여기고 있지만 언젠가는 김치가 우리 식탁에서 사라질 수 있다. 김치를 빼고는 한국인의 밥상을, 한국의 음식문화를 논할 수 없다. 오는 11월 22일에 많은 국민들이 김치의 소중함을 되새길 수 있기를, 그리고 언젠가는 11월 22일이 전 세계인이 즐기는 '김치데이'가 되기를 기대해본다.

No 제목 이름 날짜
3347 3.8 세계여성의 날 기념 BPW 한국연맹 제주클럽   ×1 bpwkoreajeju 03-08
3346 3․8세계여성의날 기념 YWCA제주특별자치도협의회-제주경찰청 간담회 개최  ×1 (사)서귀포YWCA 03-08
3345 제주시 청년 행복 소통e, 직접 민주주의 꽃피웁니다!  ×1 ×1 제주시 청년지원팀장 이명기 03-08
3344 「흙의 날」에 생각해보는 흙의 소중함  ×1 ×1 비밀글 조정훈 03-07
3343 열린평생학습디자인에 도민제안을 담는다  ×1 ×1 문원영 03-06
3342 기고(인공지능 스마트경로당 본격 추진)  ×1 제주도청 유은숙 03-06
3341 왜 제주는 분산에너지 특구 지정을 위해 노력하는가  ×1 ×1 에너지산업과 오정헌 03-06
3340 우리아이들의 ‘건강한 한끼’, 세이브더칠드런이 함께 합니다  ×1 서부종합사회복지관 03-06
3339 들불축제와 함께 제주 축산을 생각한다 비밀글 양창범 03-06
3338 파란 하늘을 위한 작은 실천, 자동차 탄소 중립 포인트제  ×1 고기봉 03-02
3337 제주 미래농업을 위한 혁신의 주체는 농업인이다.  ×1 ×1 비밀글 김혜은 03-02
3336 체리슈머와 로컬푸드  ×1 ×1 비밀글 조정훈 03-02
3335 서귀포YWCA, 국민취업지원제도 참여자 모집 신민경 02-28
3334 이도2동, 모두가 함께하는 즐거운동네사업 추진   ×1 ×1 이도2동 02-27
3333 13월의 보너스 고향사랑기부제와 함께  ×1 ×1 한미선 02-24
3332 사회복지법인 청수 한부모와 자녀들 입학&졸업 축하 기념식 개최  ×1 애서원 02-23
3331 (기고)대공간 지하층 피난 안전관리의 중요성  ×1 ×1 안덕119센터 소방사 김덕남 02-22
3330 제이피엠 사랑의 헌혈봉사  ×1 (주)제이피엠 02-20
3329 지방이 살아야 나라가 산다  ×1 강평구 02-16
3328 정전 사고 예방을 위한 아파트 노후 변압기 교체․지원  ×1 한전 제주본부 영업계획팀장 김경수 02-15
3327 기후위기시대 자연보호 활동의 중요성  ×1 자연보호중앙연맹 표선면지회장 강 희 02-14
3326 중문요양원 화재안전컨설팅  ×1 중문119센터 소방사 강준수 02-14
3325 기고(인공지능으로 어르신의 삶의 질 높인다)  ×1 유은숙 02-13
3324 안전한 물 통합관리에 달렸다.  ×1 고기봉 02-12
3323 기고(윤달 앞두고 화정서비스 확대)  ×1 제주도청 유은숙 0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