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의 食문화, “전통주”를 아시나요?
2022-01-07 17:00
제주도청 식품원예과 김지영 주무관 (Homepage : http://)

원본 이미지 크기입니다.
우리의 食문화, “전통주”를 아시나요?

제주도청 식품원예과 김지영 주무관

코로나로 모임·회식은 자제하고 집에 일찍 들어와야 해서 술집 대신 집에서 ‘혼술’ 또는 ‘홈술(집술)’을 즐기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온라인 구매가 가능한 전통주의 경우 호기심 많고 새로운 변화를 추구하는 2030세대 덕분에 ‘홈술’ 스타로 자리매김했다. 전통주에 관심을 갖는 세대가 5060세대에서 40대로, 이제는 MZ세대인 20~30대로 연령대가 점차 낮아지고 있다는 것도 주목할 만하다.

「전통주 등의 산업진흥에 관한 법률」에 따르면 전통주란 대한민국 식품명인, 무형문화재 보유자, 농업인 등이 지역농산물로 제조한 지역특산주로 규정하고 있다. 하지만, 전통적인 방법으로 제조한 경우에도 제조자의 법적인 자격과 무관하게 전통주로 인정해야 한다는 요구가 지속되고 있는 실정이다.

2020년 기준으로 전통주(민속주, 지역특산주) 출고액은 전체 주류시장의 0.58%이나, 온라인 판매 허용 등으로 매년 성장하고 있는 추세이고, 전통주에 대한 관심 증가로 전통주 제조면허수 역시 증가하고 있다. 한편, 전통주의 온라인 판매 허용은 영세한 전통주 제조자 보호와 육성을 위해 주류제조면허 담당부처인 국세청에서 2017년에 고시를 개정하면서 가능해졌다. 이로 인해 11번가, 네이버 같은 일반 온라인 쇼핑몰에서도 전통주를 쉽게 구입할 수 있다. 그러나 아쉽게도 지난 2년 동안 지속된 코로나19로 전국의 전통주 양조장들은 체험 방문객이 현저히 줄었고, 강력한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해 여행 인구가 줄면서 매출도 감소했다.

과거 우리의 술이 ‘애환’이었다면, 이제 술은 ‘문화’이다. 우리 조상들은 전통술을 단순한 기호음료가 아닌 음식이라고 여겨, 술을 마신다고 하지 않고 술을 먹는다고 했다. 우리에겐 조선시대에 집집마다 술을 빚던 가양주 문화가 일제강점기를 거쳐 파괴된 후 시골 동네에서 몰래 담그던 밀주의 시대를 경험한 아픈 역사가 있다.
전통주는 나름의 스토리를 갖고 있어서 하나씩 알아가는 재미 또한 쏠쏠하다. 전통주 제조방법이나 맛이 궁금하다면 「찾아가는 양조장」을 방문해보길 권한다. 전국에 46개소가 있고 제주에는 제주샘주와 제주술익는집 2곳이 있다.

No 제목 이름 날짜
3133 제16회 설문대할망페스티벌 개최햄수다 하영옵서예  ×1 문병혁 05-02
3132 5월 10일은 바다에 미래를 심는 "바다식목일" 바다에 생명을  ×1 이해창 05-01
3131 5월 10일은 바다에 미래를 심는 "바다식목일" 바다에 생명을  ×1 이해창 05-01
3130 [기고] 야영장에서 흔적을 남기지 않고 떠나기  ×1 도 도시계획재생과 신유경 04-28
3129 생활 하수 처리 방법 홍보, 도민이 더욱 체감할 수 있는 효과적 방법 마련해…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4학년 강지훈 04-28
3128 곱을락'樂' 삼촌들 편안하우꽈~?  ×1 고경희 04-27
3127 일자리가 가져다준 행복  ×1 염옥란 04-26
3126 일상생활 사고 피해, ‘도민안전보험’으로 보상 받으세요  ×1 ×1 제주시 안전총괄과 김성수 04-26
3125 전쟁으로 주목받는 농업의 중요성  ×1 ×1 비밀글 농협경주환경농업교육원 김종우 교수 04-25
3124 개발,무관심에 사라지는 용천수제도 개선 필요  ×1 기봉 04-25
3123 삭제 비밀글 삭제 04-22
3122 소상공인의 든든한 퇴직금 노란우산공제에 가입하세요   ×1 문원영 04-21
3121 출력제어, 분산에너지 그리고 에너지 분권  ×1 ×1 오정헌 04-21
3120 4월 22일 자전거의 날 “자전거로 제주를 지켜요!” 소중한 지구를 지키는 …  ×1 강태욱 04-20
3119 대학의 위기, 제주의 위기  ×1 원고운,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04-18
3118 [기고] 확산이 끊이지 않는 불법광고물  ×1 ×1 오라동주민센터 김건 04-18
3117 코로나19시대, 힐링 제주는 산불예방으로 부터...  ×1 도 세계유산본부 비자림관리팀장 하성현 04-13
3116 지구의 날, 한 사람의 열 걸음보다 열 사람의 한 걸음부터  ×1 ×1 임지은,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04-12
3115 서귀포YWCA 달리는 건강 쿠킹버스 활용한 식생활개선 교육 시민대상 교육 참…  ×2 서귀포YWCA 04-11
3114 [기고]작은 불티도 다시 보자  ×1 ×1 남원119센터 오봉근 04-10
3113 고사리 꺾을 땐 함께가요  ×1 ×1 양희진 04-06
3112 일회용품 없는 제주, 미래 세대를 위한 약속  ×1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2학년 고민희 04-06
3111 어른들은 주차장을 만들겠죠  ×1 ×1 비밀글 홍라원 04-05
3110 한라산탐방로 쓰레기종류  ×1 ×1 김용훈 04-04
3109 심각해지는 미세먼지, 이제는 행동할 때!  ×1 임승현 04-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