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농촌에 부는 스타트업 바람을 기대하며
2020-11-17 16:47
송민형 (Homepage : http://)

원본 이미지 크기입니다.
올해 들어 귓가에 자주 오르락내리락하는 단어가 하나있다. ‘스타트업’이 바로 그것이다. 동명의 제목으로 드라마가 인기리에 방영될 정도이면 이미 우리들 주변에 상당히 알려져 있다고 할 수 있다. 스타트업은 그 잣대가 꽤 다양해서 정확히 정의내리기는 힘들다. 다만, 현재의 불확실성을 극복하고 제품과 서비스를 창출해내는 조직이라 포괄적으로 말할 수 있을 것이다. 꼭 기업가치 1조 이상을 달성해 성공신화를 쓰고 있는 사례들만 스타트업에 포함할 필요는 없다. 우리 주변, 특히 농촌지역에도 성공을 위해 열정을 쏟고 있는 스타트업 조직이 있는데 바로 ‘청년농부’ 또는 ‘청년창업농’이 그들이다.

스타트업 세계에도 경쟁이 치열하니 자연스레 많은 실패가 뒤따르고 있다. 그래서 많은 전문가들은 실패를 겪더라도 다시 도전할 수 있는 제도적 뒷받침과 스타트업 생태환경 조성 등의 지원을 강조하고 있다. 그런데 농업에 도전하다 실패를 맛보게 되는 이들은 재도전하기 보다는 역귀농을 선택하고 만다. 농촌진흥청과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공동으로 조사한 귀농·귀촌인 정착실태 장기추적조사에 따르면 지난 해 역귀농률이 8.6%라고 밝힌 바가 있다. 심지어 한 귀농인은 전체 귀농인 중 평균 30%는 역귀농한다고 전했다.

지속가능한 발전을 바라지만 우리의 농촌 현실은 가혹하다. 통계청 조사에 따르면 작년 한 해 전남의 해남군 인구에 맞먹는 약 7만명의 농업인구가 감소했다고 한다. 또한 우리 농촌 경영주들의 평균 연령은 68.2세로 초고령화 사회를 한참 전에 진입했다. 이와 같은 악화일로의 상황에서 우리의 밥상을 책임질 청년농부를 비롯한 귀농인의 농촌사회 정착은 더없이 절실한 상황이다.

뿐만 아니라 코로나 일상의 원년인 지금 식량안보는 더욱 주목받고 있다. 코로나 봉쇄 속 각 나라의 식량정책과 이상기후로 인한 자연재해로 인해 우리의 식량 수급이 순식간에 어려움에 직면할 수 있다는 것을 체감할 수 있다. 또한 뭇매에 장사없다는 말처럼 정신없이 쏟아지는 위기상황이 지속된다면 우리는 과잉생산을 걱정했던 과거의 상황이 무색할 정도로 식량 주권을 상실하게 될 것이다. 사실 우리의 식량 자급률은 약 47%, 곡물의 경우 약 22%에 불과해 그 자급률은 세계 최하위 수준이다. 우리 농업을 지켜줄 동량들이 너무나도 간절한 상황이다.

귀농에 실패하는 데에는 여러 가지 원인이 있다. 앞서의 귀농·귀촌인 정착실태 장기추적조사에 따르면 자본과 정보의 부족, 현지 주민과의 불화가 역귀농의 주된 이유라는 것이 확인된다. 그러므로 정부와 지자체, 농협은 더욱 더 실효성있는 방안을 다각도로 강구하여 실질적 지원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힘써야 한다. 그리고 지역주민들은 생활방식의 차이가 존재함을 인식하고 상생을 대전제로 삼아 발생하는 갈등을 해소하고자 노력해야 한다. 끝으로 귀농인들은 주민들과의 화합이 귀농의 성패를 좌우한다는 공동체 의식을 가져야 한다. 또한 영농 노하우를 전수받고 연구하는 배움의 자세를 견지해서 영농에 임한다면 훌륭한 생활의 터전을 가꿀 수 있다.

조선 후기 학자 정학유가 지은 ‘농가월령가’에는 24절기에 맞게 필요한 농사기술과 세시풍속이 잘 서술되어 있다. 그 중 지금 시점과 일치하는 ‘10월령’을 살펴보면 김장을 하고 가족과 마을의 화목을 권하여 닥쳐올 겨울대비와 내년 농사의 풍작을 기원하고 있다. 옛 선조의 지혜에서 알 수 있듯이 지역주민, 귀농인과 정부·지자체 삼자는 서로 이해하고 화합을 다져 우리 농업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얼마 전 농업인의 날 기념식에서 문재인 대통령은 기존 농업인과 청년농부의 성과에 감사해하며 우리 농촌이 민족 공동체의 터전임을 역설하였다. 앞으로도 농업의 가치를 더 많은 사람들이 이어받아 우리의 들녘에 스타트업 바람이 끊기지 않고 계속 불어 지속가능하고 살맛나는 농촌이 되기를 기대한다.

No 제목 이름 날짜
3991 보이지 않는 곳에서 청정 제주의 미래를 지키는 하수처리 이야기   ×1 상하수도본부 공공하수처리시설 현대화사 04-17
3990 [기고] 청년농업인, 지속 가능한 농업의 미래를 여는 열쇠  ×1 ×1 오종훈 04-16
3989 [기고] 내 재산은 내가 지킨다! 풍수해·지진재해보험!  ×1 장명서 04-16
3988 "제주, 가로등 불빛의 밝혀 드립니다. “한 줄기 빛으로 시작되는 안심의 …  ×1 심소연 04-14
3987 봄철 부주의 화재, 예방이 최우선!  ×1 제주소방서 외도119센터 조영수 04-14
3986 환경은 선택이 아니라 생존이다  ×1 ×1 강지상 04-11
3985 산불, 우리 모두가 경각심을 가져야 할 때!  ×1 김제현 04-11
3984 (기고) 비밀글 박승빈 04-10
3983 전동가위 사고 주의! "안전이 수확의 시작입니다”  ×1 제주특별자치도의용소방대연합회 여성회장 04-10
3982 (기고)제주 바다를 지키는 작은 실천, 플로깅의 힘 제주 해양수산연구원 김수강 04-10
3981 불법 소각, 더 이상은 안 됩니다  ×1 ×1 아라119 센터장 김승률 04-09
3980 두 바퀴 위의 제주, 변화의 길을 찾다  ×1 오명수 04-07
3979 산불, 우리 모두가 경각심을 가져야 할 때!  ×1 김제현 04-04
3978 [기고] 봄철 산불, “작은 부주의”가 대형 사회재난으로 이어집니다.   ×1 ×1 김지훈 04-04
3977 119구조대가 알려주는 봄철 안전하게 산행하기  ×1 제주소방서 119구조대 김현진 04-02
3976 고사리 채취 안전수칙!  ×1 제주특별자치도의용소방대연합회 여성회장 03-31
3975 서귀포시노인복지관, 고치모영봉사단 어반스케치팀 '겨울이야기25' 작품…  ×2 서귀포시노인복지관 03-27
3974 [기고] 오동통통 고사리 안전하게 따세요  ×1 제주소방서 119구조대 김현진 03-27
3973 (기고)김 육상양식산업의 미래, 제주 염지하수가 답이다  ×1 제주특별자치도 해양수산연구원 김수강 03-26
3972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찾아가는 청소년 노동 인권 교육…  ×1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 03-19
3971 세계 물의 날을 맞이하여  ×1 고기봉 03-15
3970 (사)제주YWCA, ‘2025 1차 이사실무자 연수’ 진행  ×1 (사)제주YWCA 03-12
3969 길어진 바닷속 여름, 수산물이 사라지고 있다.  ×1 제주특별자치도 해양수산연구원 김수강 03-12
3968 3월 22일 물의 날, 제주 지하수가 마르고 있다  ×1 김현우 03-11
3967 도민감사관 직무와 역할  ×1 ×1 도민감사관 김용균 03-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