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단시설에서의 코로나119 방역수칙
2020-10-25 10:54
한봉석 (Homepage : http://)

원본 이미지 크기입니다.
집단시설에서의 코로나19 방역수칙

공중위생팀장 한봉석

최근 유럽의 코로나19 재확산세가 통제 불능 상태로 치달으면서 각 국가들이 극단적 조치인 봉쇄령을 다시 꺼내드는 등 비상이 걸렸다.

지난 12일 사회적 거리두기가 2단계에서 1단계로 완화된 가운데 제주도는 19일부터 ‘제주형 특별방역 행정조치(6차)’를 시행하고 있다.

업종에 따라 마스크 착용 의무화, 집합제한, 집합금지 조치가 진행 중이다.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최근 2주간(10. 9∼22일) 코로나19 국내 발생 감염경로는 요양병원 등 23.6%, 해외유입 23.6%, 집단발병 22.1%, 선행 확진자 접촉 18.2%, 조사 중 12.5%로 나타났다.

지난 1월 이후 확진자의 성별 누계를 보면 남성 47%, 여성 53%, 연령대에서는 10대 이하 8%, 20~30대 32%, 40~50대 32%, 60대 이상 28%로 조사됐다.

사망 현황은 60대 이상 94%로 나이가 많을수록 높다. 특히 80대 이상에서 치명률이 높았다.

이에 따라 병원과 요양원 등 집단시설 종사자들은 코로나19 예방을 위한 감염 예방 행동수칙을 잘 지켜야 한다.

우선 근무자, 환자, 간병 인력 등에 대한 코로나19 의심 증상을 매일 확인해 기록하고 37.5℃ 이상 발열, 기침 등의 증상이 있으면 업무를 중지하고 코로나19 진단검사를 받아야 한다.

또 손에 오염물이 묻었으면 즉시 물과 비누로 잘 씻고 2미터 이상(최소 1미터 이상) 거리두기를 실천해야 한다.

이와 함께 허가받은 환경 소독제를 사용해 손이 닿는 표면 등을 닦아 내는 방법으로 자주 소독 및 환기를 해야 한다.

불가피한 경우를 제외하고 시설 내 모든 사람은 항상 마스크를 코 접촉 부분을 눌러 얼굴에 밀착되도록 올바르게 착용한다.

마지막으로 발열과 호흡기 증상이 있는 사람은 시설 출입을 삼가하고, 마스크 착용, 손 소독 등 감염관리 수칙을 철저히 준수하여 시설을 이용해야 한다.

사회적 거리두기가 1단계로 완화됐다고 해서 느슨해져선 안 된다. 감염 예방 행동수칙을 잘 지키는 게 코로나19를 극복하는 최선의 방법이다.




No 제목 이름 날짜
3991 보이지 않는 곳에서 청정 제주의 미래를 지키는 하수처리 이야기   ×1 상하수도본부 공공하수처리시설 현대화사 04-17
3990 [기고] 청년농업인, 지속 가능한 농업의 미래를 여는 열쇠  ×1 ×1 오종훈 04-16
3989 [기고] 내 재산은 내가 지킨다! 풍수해·지진재해보험!  ×1 장명서 04-16
3988 "제주, 가로등 불빛의 밝혀 드립니다. “한 줄기 빛으로 시작되는 안심의 …  ×1 심소연 04-14
3987 봄철 부주의 화재, 예방이 최우선!  ×1 제주소방서 외도119센터 조영수 04-14
3986 환경은 선택이 아니라 생존이다  ×1 ×1 강지상 04-11
3985 산불, 우리 모두가 경각심을 가져야 할 때!  ×1 김제현 04-11
3984 (기고) 비밀글 박승빈 04-10
3983 전동가위 사고 주의! "안전이 수확의 시작입니다”  ×1 제주특별자치도의용소방대연합회 여성회장 04-10
3982 (기고)제주 바다를 지키는 작은 실천, 플로깅의 힘 제주 해양수산연구원 김수강 04-10
3981 불법 소각, 더 이상은 안 됩니다  ×1 ×1 아라119 센터장 김승률 04-09
3980 두 바퀴 위의 제주, 변화의 길을 찾다  ×1 오명수 04-07
3979 산불, 우리 모두가 경각심을 가져야 할 때!  ×1 김제현 04-04
3978 [기고] 봄철 산불, “작은 부주의”가 대형 사회재난으로 이어집니다.   ×1 ×1 김지훈 04-04
3977 119구조대가 알려주는 봄철 안전하게 산행하기  ×1 제주소방서 119구조대 김현진 04-02
3976 고사리 채취 안전수칙!  ×1 제주특별자치도의용소방대연합회 여성회장 03-31
3975 서귀포시노인복지관, 고치모영봉사단 어반스케치팀 '겨울이야기25' 작품…  ×2 서귀포시노인복지관 03-27
3974 [기고] 오동통통 고사리 안전하게 따세요  ×1 제주소방서 119구조대 김현진 03-27
3973 (기고)김 육상양식산업의 미래, 제주 염지하수가 답이다  ×1 제주특별자치도 해양수산연구원 김수강 03-26
3972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찾아가는 청소년 노동 인권 교육…  ×1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 03-19
3971 세계 물의 날을 맞이하여  ×1 고기봉 03-15
3970 (사)제주YWCA, ‘2025 1차 이사실무자 연수’ 진행  ×1 (사)제주YWCA 03-12
3969 길어진 바닷속 여름, 수산물이 사라지고 있다.  ×1 제주특별자치도 해양수산연구원 김수강 03-12
3968 3월 22일 물의 날, 제주 지하수가 마르고 있다  ×1 김현우 03-11
3967 도민감사관 직무와 역할  ×1 ×1 도민감사관 김용균 03-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