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식 바뀌어야 학생들이 이용한다
2019-11-08 20:32
강성범 (Homepage : http://)

원본 이미지 보기
학식, 바뀌어야 학생들이 이용한다.

우선 항상 학생들을 위해 열심히 일해주시는 생활협동조합 관계자 여러분들께 경의를 표한다.

필자는 2013년 대학에 입학하고 오랜 기간 휴학을 한 후 올해 복학했다. 학교는 입학할 때와는 다르게 많이 변했고 신입생이라는 꼬리표는 화석이라는 타이틀로 바뀌었다.

많은 것이 달라졌지만 변하지 않은 것이 있다. 바로 학교식당이다. 대부분의 대학생들은 끼니를 학교에서 해결한다. 그렇기에 저렴하고 질 좋은 학식은 학생들의 경제적 부담을 덜어주고 만족감을 높여주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타 대학에 비해 대학가가 제대로 발전하지 못한 우리 학교의 경우에는 그 중요도가 더욱 크다.

하지만 제주대 학식의 경우 그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해 안타깝다. 제주대 학교식당은 정식 3000원, 특식 4000원, 양식 5000원 등의 가격이 책정돼있다. 이에 몇몇 학생들은 학교식당에 몇 가지 문제점을 제기한다. 대표적인 의견이 바로 가격에 비해 다양하지 못한 메뉴이다. 정식과 특식을 먹어보면 몇 가지 음식이 반복적으로 제공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생활협동조합 측에서는 다양한 메뉴를 제공하겠다고 말하지만 실효는 없는 것 같다.

직접적인 비교는 어렵지만 같은 국립대인 부경대의 경우 학식으로 유명하다. 가격은 3500~6000원 사이이며 다양한 메뉴와 맛으로 인해 많은 학생들을 불러일으킨다. 또한 부경대는 학생들의 건강과 복지를 향상시키기 위해 2년 전부터 아침시간에는 학생식당의 식사메뉴를 천원에 제공하고 있다. 학생들은 오전 8시 30분부터 10시 30분까지 학내 식당에서 정식, 국밥, 찌개, 오므라이스, 카레 밥, 짜장 밥, 김밥 등 다양한 메뉴를 1000원에 이용할 수 있다. 이외에도 한국외대, 전북대 등은 다양한 음식과 저렴한 가격으로 학생들에게 큰 인기를 끌고 있다.

지속적으로 오르는 가격 또한 문제이다. 제주대신문을 살펴보면 생활협동조합측은 최저임금의 인상과 원재료 가격의 상승으로 식대를 인상하고 있다. 매년 적자가 발생하는 상황에서 어쩔 수 없는 부분이기는 하지만 몇 백 원씩 오르는 것이 학생들에게는 큰 부담으로 다가오기도 한다.

많은 학생들은 조금 더 나은 식사를 하기 위해 가격이 비싸더라도 정문과 후문으로 이동한다. 하지만 역시 음식의 질과 가격에 많은 불만을 토로한다, 그러면서 학식이 조금 더 나았으면 하는 생각을 한다.

학식이 학생들의 눈높이에 맞게 개선된다면 많은 사람들이 학식을 먹기 위해 학생식당으로 발길을 돌릴 것이다. 다양한 메뉴의 제공과 저렴한 가격, 이것이 진정한 학생을 위한 복지이지 않을까.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2학년 강성범

No 제목 이름 날짜
4066 지역을 살피는 따뜻한 눈길, 성산읍 사회보장 협의체  ×1 윤매순 07-06
4065 고향무정  ×1 ×1 강봉오 07-04
4064 무더운 여름 독서로 이겨내자!  ×1 고기봉 07-02
4063 “초록 감수성, 두 눈에 담고 마음에 심다” 서부종합사회복지관 07-02
4062 2026년 전국장애인체전을 먼저 개최하는 특별한 이유  ×1 ×1 제주도청 전국체전기획단 강수연 07-01
4061 사)제주YWCA초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6.25 전쟁 75주년 교육’ 진행  ×1 (사)제주YWCA초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 06-30
4060 (사)제주YWCA초·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주중체험활동프로그램 ‘복작…  ×1 (사)제주YWCA초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 06-27
4059 우리 팀이 어린이집으로 향하는 이유  ×1 제주시청 여성가족과 허성진 주무관 06-27
4058 반려견 등록은 의무입니다  ×1 심소연 06-26
4057 다시 찾아온 제주의 푸르른 바다, 관광 쓰레기 문제에 다시 주목해야...   ×1 신하늘 06-26
4056 지하수를 지키는 가장 힘 있는 목소리, 바로 ‘도민’입니다.  ×1 물정책과 이준호 06-25
4055 6·25참전유공자회 제주지부–한전MCS(주) 제주지사직할지점, 보훈의 달 맞아…  ×2 대한민국6.25참전유공자회제주특별자치 06-24
4054 추락하는 서귀포 구도심 상권 이대로 놔둘 것인가?”  ×1 ×1 김장관 06-23
4053 도민감사관의 역할  ×1 ×1 도민감사관 김용균 06-23
4052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청소년 도박문제예방교육’ 진행  ×1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 06-20
4051 제주 관광개발과 생태보전, 기로에 선 ‘관광 1번지’  ×1 김한휘 06-20
4050 제주 관광개발과 생태보전, 기로에 선 ‘관광 1번지’  ×1 김한휘 06-20
4049 무알콜 제도의 필요성: 건강하고 안전한 사회를 위한 새로운 선  ×1 이도이동주민센터 심소연 06-18
4048 독·미·프국의 ‘폭력으로부터의 보호법' 한국의 과제 '가해자 주거 분리  ×1 이도이동주민센터 심소연 06-18
4047 정부가 앞으로 나아가야 할 길  ×1 고동현 06-14
4046 제주에서 울리는 평화의 종, 6.25를 기억하다  ×1 문지하 06-14
4045 (사)제주YWCA초·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심폐소생술(CPR)교육’ 진행  ×1 (사)제주YWCA초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 06-14
4044 지속가능한 내일을 위한 하루, 세계 리필의 날  ×1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송유진 06-13
4043 가슴에 새기는 호국보훈  ×1 한국자유총연맹 제주특별자치도지부 회장 06-12
4042 서귀포시각장애인주간보호시설 사랑의열매 “동서남북 ᄀᆞ망ᄀᆞ망” 프…  ×1 서귀포시각장애인주간보호시설 06-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