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부의 날에 가족의 소중함을 되새기며..
2019-05-18 11:10
고기봉 (Homepage : http://)

원본 이미지 크기입니다.
부부의 날에 가족의 소중함을 되새기며...


만물의 꿈틀대며 원시 생명력을 키우는 경이로움 가득한 5월은 ‘가정의 달’이다. 길게 날짜계산을 할 필요도 없이 이건 누구나 다 아는 사실이다. 그래서 그런지 5월에는 각종 가정 관련의 기념일이 유별나게도 많다. ‘어린이날’(5일), ‘어버이날’(8일), ‘스승의 날’(15일), ‘성년의 날’(19일), ‘부부의 날’(21일)은 물론 ‘근로자의 날’(1일), ‘입양의 날’(11일), ‘세계 가정의 날’(15일) 등이 다 5월에 몰려있다.

아무리 소중하고 귀히 여겼던 것이라 할지라도, 내가 필요로 하건, 하지 않건, 가까운 곳에 오래 존재하다 보면 그 존재 자체의 감사함에 무감각 해지는 것 같다. 실은 존재함 그 자체만으로도 이미 축복임을 잊게 되는 것이다. 우리가 혹시 깨닫지 못하고 있는 축복은 없을까? 한 때는 퍽이나 소중하며 곱다고 생각했던 인연을, 당연히 곁에 있음만으로 홀대를 한 적은 없을까? 가까운 사람과의 돈독한 사랑, 귀한 사람과의 소중한 시간, 그 인연과 행복의 조건들을 더 많이 가꾸고 키우고 모으는 오늘 하루가 될 수 있다면 정말 좋겠다.

  오늘(5월 21일)은 ‘부부의 날’이다. ‘부부의 날’은 ‘우리 엄마·아빠가 함께 사는 게 소원이에요’라고 말한 어느 한 아이의 TV 인터뷰를 본 목사님께서 충격을 받아 ‘부부의 날’ 운동을 시작했고 그것이 시초가 되어 2007년 법정기념일로 제정됐다.
날짜는 가정의 달인 5월에 둘(2)이 하나(1)가 된다는 숫자로 21일에 정해진 기념일이다.

5월 21일 만큼이라도 부부가 서로 사랑한다는 따뜻한 말 한마디부터 아침을 시작하였으면 어떨까 한다. 부부의 연이 되었다는 것은 그만큼 특별한 인연이며 부부가 서로 역지사지의 심정으로 배우자의 입장에서 서로를 이해하고 소통한다면 행복한 가족문화를 정착시키는 밑거름이 될 것이고 가족해체를 예방하는 지름길이 아닐까 한다.
 
  백지장도 맞들면 가볍다고 하듯이 세상의 버거운 짐도 둘이 힘을 합치면 가벼워 질 것이고 서로 의기투합한 부부는 세상 살아가는 재미가 남다를 것이다. 부부의 날을 맞이하여 나의 힘의 원천이 되는 내 인생의 반려자와 그와 함께 만든 가족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생각해 보고 부부간 배려와 존중을 통해 가정의 소중함을 깨닫는 행복 가득한 날이 되어 가정의 달을 마무리 하였으면 좋겠다는 바람이다. 오늘부터라도 서로에게 미뤄왔던 진심의 마음들을 표현해보자.

서귀포시 성산읍 오조리 새마을 지도자(행정학 박사) 고기봉

No 제목 이름 날짜
3841 [기고]운전자는 감속을, 보행자는 밝은 옷을  ×1 ×1 강태희 10-19
3840 도민중심의 대중교통 활성화 방안  ×1 ×1 도민감사관 김용균 10-19
3839 [기고문] 지구를 지켜주세요- 지구를 위해 우리가 바꿔야할 습관  ×1 김주희 10-18
3838 귤빛여성합창단 20주년 기념 음악회 ‘Bravo My Life’  ×2 이동화 10-18
3837 메디체크 한국건강관리협회, “독감 걱정, 주사 한 방으로 날려버리세요”  ×2 메디체크 10-15
3836 "제주 해녀를 위해 건강한 바다를 만들어주세요."  ×1 박민이 10-11
3835 기고문  ×1 ×1 비밀글 보건환경연구원 10-10
3834 [기고문] 저는 자원봉사 스토리텔링 교육 강사입니다.  ×2 허숙자 10-08
3833 [기고문] 청렴과 다짐  ×1 조예진 10-08
3832 [기고]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실천이 필요할 때  ×1 현주희 10-07
3831 장애 대학생들을 위한 고용복지 안정적 뒷받침 돼야  ×1 김민성 10-06
3830 계속되는 오염수 방류, 우리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 비밀글 고은서 10-03
3829 세계 식량의 날을 아십니까? - 기후변화로 인한 식량위기  ×1 송연지 10-02
3828 [기고문] 제주, 글로벌 문화를 선도하다  ×2 김설희 10-02
3827 삭제 삭제 10-01
3826 청정 제주가 쓰레기 섬으로 전락하지 않으려면 - 환경보전분담금 부과 추진…  ×1 오세빈 10-01
3825 올레길에 쓰레기를 버리지 말자. 그 이유는!?! 궁금한 제주Y 환경기자단 09-30
3824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찾아가는 청소년 안전센터’ 진…  ×1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 09-30
3823 이대로 가다간 ‘제주 삼다수’가 없어진다고?  ×1 오세빈 09-29
3822 [기고]소방시설의 철저한 관리가 안전을 지킵니다.  ×1 ×1 노형119센터 소방사 강정준 09-28
3821 전기차 화재 시 안전한 대처 요령  ×1 ×1 이상수 09-27
3820 전기차 화재 시 안전한 대처 요령  ×1 ×1 이상수 09-27
3819 앞으로 명절 선물로 손편지를 써보자!  ×1 송연지 09-27
3818 제주 푸드테크 스타트업, 자생력 기반의 지속 성장 필요성  ×1 조유진(제주대학교) 09-26
3817 공직자의 사명감  ×1 ×1 제주특별자치도감사위원회 도민감사관 09-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