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재활용쓰레기 다시 자원으로 재순환해야
2019-03-14 09:13
아라동 (Homepage : http://)

원본 이미지 보기
한국은 지금 쓰레기 문제로 몸살을 앓고 있다. 중국이 2018년부터 쓰레기 수입을 금지하면서 한국에서 갈 곳을 잃은 저급한 플라스틱 쓰레기는 재활용을 빙자해 동남아시아로 수출하였으나 일부는 다시 되돌아오고 있다. 나라망신일 뿐만 아니라 방치된 쓰레기가 바다로 흘러들어가 미세플라스틱이 되어 우리 식탁을 위협하고 있다.

제주도에서도 해안이 플라스틱 쓰레기로 몸살을 앓고 있다. 제주환경운동연합이 '2018 국가해안쓰레기 모니터링' 결과, 가장 많이 배출된 플라스틱 쓰레기는 페트병류와 어업 관련 쓰레기로 나타났다.

플라스틱 쓰레기를 쉽게 버리고 쉽게 처리할 수 있었던 ‘쓰레기 잔치’는 끝난지 오래다.
쓰레기를 줄이고, 쓰레기가 발생하는 지역에서 다시 자원으로 순환해야 한다.
제주개발공사에서는 플라스틱 수거율을 높이기 위해 빈병 수거처럼 플라스틱 페트병을 반환하면 금전적 보상을 해주는 캔·페트병 자동 수거 보상기 시범사업을 확대하고 수거함에 캔이나 페트병을 넣은 만큼 포인트가 쌓이는데 2000점 이상이면 현금으로 돌려준다고 한다

우리 시에서도 매년마다 전 시민이 함께 대대적으로 참여하는 시민 대청결 운동의 날 또는 하천, 해안변 정화활동, 그리고, 각 자생단체들이 앞장서 캔이나 고철을 모으는 자원재활용 운동도 활발히 벌여 나가고 있으나 실질적으로 좀 더 시민들의 피부에 와 닿고 수거종류도 일부에 국한되지 말고 여러 가지 재활용품을 수거할 수 있는 방안도 고민해 볼 필요가 있다고 본다.
하지만, 가장 중요한건 행정에서 아무리 좋은 정책수립이나 홍보, 계도 및 단속을 지속적으로 하기 보다는 이제는 시민들의 자발적이고 올바른 재활용 쓰레기 배출이 하루 빨리 정착하는 것이 무엇보다 시급하다고 생각한다. 과연 지금도 요일별, 종류별 배출제도를 잘 몰라서 그냥 막 버리고 있는 시민이 몇이나 될까 하고 생각해 본다.

No 제목 이름 날짜
3846 [기고]비상구, 우리의 생명을 살리는 희망의 길  ×1 ×1 고정훈 10-26
3845 주택관리공단 제주아라 주거행복지원센터, 입주민 봉사단 발대식 개최  ×1 김대홍 10-24
3844 주택관리공단 제주아라 주거행복지원센터 취약계층 찾아가는 음악회  ×1 ×1 강재운 10-24
3843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오감을 활용한 직업체험’ 진행  ×1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 10-23
3842 제주 해녀를 위해 건강한 바다를 만들어주세요.  ×1 박민이 10-21
3841 [기고]운전자는 감속을, 보행자는 밝은 옷을  ×1 ×1 강태희 10-19
3840 도민중심의 대중교통 활성화 방안  ×1 ×1 도민감사관 김용균 10-19
3839 [기고문] 지구를 지켜주세요- 지구를 위해 우리가 바꿔야할 습관  ×1 김주희 10-18
3838 귤빛여성합창단 20주년 기념 음악회 ‘Bravo My Life’  ×2 이동화 10-18
3837 메디체크 한국건강관리협회, “독감 걱정, 주사 한 방으로 날려버리세요”  ×2 메디체크 10-15
3836 "제주 해녀를 위해 건강한 바다를 만들어주세요."  ×1 박민이 10-11
3835 기고문  ×1 ×1 비밀글 보건환경연구원 10-10
3834 [기고문] 저는 자원봉사 스토리텔링 교육 강사입니다.  ×2 허숙자 10-08
3833 [기고문] 청렴과 다짐  ×1 조예진 10-08
3832 [기고]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실천이 필요할 때  ×1 현주희 10-07
3831 장애 대학생들을 위한 고용복지 안정적 뒷받침 돼야  ×1 김민성 10-06
3830 계속되는 오염수 방류, 우리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 비밀글 고은서 10-03
3829 세계 식량의 날을 아십니까? - 기후변화로 인한 식량위기  ×1 송연지 10-02
3828 [기고문] 제주, 글로벌 문화를 선도하다  ×2 김설희 10-02
3827 삭제 삭제 10-01
3826 청정 제주가 쓰레기 섬으로 전락하지 않으려면 - 환경보전분담금 부과 추진…  ×1 오세빈 10-01
3825 올레길에 쓰레기를 버리지 말자. 그 이유는!?! 궁금한 제주Y 환경기자단 09-30
3824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찾아가는 청소년 안전센터’ 진…  ×1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 09-30
3823 이대로 가다간 ‘제주 삼다수’가 없어진다고?  ×1 오세빈 09-29
3822 [기고]소방시설의 철저한 관리가 안전을 지킵니다.  ×1 ×1 노형119센터 소방사 강정준 09-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