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마신 한 잔의 술, 자동차가 취합니다
2019-01-24 14:40
윤창호법 관련 기고문(현정아).hwp ( size : 15.00 KB / download : 15 )

원본 이미지 크기입니다.
2019년 기해년을 맞아 다산과 복을 뜻하는 황금 돼지를 형상화한 작품들이 이곳 저곳에서 눈에 띈다.
예로부터 집안에 경조사가 있을 경우 돼지를 재물로 바치는 일이 자주 있었다. 특히 돼지는 음식복을 상징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렇게 인간에게 풍성하고 넉넉함을 안겨주는 황금 돼지해를 맞아 운전자들에게 경종을 울리는 음주운전 사건들이 보도되고 있다. 최근 언론보도에 따르면, 제주지역에서 상습 음주운전자들이 줄줄이 구속되는 일이 있었다. 음주운전에 대한 엄정 대처를 위해 최근에 법안이 제정되었는데, 2018년 9월 부산 해운대구에서 만취운전자가 몰던 차량에 치어 뇌사상태에 빠졌다가 끝내 세상을 떠난 윤창호씨 사망사건을 계기로 만들어진 법안이 바로 윤창호법이다.
이 법은 음주운전으로 사상사고를 낸 경우 처벌을 강화함은 물론, 운전면허 정지·취소 등에 관한 단속기준도 강화해 음주운전의 면허정지 기준을 현행 혈중알코올농도 0.05% 이상에서 0.03% 이상으로 하향했고, 면허취소 기준 역시 0.10% 이상에서 0.08% 이상으로 조정하였다. 또 종전 운전면허 취소의 기준을 음주운전 3회 적발에서 음주운전 2회 적발로 강화하기도 하였다.
최근 제주자치경찰단에서는 도내 3개 경찰관서의 교통 외근경력을 파견받아 조·야간을 불문하고 음주단속 및 숙취운전 단속을 벌이고 있으며 특히 학생들이 탑승하는 대형버스 운전기사를 대상으로 승차 전 음주감지를 실시해 사고 발생 가능성을 낮추는 한편, 대중교통 운수종사자를 대상으로 음주운전 예방 교육 및 홍보 캠페인 실시 등 건전한 음주문화가 조성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 있고 작년 한 해 626명의 음주운전자를 단속한 바 있다.
윤창호법이 시행된 지 한 달이 되어가는 지금, 내가 마신 한 잔의 술 때문에 자동차 역시 비틀비틀 취한 상태로 도로를 누빈다면 자동차는 도로 위의 무시무시한 흉기가 될 수도 있다는 점을 명심해야 할 것이다. 제주가 음주청정지역으로서의 위상을 드높일 수 있도록 한 잔의 술도 절대 안 된다는 경각심을 가지고 도민들의 적극적인 협조를 부탁드리는 바이다.

No 제목 이름 날짜
3921 안전한 겨울나기. 작은 습관이 큰 안전을 만든다.  ×1 성산 12-23
3920 행복한 크리스마스에 가려진 환경의 실태  ×1 오가은 12-23
3919 교통사고 예방을 위해 우리 모두의 노력이 필요한 때  ×1 고기봉 12-22
3918 사라지는 제주 바다, 무너지는 해양 생태계, 남은 시간은 얼마나?  ×1 박환희 12-20
3917 사라져가는 계절을 체감할 수 있던 2024년  ×1 ×1 비밀글 고현준 12-20
3916 제주 uam의 실현가능성에 대하여  ×1 고동현 12-18
3915 제주의 자연자원, 우리의 미래를 지키는 책임  ×1 박지희 12-17
3914 [기고] 화목보일러 안전하게 사용하기  ×1 ×1 효돈119센터 소방사 임재윤 12-17
3913 (사)제주YWCA ‘문주란(간병사)클럽’ 제주대학교병원에 성인 기저귀 1200장 …  ×1 (사)제주YWCA 12-16
3912 (사)제주YWCA, ‘2024 2차 이사실무자 연수’ 진행 (사)제주YWCA 12-16
3911 “기후위기와 탄소 중립 지금 행동하지 않으면 늦습니다.” 탄소 중립을 …  ×1 허승주 12-14
3910 제주도, 쓰레기 위기 속 '제로 웨이스트' 도전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하현영 12-13
3909 (사)서귀포YWCA, 기부의날 주간기념 사랑나눔바자회 개최  ×1 서귀포YWCA 12-12
3908 제주의 농업과 환경 문제: 감귤 재배와 지속 가능한 미래  ×1 제주대 행정학과 하현영 12-10
3907 "탄소를 줄이고 미래를 채우다, 탄소중립 이야기"  ×1 백시진 12-10
3906 "탄소발자국 줄이기, 걷기에서 ESG로 이어지는 길"  ×1 백시진 12-10
3905 "기후변화의 시대, 우리의 선택은?"  ×1 백시진 12-10
3904 "기후변화의 시대, 우리의 선택은?"  ×1 ×1 백시진 12-10
3903 오조리, 단기적인 관심보다는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할 때  ×1 김다영 12-09
3902 해수면 상승, 이젠 남의 일이 아니다  ×1 현주환 12-09
3901 모두의 권리를 위한 한 걸음  ×1 부유민 12-09
3900 기후 위기의 시대, 제주 농업을 지켜라!  ×1 김재원 12-08
3899 고요한 산 속의 비명: 산림 보호를 위한 우리의 역할  ×1 강주현 12-07
3898 메리 크리스마스, 화려한 조명 아래 드리운 그림자  ×1 신하늘 12-06
3897 제주도 요일별 배출제, 지속 가능한 환경을 위한 첫걸음일까?  ×1 ×1 박환희 1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