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함께와 다름”이 공존하는 노인일자리
2018-06-25 09:05
도 노인장애인복지과 (Homepage : http://)

원본 이미지 크기입니다.
도 노인장애인복지과 문원영
일본 방송에서 6년 전 “치매노인”에 대한 사회적 수용과 인식전환”을 목적으로 “실수식당 프로젝트”를 운영하였다. 식당이름은 “주문을 실수할 수 있는 요리점” 입구와 테이블에는 “종업원은 치매어르신”이라는 안내문이 게시되고, 세프들은 자원봉사자로 참여하였다.“맛있는 음식, 일부러 실수하지 않는다”는 원칙으로 운영은 대성공하였다. 크라우드펀딩으로 두 번째 식당을 오픈하고 그 이후 까페 세차장, 화단 가꾸기로 영역이 확대되고 있다고 한다. 기획 PD의 다소 엉뚱한 발상 -“치매의 근본해결이 아닌, 그래도 괜찮은 공간”만들기는“다름의 인정”이 출발이어서 가능한 일이었다.
이 사례는 “효율성 대신 넓은 마음”과 치매에 대한 관심과 관용 정신을 우리나라를 포함 전세계에 널리 알리는 역할을 하고 있다.

제주에서는 노인일자리사업은 2004년 공공일자리 369명 시작하여, 2007년 민간일자리 노인고용촉진장려금 지원, 2017년 8,000명 어르신 참여하였고, ‘19년에는 일만개 일자리 창출 등 도내어르신 10명중 1명이 참여할 수 있도록 매년 일자리를 발굴 확대운영하고 있다. 20배이상의 양적성장과 함께 까페, 전통음식체험, 성읍 포도대 등 지역적 특성을 반영한 50여개의 종류의 사업단이 운영되고 있다. 공공형 일자리(8,000명) 중 대부분이 환경정비등 공익형(82%)은 80세~85세가 가장 많이 참여하고 있다. 이로인하여 “노인일자리” 에 대한 일반적 인식은 환경정비·경비원(단순노동), 저임금 및 저효율성과, 청년·장년 일자리의 문제로 우선순위가 밀려있는 게 사실이다.

베이비부머세대의 은퇴로 고학력과 전문분야 경력자 등 새로 편입노인세대들을 수용하기에는 이제까지 노인일자리 사업만으로는 많은 한계가 있다.
‘18년 보건복지부에서는 노인취업교육센터를 “앙코르라이프 캠퍼스”란 명칭을 도입하고,“치매공공후견인지원”, “어린이 안심 등하교 지원”의 시범사업 도입하여, 지속적으로 어르신들의 사회적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변화를 시도하고 있다.
한가지 더 바람이 있다면 청년? 장애인? 여성? 노인 등 현재 대상별 추진중인 일자리 정책을 “장점으로 서로 단점을 보완하는, 융합일자리” 정책으로 전환되길 기대한다.

No 제목 이름 날짜
3616 공공주택, 주거 본연의 가치를 담은 공간으로 진화   ×1 제주개발공사 분양주택사업팀 김은정 사 12-27
3615 (오피니언)우리사회에 강요되고 있는 미의 기준  ×1 건입동주민센터 심소연 12-27
3614 도로  ×1 12-26
3613 기고문  ×1 ×1 비밀글 보건환경연구원 12-26
3612 (사)제주YWCA-(사)제주YWCA디지털성범죄상담소, 디지털성범죄 심각성 인식 확… (사)제주YWCA 12-22
3611 우리들이 꿈꾸는 행복한 사회  ×1 이도초등학교 4학년 2반 안유린 12-22
3610 이제는 관심을 가져야 할 용천수  ×1 비밀글 김광민 12-22
3609 물, 아껴야 마르지 않는다.   ×1 김수연 12-21
3608 사회적경제활성화 제주네트워크, 사회적기업가와 함께하는 찾아가는 사회…  ×1 (사)서귀포YWCA 12-21
3607 기후의 미래, 제주의 선택: 탄소 중립으로의 여정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김수지 12-20
3606 파리들이 사는 세상에 묻지마 폭력이 일어난다면 손용석 12-18
3605 '때문에' 보다는 '덕분에'로 살자!  ×1 오정애 12-15
3604 환경교육도시를 통한 지속 가능한 제주로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4학년 김가인 12-14
3603 (사)서귀포YWCA, 제주여성친화도시를 위한 대중매체 성평등 시민모니터사업 …  ×1 서귀포YWCA 12-13
3602 사회적경제활성화 제주네트워크, 사회적기업가와 함께하는 찾아가는 사회…  ×1 서귀포YWCA 12-13
3601 생태계보호 다 함께 노력해야 (부제 : 나무만 보고 숲은 보지 못한다)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이시후 12-13
3600 기고문  ×1 ×1 비밀글 보건환경연구원 12-13
3599 지구의 몸살, 우리의 자그마한 실천으로  ×1 김찬우 12-12
3598 중대재해! 미리 준비하면 막을 수 있다. 지피지기 백전불태(知彼知己 百戰…  ×1 ×1 제주특별자치도 안전정책과 황정호 12-12
3597 플로깅으로 청정 제주바다 지키기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양미래 12-12
3596 함께하면 꿈은 이루어진다  ×1 고기봉 12-12
3595 탄소 배출을 줄이기 위한 첫걸음, 제주의 15분 도시 구축  ×1 안서영 12-11
3594 건강한 음주 문화, 행복한 연말연시 비밀글 김혜빈 12-11
3593 [기고] 제주 바다에 일렁이는 플로깅 물결  ×1 양세하 12-09
3592 (사)서귀포YWCA, 제주여성친화도시를 위한 대중매체 성평등 시민모니터사업 …  ×1 (사)서귀포YWCA 1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