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9.유식학(唯識學, yogacara thought)(7회)-Ⅶ.제1 능변식(能辯識)(1):제8 아뢰야식(阿賴耶識)
2020-01-16 16:55
|
|
---|---|
박규택(華谷).孝菴 法師(公認) (Homepage : http://)
|
|
유식(唯識)이란 말은 ‘오직(唯) 식(識)이다’는 뜻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용어의 본래 뜻을 알기 위하여 갖추어 말하면 유식무경(唯識無境) 혹은 만법유식(萬法唯識:모든 현상은 오직 마음의 작용이라는 뜻.)이며 유식은 이것의 준말이다. 유식학(唯識學, yogacara thought)은 법(法)’을 나타나게 하는 힘은 ‘식(識)’이라는 순수한 정신작용이라는 ’유식설(唯識說)‘을 연구하는 불교학의 분과 학문이다. 유식학의 ’유식(唯識)‘은 곧 ’일체유심조(一切唯心造)‘로서 모든 것은 마음이 지어낸 것이라는 뜻이다. 유식학을 완성한 것은 4세기경 인도 간다라국의 승려 세친(世親, Vasubandhu, 316∼396)이다. 그는 『유식삼십론송(唯識三十論頌)』을 집필했는데, 이는 30개의 게송으로 구성된 텍스트로 유식학의 정수를 담고 있다. 유식학의 자세한 공부를 하기 위하여 아래와 같이 10회에 걸쳐 깊이 있게 소개해 보고자 한다. |
|
21일 지급 개시 '민생회복 소비쿠폰' 궁금증 풀이 '10문 10답'
제주 우도 8년 만에 전세버스·전기 렌터카 운행 허용
'장수수당' 미신청자 계속 발생… 제도 개선 필요
[현장] 폭염·폭우 속 클린하우스 지키는 도우미들
이 대통령, 프랑스 특사에 강금실 전 법무부 장관
"설립할 수 없는 곳을…" 제주 국가기관 유치 철회 촌극
용암해수 활용 제주해양치유센터 건립 본격화
오영훈 제주지사 상반기 직무 긍정평가 47% [한국갤럽]
"한라산 구상나무 개화 주기는 3년".. 첫 확인
'폭염' 제주 식중독 '비상'.. 6월 29명, 7월 벌써 26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