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 안전·배송·관광 등 드론 기반 행정 서비스 도입

제주도, 안전·배송·관광 등 드론 기반 행정 서비스 도입
도, 전국 최대 규모 드론특별자유화구역 본격 운영
사전 안전 테스트·보안 점검 완료 다음 달부터 시행
  • 입력 : 2025. 07.20(일) 12:00  수정 : 2025. 07. 21(월) 21:42
  • 오소범기자 sobom@ihalla.com
  • 글자크기
  • 글자크기
제주 드론특별자유화구역 조성 사업 요약. 제주도 제공

제주 드론특별자유화구역 조성 사업 요약. 제주도 제공

[한라일보] 제주에서 안전사고 모니터링, 실종자 수색, 부속섬 드론 배송 등 드론을 활용한 다양한 행정서비스가 도입된다.

제주특별자치도는 국토교통부 지정 전국 최대 규모(1283㎢)의 드론 전용 규제 특구인 '드론특별자유화구역' 사업을 본격 운영한다고 20일 밝혔다.

제주도는 2021년 6월 1차 드론특별자유화구역으로 지정돼 2023년 6월까지 운영했고, 이후 지난달까지 2차 연장에 이어, 현재 3차 연장(2027년 6월까지)을 신청한 상태다.

제주도는 드론을 활용해 안전사고와 교통상황 등을 실시간 모니터링하고, 인공지능 기술을 통해 인파밀집도 및 행사 참여 인원수를 분석하는 시스템이 도입할 예정이다.

실종자 수색 드론 항로 제작 사업도 추진된다. 도내 주요 실종자 발생지역을 중심으로 다양한 기종의 드론이 활용 가능한 수색 항로를 제작하고, 유관기관에 배포해 실제 실종사건 발생 시 광범위하고 체계적인 수색 활동이 가능하도록 지원한다.

이와 함께 제주도는 국토교통부의 '2025 드론실증도시 구축사업'과 연계해 부속섬 대상 드론 배송 서비스를 확대 운영한다. 배송 중량, 배송함 크기, 운영 시간 등을 확장하고, 제주산 특산물(성게알, 활전복 등)의 유통 활성화를 위해 공공배달앱 '먹깨비'와의 협업도 강화하고 있다.

오는 8월부터는 드론 배송 거점인 드론배송센터에서 탑승형 드론 관광 체험 서비스도 운영한다. 금능포구(8~9월), 알뜨르 비행장(10~11월)에서 진행되는 이 체험은 드론 움직임에 맞춰 흔들리는 의자에 착석한 참가자가 가상현실(VR) 기기를 통해 짐벌 카메라 영상을 실시간 시청하는 방식으로, 실감 나는 관광 체험을 제공할 예정이다.

제주도는 드론 기체에 대한 사전 안전 테스트와 보안 점검을 완료한 상태이며, 사업별 유관 부서와 협업체계를 구축해 다음 달부터 본격적인 드론 기반 행정서비스를 시행할 계획이다.

김남진 제주도 혁신산업국장은 "제주가 드론특구 3회 연속 지정을 달성하고 드론 산업 선도지로 발돋움할 수 있도록 다양한 서비스 모델을 발굴하고 상용화에 힘쓰겠다"며, "드론 기반의 행정서비스 고도화를 통해 도민의 삶이 더욱 안전하고 편리해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기사제보
▷카카오톡 : '한라일보' 또는 '한라일보 뉴스'를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 064-750-2200 ▷문자 : 010-3337-2531 ▷이메일 : hl@ihalla.com
▶한라일보 유튜브 구독 바로가기
  • 글자크기
  • 글자크기
  • 홈
  • 메일
  • 스크랩
  • 프린트
  • 리스트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기사에 대한 독자 의견 (0 개)
이         름 이   메   일
8241 왼쪽숫자 입력(스팸체크) 비밀번호 삭제시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