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춘택은 아버지 김진구의 적거지였던 동천 오진의 집에서 유배생활을 하게 된다. 그는 '제주 동천 적거기'에 후세인들이 유배지를 기억하기를 바란다면서 동문 안 1리쯤에 있고, 가락쿳물이 그 앞을 지나고 있으므로 동천이라 이름 하며, 창을 열면 한라산이 보이는 집이라고 기록해놨다. 사진 오른쪽 나무(흰색 점선 표시)가 있는 언덕이 김춘택의 적거지와 인접한 소래기동산이다. 솔개가 있던 곳이라 해서 소래기동산이라는 이름이 붙은 이 언덕은 지금도 그 흔적을 확인할 수 있다.
2021년 제정 '스포츠클럽법' 동호인간 갈등만 조장
고령화·1인가구 늘며 '무연고 사망자' 꾸준
“성산일출봉서 붕괴음 들려”… 암반·나무 낙하
제주 쏟아진 폭우에 피해 속출… 피해 신고 24건
올 여름, 제주 역대급 무더위 '기후 극값' 어디까지…
'제주 과수재배 지형도' 만감류·아열대과일로 급변
[제주도, 언어의 갈라파고스 144] 3부 오름-(103)빈네오름, 계곡…
제주서 연인 살해한 20대 남성 긴급체포
'불법계엄 동조 허위' 제주도 고발에 "비판에 재갈 물려"
전국 평균은 내렸는데... 제주 추석 차례상 비용 '전국 최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