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5일 환경의 날, 가벼운 실천부터!
2023-05-16 11:29

원본 이미지 크기입니다.
기술이 발전하고 화석연료가 사용되면서 전 세계적으로 도시화가 진행되었고 환경은 점점 관심 밖의 일이 되었다. 이에 따라 대기오염, 기후변화 등의 환경오염을 초래하였다. 이러한 환경오염의 심각성을 인식하고자 1972년 6월 스웨덴 스톡홀름, UN인간환경회의가 열렸고 국제사회가 지구 환경 보전을 위해 공동노력을 다짐하며 6월 5일을 세계 환경의 날로 제정하였다.

우리나라 정부도 이 같은 심각성을 인식하고 ‘환경의 날’을 법정기념일로 지정하고 여러 환경정책을 시행하고 있지만, 이것만으로는 부족하다. 국민의 참여와 협조가 필요하다. ‘참여와 협조가 필요하다’라고 해서 왠지 거창하게 무언가 해야 할 것 같지만 거창한 것이 아닌 가벼운 실천만으로 환경 보전에 기여할 수 있다.

첫 번째 방법으로 우선 ‘일회용품 줄이기’이다. 이는 평소 우리 모두 잘 알고 있는 방법으로 과연 이것만으로 환경에 도움이 될까 생각하기도 한다. 그러나 일회용품을 생산할 때는 많은 온실가스와, 처분할 때는 너무 긴 분해시간으로 환경에 큰 악영향을 끼치게 된다. 이러한 일회용품을 줄이는 것만으로도 온실가스 감축과 쓰레기 감소라는 일석이조의 효과를 누릴 수가 있는 것이다. 그렇기에 일회용품 줄이기는 우리가 앞으로 살아가기 위해 선택이 아닌 필수인 것이다.

일상생활에서 쉽게 일회용품을 줄이는 방법에는 무엇이 있을까. 카페에서 커피나 음료를 사 먹을 때엔 텀블러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을 것이다. 현재 많은 카페에서 시행 중인 개인 텀블러 사용 시 300원 할인도 있으므로 환경도 가꾸고 돈도 아낄 수 있기에 일상생활에 도움이 되는 방법일 것이다. 그리고 장을 볼 땐 장바구니 혹은 에코백을 사용하는 방법도 있다. 이 또한 매번 종이봉투나 비닐봉지를 사 담는 것보다 훨씬 경제적이며 친환경적이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녹색제품 및 저탄소 인증 제품을 사용하는 것이다. 현재 우리가 사용하는 모든 물건을 생산할 때는 탄소가 필수적으로 발생할 수밖에 없다. 그러나 녹색제품과 저탄소 인증 제품은 생산 시의 온실가스 및 오염물질이 상대적으로 적게 방출되는 제품으로 이러한 제품을 많이 사용한다면 결과적으로 환경을 지키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일상생활에서 손쉽고 간단하게 실천할 수 있는 방법이지만, 모두가 함께 한다면 지구는 더욱 살기 좋은 곳이 될 것이다. 우리 모두 가벼운 실천을 통해 푸르른 지구의 미래를 함께 지켜보았으면 한다.

No 제목 이름 날짜
4068 65세 이상 고령자 운전면허 자진반납 제도 시행  ×1 심소연 07-08
4067 서귀포시 중앙동 도시재생 거점시설 네이밍 공모전 “ 전국 대상 총149개 …  ×1 서귀포시중앙동도시재생현장지원센터 07-08
4066 지역을 살피는 따뜻한 눈길, 성산읍 사회보장 협의체  ×1 윤매순 07-06
4065 고향무정  ×1 ×1 강봉오 07-04
4064 무더운 여름 독서로 이겨내자!  ×1 고기봉 07-02
4063 “초록 감수성, 두 눈에 담고 마음에 심다” 서부종합사회복지관 07-02
4062 2026년 전국장애인체전을 먼저 개최하는 특별한 이유  ×1 ×1 제주도청 전국체전기획단 강수연 07-01
4061 사)제주YWCA초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6.25 전쟁 75주년 교육’ 진행  ×1 (사)제주YWCA초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 06-30
4060 (사)제주YWCA초·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주중체험활동프로그램 ‘복작…  ×1 (사)제주YWCA초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 06-27
4059 우리 팀이 어린이집으로 향하는 이유  ×1 제주시청 여성가족과 허성진 주무관 06-27
4058 반려견 등록은 의무입니다  ×1 심소연 06-26
4057 다시 찾아온 제주의 푸르른 바다, 관광 쓰레기 문제에 다시 주목해야...   ×1 신하늘 06-26
4056 지하수를 지키는 가장 힘 있는 목소리, 바로 ‘도민’입니다.  ×1 물정책과 이준호 06-25
4055 6·25참전유공자회 제주지부–한전MCS(주) 제주지사직할지점, 보훈의 달 맞아…  ×2 대한민국6.25참전유공자회제주특별자치 06-24
4054 추락하는 서귀포 구도심 상권 이대로 놔둘 것인가?”  ×1 ×1 김장관 06-23
4053 도민감사관의 역할  ×1 ×1 도민감사관 김용균 06-23
4052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청소년 도박문제예방교육’ 진행  ×1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 06-20
4051 제주 관광개발과 생태보전, 기로에 선 ‘관광 1번지’  ×1 김한휘 06-20
4050 제주 관광개발과 생태보전, 기로에 선 ‘관광 1번지’  ×1 김한휘 06-20
4049 무알콜 제도의 필요성: 건강하고 안전한 사회를 위한 새로운 선  ×1 이도이동주민센터 심소연 06-18
4048 독·미·프국의 ‘폭력으로부터의 보호법' 한국의 과제 '가해자 주거 분리  ×1 이도이동주민센터 심소연 06-18
4047 정부가 앞으로 나아가야 할 길  ×1 고동현 06-14
4046 제주에서 울리는 평화의 종, 6.25를 기억하다  ×1 문지하 06-14
4045 (사)제주YWCA초·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심폐소생술(CPR)교육’ 진행  ×1 (사)제주YWCA초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 06-14
4044 지속가능한 내일을 위한 하루, 세계 리필의 날  ×1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송유진 06-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