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생들개 감소를 위한 노력, 시민들의 참여가 필요합니다 !
2023-05-04 16:42

원본 이미지 보기
어느덧 봄이 찾아왔다. 겨울 동안 느끼지 못했던 봄기운을 느끼기 위해 제주도를 찾는 관광객들도 많아지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방문객들을 달가워하지 않는 이들도 있다. 바로 야생들개이다.
지난 2021년 12월 발표된 ‘제주 중산간지역 야생화된 들개 서식 실태조사 및 관리 방안 용역’에 따르면 도내 중산간지역(해발 300~600m)에서 서식하는 들개는 1626~2168마리로 예측됐다. 이러한 들개는 많은 사회적 문제를 발생시키고 있다.
특히 인간과의 접촉이 거의 없는 2·3세대 들개는 야생동물로서 강한 야생성을 띠기 때문에, 시민들에게 피해를 입히거나 가축을 공격하는 등 사회적 인프라와 생태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친다. 최근 들어 그 수가 급증함에 따라 시민들과 접촉하는 빈도가 늘어나 질병전파나 신체적 위협에 대한 걱정 또한 늘고 있다.
야생들개와 접촉할 경우 광견병, 파보바이러스, 심상사상충 등 많은 감염성 질병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질병은 가축 뿐만 아니라 사람에게도 감염될 수 있기 때문에, 들개와의 접촉은 주의해야 한다.
등산이나 산책 도중 들개를 마주쳤을 때 대처요령으로는 △들개를 자극하지 않고, 눈을 마주치지 않는다. △ 주변을 살피며 최대한 등을 보이지 않은 상태로 뒷걸음질친다. △만약 공격을 당할 경우 팔로 머리와 목을 가린 상태로 몸을 보호하며 다리 사이를 열지 않는다. △들개로부터 물린 경우 상처 부위를 씻어내어 청결하게 유지하고 가능한 빨리 병원을 방문해야 한다.
제주특별자치도는 들개퇴치를 위한 노력으로 지난해부터 ‘중산간 유기견 집중포획단’을 운영하여 들개 640마리를 포획했다. 포획방법은 주로 포획틀 설치, 블로우건(입으로 쏘는 마취총)으로 이루어진다. 제주도는 올해에도 포획단을 운영할 방침이다.
이러한 들개는 무분별한 유기동물의 번식과 관리부족으로 인해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제주동물보호센터에 따르면, 제주도의 연도별 유기동물 발생 건수는 2016년 2,867마리, 2017년 5,585마리, 2018년 7,651마리, 2019년 7,767마리, 2020년 6,642마리, 2022년 4,977마리로 조사되었다.
2018년까지는 유기동물의 수가 급증하던 추세였지만, 2019년 이후부터 꾸준한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유기동물의 감소를 '동물등록제'와 '마당개 중성화사업'의 활성화로 설명하고 있다. 실제로 제주도는 2019년에는 274마리, 2020년에는 385마리, 2021년에는 298마리에 이어 지난해에는 747마리의 마당개 중성화 사업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토대로 마당개 중성화사업이 유기동물의 감소로 이어진다는 판단에 따라, 더욱 확대할 계획이다.

No 제목 이름 날짜
3896 제주의 숨겨진 보물, 오름의 현실  ×1 오승민 12-05
3895 일회용컵 보증금제도 아시나요?  ×1 ×1 청정제주환경모니터단 부단장 김용균 12-04
3894 일회용컵 보증금제도 아시나요?  ×1 ×1 청정제주환경모니터단 부단장 김용균 12-04
3893 기후감수성의 시대, 우리의 미래는 달라질 수 있다  ×1 김수민 12-04
3892 대설을 맞이하여, 겨울철 화재 예방 안전 수칙을 되새기고 안전한 겨울을 … 현주희 12-04
3891 12월 5일 자원봉사자의 날, 제주 환경을 지키는 작은 손길 김재원 12-03
3890 체육사에 빛나는 발자취, 김치부 선생과 위대한 도민  ×1 ×1 제주도청 전국체전기획단 김혜인 12-03
3889 환경을 생각하는 크리스마스, 지속 가능성을 더하다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2학년 부유민 12-03
3888 덕분에 리더십이 확산하길 기대하며  ×1 고기봉 12-03
3887 제주의 숨겨진 보물, 오름의 현실  ×1 오승민 12-02
3886 제주에서도 피할 수 없는 ‘기후위기’, 우리가 해결해야 할 때  ×1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4학년 현기명 12-01
3885 소중한 토양, 지구의 미래를 위한 우리의 책임  ×1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3학년 송유진 12-01
3884 [기고]당신의 배려가 생명을 구합니다.  ×1 ×1 효돈119센터 소방교 김선일 11-29
3883 안전한 화목보일러 사용, 따뜻한 겨울나기  ×1 구좌119센터 소방사 김한울 11-29
3882 ‘주택용 소방시설’선택이 아닌 필수입니다.  ×1 구좌119센터 소방교 전지훈 11-27
3881 472년을 산 80대의 행복   ×1 김계담 11-26
3880 차고지 증명제, 이제는 개선해야할 때!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2학년 부유민 11-25
3879 [기고] ‘불조심 강조의 달‘ 양돈장도 안전한 겨울 나기   ×1 한경119센터 소방사 강창희 11-25
3878 차고지 증명제 문제점에 대한 소견  ×1 ×1 도민감사관 김용균 11-24
3877 [기고] 겨울철 화재예방, 우리의 안전을 지키는 첫걸음  ×1 김성훈(제주소방서 119구조대) 11-24
3876 [기고] 주택용 소방시설 설치, 안전한 삶의 첫걸음  ×1 효돈119센터 소방장 오병철 11-23
3875 (사)제주YWCA, ‘2024세계평화의섬 실천을 위한 평화프로그램’ "공존과 상…  ×2 (사)제주YWCA 11-22
3874 제주도의 환경정책과 주민 삶의 질 향상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송시현 11-22
3873 말이 씨가 된다  ×1 제주개발공사 사회공헌팀 국정연 11-21
3872 (사)제주YWCA, ‘2024세계평화의섬 실천을 위한 평화프로그램’ -공존과 상생…  ×1 (사)제주YWCA 1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