멸종 위기에 놓인 제주 남방 큰 돌고래를 보호해주세요.
2022-09-25 09:11
남방큰돌고래를 지켜주세요..hwp ( size : 139.50 KB / download : 4 )

원본 이미지 보기
제주도 연안에서 약 120여 개체가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남방큰돌고래는 2012년 해양보호생물로 지정되어 보호·관리되고 있는 종이다.
남방큰돌고래는 인간에 대한 친화력이 뛰어나며 연안 생태계의 최상위 포식자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제주도에서 야생 돌고래들을 유심히 관찰하다 보면 어딘지 움직임이 불편한 개체들을 목격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런 돌고래들은 몸 어딘가에 어구와 낚싯줄들이 걸린 상태로 헤엄치고 있는 돌고래들이다. 어구에 얽힌 돌고래들은 몸이 불편해 먹는 시간이 줄어들고 무리와 함께 어울리지 못하여 홀로 활동하는 시간이 늘어나게 된다.
만일 몸에 얽혀있던 어구가 제거되지 못한다면 꼬리지느러미가 잘려나가는 등의 극심한 신체적 손상을 입혀 목숨을 잃게 될 것이다. 실제로 이렇게 희생당하는 대부분 돌고래가 구조대에 발견되지 못한 채 바닷속으로 사라지고 있다고 한다.
이렇듯 국제 멸종 위기종이자 해양 보호 생물인 남방큰돌고래를 가까이서 보기 위해 무리하게 달려드는 관광 선박이 있어 대책이 필요해 보인다. 선박 관광업체들은 해양수산부의 규정을 무시한 채 3척 이상이 동시에 돌고래 무리를 쫓거나 밀착 접근하는 행위를 반복하고 있어 제주 남방큰돌고래의 등지느러미 절단 등 신체적 상해는 물론이며 어미와 돌고래들의 위협감을 유발하고 자유롭고 안전하게 바닷속을 헤엄쳐 다닐 돌고래들의 권리를 침해함으로써 남방큰돌고래들의 극심한 스트레스를 유발해 건강 악화와 번식률 저하로 인한 멸종 가속화를 부르고 있다.
이처럼 버려진 낚시도구와 폐어구가 해양동물을 위협하는 사례가 지속적으로 발견되고, 개체수가 얼마 남지 않은 중요 해양보호생물 제주 남방큰돌고래들에게도 직접적 위협이 되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는 남방큰돌고래 주요 서식처 일대에 낚시를 제한하거나 해양쓰레기 발생을 막기 위한 근본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해양생태계의 보전과 지속가능한 이용을 위해 일상생활에서 플라스틱, 일회용품 줄이기와 한 달에 한 번 해양쓰레기를 줍는 플로깅(plogging) 모임에 참여하는 등 해양환경을 미약하게나마 지켜보려 노력하고 있다. 끝으로 우리가 모두 이기적인 생각을 버리고 바다를 아끼고 사랑한다면 제주 바다는 분명 우리에게 풍요로운 미래를 선사할 것이다.

No 제목 이름 날짜
3543 대한민국헌법, 노인문제 그리고 정보화교육  ×1 정창보 10-19
3542 우리 모두는 기후 위기의 당사자이다 비밀글 김혜빈 10-19
3541 88올림픽과 APEC 제주유치  ×1 ×1 강석훈 10-18
3540 제주특별자치도 정보화교육..제2의 인생의 시발점이 되기를..  ×1 제주특별자치도 정보정책과 조진우 10-18
3539 다같이 안전농사에 참여하자  ×1 ×1 비밀글 전명환 10-18
3538 제주순복음종합사회복지관, 32기 제주공인중개사회 주거환경개선사업 추진 [1] 제주순복음종합사회복지관 10-16
3537 환절기 건강지킴이 우리농산물 차(茶)  ×1 배동언 10-16
3536 반복되는 가을 수확철 농기계안전사고, 올해는 줄이자!  ×1 배동언 10-16
3535 ㈜산내들 환경, 사회적협동조합 희망나래에 후원금품 전달  ×1 사회적협동조합 희망나래 10-11
3534 청년·후계농을 위한 지원에 관심을  ×1 비밀글 임용찬 10-10
3533 서귀포문화원과의 추억  ×1 김계담 10-05
3532 추석선물 고민하지 말고 주택용소방시설로  ×1 [1] 안병욱 10-04
3531 추석선물 고민하지 말고 주택용소방시설로 [1] 안병욱 10-04
3530 사회적고립청년의 희망과 꿈꿀 수 있는 내일을 기대하면  ×1 김신관 10-04
3529 우리가 반드시 보호해야 할 농업!  ×1 비밀글 전윤경(농협중앙회 경주교육원 교수) 10-04
3528 주택용 소방시설 설치로 소중한 일상을 지키세요  ×1 구좌119센터 소방장 오성룡 10-03
3527 제주특별자치도 주민자치회 시범실시 ‘허와 실’  ×1 한관수 09-26
3526 다가오는 수확철 영농폐기물 처리에도 관심을!  ×1 농협경주교육원 한성민 교수 09-25
3525 지구를 위한 우리의 선택, 과연 지구만을 위한 것일까  ×1 [2] 제주대학교 행정학과(야) 신재효 09-21
3524 주택용 소방시설 설치, 화재 없는 안전한 추석을 위하여  ×1 제주소방서 이도119센터 김형남 09-21
3523 노인보호구역, 알고 계시는가요?  ×1 고기봉 09-21
3522 YWCA제주특별자치도협의회 RE100 워크샵 개최  ×1 서귀포YWCA 09-19
3521 "가을의 숨겨진 위험, 심정지로부터 안전하게! 심폐소생술이 필요한 이유"  ×1 구좌119센터 소방사 고은주 09-19
3520 ‘이번 한 번은 괜찮겠지’ 하는 생각이 우리 삶의 터전을 망가트린다  ×1 고도은 09-18
3519 검진과 예방으로 “암”은 멀리 행복은 가까이!   ×1 서부보건소 강은석 09-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