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야영장에서 흔적을 남기지 않고 떠나기
2022-04-28 15:36
|
|||
---|---|---|---|
도 도시계획재생과 신유경 (Homepage : http://)
|
|||
국내 3대 배낭 도보여행(backpacking, 야영 장비를 배낭에 짊어지고 떠나는 여행) 중 한 곳이 바로 성산읍 우도 비양도이다. 제주는 아름다운 자연만큼 곳곳에 유·무료 야영장이 조성되어 있다. 배낭 도보여행 성지를 추가한다면 협재해수욕장 야자수와 소나무 아래 야영장이 강력한 후보이다. 한림 비양도가 보이는 멋진 풍경과 에메랄드빛 바다까지 빠지는 게 없는 장소이다. 제주도에서는 증가하는 야영객 수요를 반영하여 유원지 시설을 이용 현황에 맞게 조정하는 도시 관리 계획을 변경을 최근 고시하였다. 김녕, 곽지, 협재해수욕장 주변은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제2조 6의 기반 시설 중 유원지로 도시 관리 계획으로 결정된 도시계획시설로 도민과 관광객들의 오락과 휴양을 위해 무료로 개방된 공간이다. 넓은 해수욕장 중 용도에 따라 구분이 되어있는데 김녕과 협재 유원지는 휴양문화시설 중 야영장이 조성되어 있다. 이번 변경에서는 야영장 이용 현황을 반영하여 면적을 확대 조정하는 내용이 포함되었다. 협재 유원지 야영장은 현재 해안사구 복원을 위해 일시적으로 야영이 금지되어 있다. 김녕해수욕장 야영장은 한 때 차량 이용 야영객들로 잔디가 훼손되기도 하였다. 야영장이 있는 곽지, 협재, 김녕 유원지에서 장기 정박 텐트 설치는 지양하고 쓰레기는 모두 되가져가는 흔적을 남기지 않고 떠나기(LNT, leave no trace)를 실천하자. 이용객들의 올바른 야영문화가 지켜져야만 아름다운 자연에서 휴양을 즐길 수 있을 것이다. 제주특별자치도 도시계획재생과 도시계획상임기획팀 신유경 |
|
[종합] 새벽 시간 제주 교차로서 차량 6대 충돌 8명 사상
제주 귀농·귀촌 열기 한 풀 꺾였다
김광수 교육감, 주민 반발에 "서귀북초 소나무 안 벤다"
국힘 제주도당 원희룡 이어 이번엔 이준석 제주 출마 요청
은퇴 급증, 신규 찔끔.. 앞날 걱정되는 여섯 번째 '해녀의 날'
헬스케어타운 녹지병원 자리에 민간병원 추진되나
"제주여상, 일반고로 전환해 달라" 총동창회 서명운동 시작
어승생정수장 물부족 해결 지하수 개발 추진 '논란'
제주도의회 '천원 아침밥' 제도화 추진 현장 행보 눈길
배우 재희 고향사랑기부 제주 홍보대사로 나선다
제주지방 구름 사이로 햇볕 보이는 주말.. 야외…
우장·미깡·도감·돌챙이… 영상으로 기록한 '서…
제주도 "다음달 행정구역 갯수·후속조치 비용도…
"유보통합 TF 아직도.." 지적에.. 도교육청·도 '추…
23일 오후 제주 강풍 순간풍속 초속 15m '주의'
"2025년 APEC 정상회의는 빛나는 제주에서"
김경학 의장 "행정체제 모든 정보 제시해 도민 …
[한라일보 저녁잇슈] 2023년 9월 22일 제주뉴스
감사위 "제주개발공사 사회공헌사업 허위 실적 …
기초학력 보장법 시행 1년.. "지정 교사 부담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