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야영장에서 흔적을 남기지 않고 떠나기
2022-04-28 15:36

원본 이미지 크기입니다.
-곽지, 김녕, 협재 유원지 도시관리계획 결정(변경)-

국내 3대 배낭 도보여행(backpacking, 야영 장비를 배낭에 짊어지고 떠나는 여행) 중 한 곳이 바로 성산읍 우도 비양도이다. 제주는 아름다운 자연만큼 곳곳에 유·무료 야영장이 조성되어 있다. 배낭 도보여행 성지를 추가한다면 협재해수욕장 야자수와 소나무 아래 야영장이 강력한 후보이다. 한림 비양도가 보이는 멋진 풍경과 에메랄드빛 바다까지 빠지는 게 없는 장소이다.

제주도에서는 증가하는 야영객 수요를 반영하여 유원지 시설을 이용 현황에 맞게 조정하는 도시 관리 계획을 변경을 최근 고시하였다. 김녕, 곽지, 협재해수욕장 주변은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제2조 6의 기반 시설 중 유원지로 도시 관리 계획으로 결정된 도시계획시설로 도민과 관광객들의 오락과 휴양을 위해 무료로 개방된 공간이다. 넓은 해수욕장 중 용도에 따라 구분이 되어있는데 김녕과 협재 유원지는 휴양문화시설 중 야영장이 조성되어 있다. 이번 변경에서는 야영장 이용 현황을 반영하여 면적을 확대 조정하는 내용이 포함되었다.

협재 유원지 야영장은 현재 해안사구 복원을 위해 일시적으로 야영이 금지되어 있다. 김녕해수욕장 야영장은 한 때 차량 이용 야영객들로 잔디가 훼손되기도 하였다. 야영장이 있는 곽지, 협재, 김녕 유원지에서 장기 정박 텐트 설치는 지양하고 쓰레기는 모두 되가져가는 흔적을 남기지 않고 떠나기(LNT, leave no trace)를 실천하자. 이용객들의 올바른 야영문화가 지켜져야만 아름다운 자연에서 휴양을 즐길 수 있을 것이다.


제주특별자치도 도시계획재생과 도시계획상임기획팀 신유경

No 제목 이름 날짜
3203 은빛마을노인복지센터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유니클로와 함께하는 "착한바…  ×1 김영희 09-01
3202 독자기고  ×1 허태현 08-30
3201 제주 3년 살기 &..   ×1 강기두 08-30
3200 자립준비청년들의 건강한 내일을 꿈꾸며  ×1 변성환 08-29
3199 화재 발생 시 대피요령 반드시 숙지하자  ×1 ×1 남원119센터 소방사 김재업 08-21
3198 삭제요청  ×1 비밀글 삭제요청 08-21
3197 봉개동 '우리동네 마을 우체통'을 아시나요  ×1 봉개동 08-19
3196 행복농촌 만들기 문자투표  ×1 고기봉 08-15
3195 "아직은 할 일이 많아서 못간다고 전해라~~!  ×1 임용국 08-11
3194 표선119센터 현장실습을 마치며  ×1 조성돈 08-10
3193 성안노인복지센터 sk그룹 후원 어르신 무료급식 지원  ×2 이경자 08-03
3192 지속가능 제주환경 전문가 양성교육을 수료하면서  ×1 ×1 신동화 08-02
3191 환경문제, 우리 모두가 해결해야  ×1 고기봉 08-02
3190 골목점포들도 골목형상점가로 등록이 가능합니다.  ×1 ×1 문원영 08-01
3189 선진국으로의 길, 무장애 길과 맞닿아 있습니다.  ×1 ×1 (주)두리함께 트레블 헬퍼 김영근 07-29
3188 서귀포YWCA 달리는 건강 쿠킹버스 활용한 식생활교육 [건강 in 식생활]7월 초…  ×1 서귀포YWCA 07-20
3187 정신장애인 대상 “건강 돌봄 프로젝트-찬찬이 건강 살림”사업진행   ×1 공생하우스 07-18
3186 성산119센터 실습을 마치며 - 제주한라대학교 응급구조과 안정호  ×1 ×1 김정호 07-18
3185 4-H 농촌문화유적길 조성의 갖는 의미를 되새긴다.  ×1 (사)서귀포시4-H본부 회장 고성봉 07-15
3184 선박화재 항상 대비 이뤄져야  ×1 고기봉 07-12
3183 폭염대비! 어렵지 않아요!  ×1 동홍119센터 소방교 강규택 07-11
3182 농촌문화유적길  ×1 고성봉 07-11
3181 요양시설 화재안전에 진심을 담자  ×1 오희숙 07-08
3180 제주도, 어르신 주거정책 확대추진  ×1 제주도청 유은숙 07-07
3179 생명의 문, 비상구 '안전을 위한 백신'  ×1 서귀포소방서 06-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