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농업인의 날, 빼빼로데이와 상생해야
2021-11-08 13:22
농업인의 날 빼빼로데이와 상생해야.hwp ( size : 103.00 KB / download : 5 )

원본 이미지 크기입니다.
2000년대부터 유행하기 시작한 빼빼로데이가 다가왔다. 밸런타인데이나 화이트데이처럼 연인들이 서로 해당 제품을 주고받으면서 판매량이 급증하는 시기이다. 이렇게 11월 11일은 빼빼로데이로 인식되어 있지만, 정부에서는 농업인의 긍지와 자부심을 고취하려는 취지에서 1996년 법정기념일인 농어업인의 날로 지정하였으며 1997년 다시 농업인의 날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그런데도 주변에 농업인의 날을 기억하고 있는 사람들이 많지 않다. 빼빼로와 관련된 제품을 쉽게 접할 수 있고 홍보 효과를 톡톡히 누리고 있기 때문이다.
1990년대에는 농업의 관심이 상당히 높았던 때이다. 1991년 우루과이라운드 농업협상에서 쌀 수입개방이 논의되자 우리는 ‘쌀 수입개방 반대 범국민 서명운동’에 동참하여 1,307만 명이 서명하였고 ‘최단 시일 내 최다 서명’ 세계 신기록으로 기네스북에 등재되었으며 국민의 관심과 지지로 1994년 협상에서 쌀 전면 개방이 2004년까지 미뤄지게 되는 성과가 있었다. 이후 쌀 자급률은 2010년까지 100%를 상회할 수 있었다. 그런데 우리나라 식량자급률은 1980년대 70%를 유지했으나 농산물시장이 개방된 후 2000년에 55.6%, 2019년 45.8%로 지속 하락 중이며, 곡물 자급률은 1980년 56%, 2000년 29.7%, 2019년 21%로 더욱 심각한 상황이다. 쌀을 제외한 다른 국산 농산물에 관해서는 관심도 없고 소비 또한 급격히 줄어들었으며 외국산 농산물이 우리 식탁을 점령하고 있다.
선진국 중 농업이 강하지 않은 나라가 없다. 그 이유는 농업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국가 차원에서 강한 농업을 육성하고 발전시켰기 때문이다. 2021년 이코노미스트 인텔리전스 유닛이 발표한 식량안보지수에서 1위는 100점 만점 중 84점인 아일랜드이고 호주와, 영국, 핀란드, 스위스, 네덜란드, 캐나다, 일본, 프랑스, 미국이 10위권에 올라있다. 이에 반해 올해 7월 UN에서 선진국으로 지위가 변경된 우리나라는 32위, 71.6점으로 OECD 국가 중 최하위권에 머물러 있다. 농업 분야에서는 아직 개발도상국에서 벗어나지 못한 것이다.
식량 주권이 확보되지 않은 상황에서 우리의 식량안보를 책임지는 농업인을 등한시하는 것은 농촌뿐 아니라 국가 경제 전체를 포기하는 것과 마찬가지다. 갈수록 경제 전체에서 우리 농업이 차지하는 위상이 축소되고 있지만 식량안보, 환경보전, 사회·문화적 기능 등 다원적 측면에서 농업의 가치를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
매년 찾아오는 11월 11일이 빼빼로데이로 더 알려진 것은 당장 바꿀 수 없는 현실이다. 그렇다면 이를 활용하여 해당 상품에 농업의 중요성과 ‘농업인의 날’을 알릴 수 있는 공익광고를 함께 홍보한다면 빼빼로데이라는 상품성을 해치지 않으면서 농업인의 날 또한 주목받는 상생을 누릴 수 있을 것이다. 그래서 농업인들이 대우받는 11월 11일로 거듭났으면 한다.

농협경주환경농업교육원 김종우 교수

No 제목 이름 날짜
3721 [기고] 막힘없는 빗물받이 만들기  ×1 장명서 05-14
3720 서귀포시청소년수련관 방과후아카데미 수료식 및 개강식 개최  ×1 양정은 05-14
3719 월 100만원의 학원비가 의미 없는 이유  ×1 강규선 05-13
3718 지속 가능한 교통 시스템의 구축  ×1 송시현 05-12
3717 기고) 봄철, 온 가족이 화재 예방으로 안전을 지키자  ×1 김민수 05-12
3716 기고) 찾아가는 현장 세무상담실 세금고민 도와준다.  ×1 고종필 05-09
3715 [기고문] 지하공간 침수를 사전대비가 필수입니다.  ×1 장명서 05-02
3714 초고령화 사회, 심신(心身)의 안전은 의용소방대가 지킨다  ×1 ×1 대신여성의용소방대장 윤미정 05-01
3713 차량용 소화기 비치 선택이 아닌 필수!  ×1 ×1 서귀포소방서 효돈119센터 정민혁 04-30
3712 [기고문] 여름철 자연재난(태풍·호우) 사전대비, 다 함께 나서자.  ×1 도 자연재난과장 현민철 04-30
3711 제주자연문화재돌봄센터, ‘위험성평가 컨설팅 2차 교육’ 참석  ×1 제주자연문화재돌봄센터 04-29
3710 클린하우스의 보완안, 재활용도움센터  ×1 비밀글 김우일 04-28
3709 국제로타리3662지구 팔구동기회장단, 사랑의 후원물품 및 기부금 전달  ×1 애서원 04-26
3708 제주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스마트폰 과의존 예방퀴즈’온라인 캠페인  ×1 제주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04-25
3707 삼다신협, 제주가정위탁지원센터에 후원금 기탁  ×1 ×1 제주가정위탁지원센터 04-25
3706 이제는 쓰레기 무단투기 멈춰!  ×1 고기봉 04-23
3705 도민감사관 분임활동을 마치며  ×1 ×1 도민감사관 김용균 04-21
3704 제이피엠 자원봉사동호회, 베두리오름 삼무공원일대 정화 봉사활동으로 아…  ×1 (주)제이피엠 04-19
3703 제주도 AI 아나운서 '제이나'를 아시나요?  ×1 김예진 04-19
3702 ‘청년이어드림지원’ 참여로 ‘희망’을 꿈꾸다.  ×1 김신관 04-19
3701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2024 청소년 안전교육’ 진행  ×1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 04-18
3700 소화전 인근 불법 주·정차 이제 그만 !  ×1 문동식 04-18
3699 서귀포시청소년수련관 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중국에 선진지 견학을 다녀…  ×1 양정은 04-17
3698 향군 봉사활동 "꽃과 함께 GoGoGo!"  ×1 제주도향군 04-16
3697 현장 종합감사 참여 소감  ×1 ×1 도민감사관 김용균 04-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