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일상회복 그리고 농업인의 날
2021-11-02 22:21

원본 이미지 보기
“추수하는 제철에도 농사꾼들은 쌀밥을 먹지 못한다. 명절이라고 쌀밥을 양껏 먹을 수 있는 집은 흔하지 않았다.” (토지 1부 4권 p22)
토지 1부의 시대적 배경은 1897년 한가위에서 1908년 5월까지를 배경으로 하고 있다. 이 시기는 을사보호조약이 체결된 때로서 자연재해 뿐만 아니라 인재(人災)에 의하여 대다수의 국민이 기아에 허덕이고 있었다. 하지만 시기의 특별함 때문은 아니었다. 그 이후에도 먹고사는 문제를 해결하는 일은 우리에게 가장 시급한 과제였다. 1970년대초까지도 농업은 한국의 가장 중요한 산업이었다.

하지만 1980년대 이후 경제가 본궤도에 오르자 농업은 그 자리를 2차, 3차 산업에 내주기 시작한다. 이제는 농업이 국민총생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3% 아래로 떨어졌다. 농업보다 다른 산업이 더 높은 성장 가능성을 가지게 되자 사람들은 농촌을 떠나기 시작했다. 이제 농업은 한국의 가장 중요한 산업이라는 지위에서 정부의 지원이 없으면 버틸 수 없는 산업으로 전락하였다. 우리는 농업이 우리의 삶을 지탱해 주는 가장 중요한 산업이라고 이야기 하면서도 스스로는 농업에 종사하려고 하지 않는다.

하지만 코로나19는 이러한 우리의 생각을 바꾸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2020년초부터 코로나19라는 전염병이 우리 삶을 송두리째 뒤집어 놓았다. 전염병앞에 경제대국도 봉쇄를 실시했고, 세계주요 도시들이 셧다운 되었다. 올림픽이 연기되고, 수많은 사람들이 기아선상에 놓이게 되었다. 전문가들은 코로나19라는 바이러스도 인간이 자초한 것임을 인정한다. 성장의 속도를 높여가며 자연을 파괴해 인간의 이기심을 극도로 끌어올린 것이 주요 원인이라는 것이다.

코로나19와 기후변화의 재앙은 자연의 소중함과 농업의 다원적 가치에 대해 재평가하는 계기를 만들었다. 농업은 먹거리 제공 이외에 환경을 보호하고, 생태계 다양성을 유지하고, 홍수를 방지하는 등 다양한 기능을 하고 있다. 농업, 농촌, 농업인은 그 자제로 자연이다. 코로나19를 겪으면서 이제는 우리 인간이 살기 위해 이들을 찾고 있다.

우린 이제 일상으로 돌아가려고 한다. 많은 제한을 걷어내고, 여행도 자유롭게 하고, 공연도 볼 수 있다. 2년전의 일상으로 돌아가려는 시도를 하려 한다. 하지만 우리가 왜 코로나19라는 재앙의 상황에 놓이게 되었는지 잊지 말아야 한다. 산업화의 기관차에서 내릴 순 없겠지만, 우리가 살아남기 위해선 자연의 소중함과 농업의 중요성, 농업인의 소중함을 생각해야 한다.

삶이 지속되는 한 농업은 인간의 먹고사는 문제를 해결하는 기본임을 생각하게 된다.
‘먹고 사는’ 문제에 관한 한 지구상의 인류는 자연앞에서 일대 위기를 맞고 있고, 위기 극복을 위한 시도가 세상 각처에서 심각하게 진행되고 있다. 11월 11일 농업인의 날은 그동안 삶의 후면부로 밀려났던 농업, 농촌, 농업인을 우리 삶의 전면부로 가져오는 날이다. 그래도 희망은 농업이다.

No 제목 이름 날짜
3718 지속 가능한 교통 시스템의 구축  ×1 송시현 05-12
3717 기고) 봄철, 온 가족이 화재 예방으로 안전을 지키자  ×1 김민수 05-12
3716 기고) 찾아가는 현장 세무상담실 세금고민 도와준다.  ×1 고종필 05-09
3715 [기고문] 지하공간 침수를 사전대비가 필수입니다.  ×1 장명서 05-02
3714 초고령화 사회, 심신(心身)의 안전은 의용소방대가 지킨다  ×1 ×1 대신여성의용소방대장 윤미정 05-01
3713 차량용 소화기 비치 선택이 아닌 필수!  ×1 ×1 서귀포소방서 효돈119센터 정민혁 04-30
3712 [기고문] 여름철 자연재난(태풍·호우) 사전대비, 다 함께 나서자.  ×1 도 자연재난과장 현민철 04-30
3711 제주자연문화재돌봄센터, ‘위험성평가 컨설팅 2차 교육’ 참석  ×1 제주자연문화재돌봄센터 04-29
3710 클린하우스의 보완안, 재활용도움센터  ×1 비밀글 김우일 04-28
3709 국제로타리3662지구 팔구동기회장단, 사랑의 후원물품 및 기부금 전달  ×1 애서원 04-26
3708 제주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스마트폰 과의존 예방퀴즈’온라인 캠페인  ×1 제주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04-25
3707 삼다신협, 제주가정위탁지원센터에 후원금 기탁  ×1 ×1 제주가정위탁지원센터 04-25
3706 이제는 쓰레기 무단투기 멈춰!  ×1 고기봉 04-23
3705 도민감사관 분임활동을 마치며  ×1 ×1 도민감사관 김용균 04-21
3704 제이피엠 자원봉사동호회, 베두리오름 삼무공원일대 정화 봉사활동으로 아…  ×1 (주)제이피엠 04-19
3703 제주도 AI 아나운서 '제이나'를 아시나요?  ×1 김예진 04-19
3702 ‘청년이어드림지원’ 참여로 ‘희망’을 꿈꾸다.  ×1 김신관 04-19
3701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2024 청소년 안전교육’ 진행  ×1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 04-18
3700 소화전 인근 불법 주·정차 이제 그만 !  ×1 문동식 04-18
3699 서귀포시청소년수련관 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중국에 선진지 견학을 다녀…  ×1 양정은 04-17
3698 향군 봉사활동 "꽃과 함께 GoGoGo!"  ×1 제주도향군 04-16
3697 현장 종합감사 참여 소감  ×1 ×1 도민감사관 김용균 04-15
3696 기고문  ×1 ×1 비밀글 보건환경연구원 04-15
3695 푸른 제주의 바다를 지키는 플로깅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3학년 김찬우 04-14
3694 풍수해보험, 우리의 내일을 위한 현명한 준비!  ×1 제주특별자치도 자연재난과 장명서 04-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