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가 불러온 ‘플라스틱 대란’
2021-05-25 01:31
|
||||
---|---|---|---|---|
김소현 (Homepage : http://)
|
||||
2020년 초기부터 전 세계를 강타한 코로나-19 바이러스로 인해서 전 세계가 영향을 받고 있으며, 사회적 거리두기 실천으로 인해 이전과 같은 소비 생활이 쉽지 않은 상황이다. 코로나-19가 초래한 언택트 시대에 따라 소비자들은 코로나19 이전과는 차별성을 가진 새로운 소비문화 형태를 만들어가고 있다. 코로나19가 초래하면서 발생한 문제가 바로 일회용품 및 플라스틱 사용량 증가이다. 배달음식과 온라인 쇼핑 등의 이용량이 늘어나게 되면서 일회용품 및 플라스틱의 사용량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게 되었다. 환경부 발표에 따르면 2019년 1~7월 하루 평균 741t 배출되던 플라스틱 폐기물은 2020년 1~7월에는 855t으로 늘어나게 되었다. 플라스틱 중 재활용품으로 선별되지 않은 폐기물은 전부 매립하거나 소각 처리해야 하지만 국내에서 이를 처리할 수 있는 시설은 이미 포화 상태이며 중국 등 해외로의 수출마저 막히게 되어 쓰레기더미를 쌓아놓은 불법 쓰레기 산이 전국 약 120만톤에 이를 정도로 국내 쓰레기 대란이 매우 심각한 상황에 처해있다. 플라스틱 사용량이 증가할수록 플라스틱 생산량이 늘어나게 되는데, 플라스틱을 생산하는 과정에서 지속적으로 탄소가 발생하고 있고, 이는 이상 기후 변화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러므로 반드시 플라스틱 사용량을 줄일 필요가 있으며, 특히 우리나라는 2050년까지 탄소 중립을 선언한 만큼 일상생활에서부터 플라스틱 쓰레기를 줄여나가야 한다는 지적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코로나19 장기화와 함께 일회용품 사용 및 플라스틱 폐기물 문제에 대하여 국가가 강력한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며, 국가적인 차원에서의 강력한 정책도 중요하지만, 일회용품 및 플라스틱 사용을 줄이는 것에 국민 개개인이 동참하고 함께 노력하는 것도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단순히 일회용 플라스틱을 쓰지 말라는 것이 아니다. 위생과 안전을 위해 일회용 플라스틱에 의지하지 않을 만큼 믿을 만한 다회용 용기사용 시스템이 필요하다. 코로나가 끝나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가 오면 우리는 넘쳐나는 일회용품 플라스틱이 만들어낸 또 다른 재난을 겪어야 할지도 모른다. 현재 위기를 기회로 삼아 일회용 플라스틱을 사용하지 않는 지속가능한 시스템을 모색해야 한다. 지금처럼 이렇게 무분별하게 만들어지는 플라스틱 폐기물은 코로나보다 더 큰 재앙이 되어 우리에게 돌아올 수 있다. |
|
[종합] 새벽 시간 제주 교차로서 차량 6대 충돌 8명 사상
김광수 교육감, 주민 반발에 "서귀북초 소나무 안 벤다"
제주 귀농·귀촌 열기 한 풀 꺾였다
국힘 제주도당 원희룡 이어 이번엔 이준석 제주 출마 요청
은퇴 급증, 신규 찔끔.. 앞날 걱정되는 여섯 번째 '해녀의 날'
헬스케어타운 녹지병원 자리에 민간병원 추진되나
"제주여상, 일반고로 전환해 달라" 총동창회 서명운동 시작
어승생정수장 물부족 해결 지하수 개발 추진 '논란'
제주도의회 '천원 아침밥' 제도화 추진 현장 행보 눈길
"제주화전, 도민 정체성·근현대사 주요 골격" [火田]
우장·미깡·도감·돌챙이… 영상으로 기록한 '서…
제주도 "다음달 행정구역 갯수·후속조치 비용도…
"유보통합 TF 아직도.." 지적에.. 도교육청·도 '추…
23일 오후 제주 강풍 순간풍속 초속 15m '주의'
"2025년 APEC 정상회의는 빛나는 제주에서"
김경학 의장 "행정체제 모든 정보 제시해 도민 …
[한라일보 저녁잇슈] 2023년 9월 22일 제주뉴스
감사위 "제주개발공사 사회공헌사업 허위 실적 …
기초학력 보장법 시행 1년.. "지정 교사 부담만 …
제주해경, 선박 화재 대응 능력 강화 도상훈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