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활용품들이 주인공이 된 “재활용 포럼”을 개최한다면!!!
2021-03-16 11:42

원본 이미지 크기입니다.
지난 3월 14일에 재활용품들이“다시 태어남”을 주제로 한 “제1회 세계 재활용 리더포럼”이 제주특별자치도 이도동에 마련된 재활용 도움센터에서 개최되었다.

이날 포럼 의장인 플라스틱은 기조연설을 통해 인간들이 행동변화를 촉구하였다. 그는 1909년에 미국에서 자신이 태어난 이후 110여년이 넘는 시간동안 인간들이 삶에 커다란 공헌을 하고 생활에 일부분이 되었다. 하지만 인간들에 의하여 버려지는 자신들이 자연으로 다시 돌아가기 위해서는 최소 500년이 필요하다고 강조하였다. 우리가 다시 자연으로 돌아가기 위한 몸부림으로 만들어지는 “미세 플라스틱”으로 인하여 우리는 지구의 여신인 가이아, 숲과 물의 정령들 뿐 만 아니라 인간을 포함한 모든 생명들을 공격한다는 비난까지 받게 되었다고 말했다.
플라스틱 포럼 의장은 인간이 잘못으로 인하여 만들어지는 플라스틱 쓰레기 섬, 미세 플라스틱 문제는 인간들에 의하여 발생한 것이고, 인간이 노력으로 충분히 제어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자신들이 오염이 주범으로 떠오르는 현재의 상황에 대하여 강하게 비판하였다. 그는 “버려지는 자신들이 재활용된다면 다시 훌륭한 제품으로 재탄생하여 인간의 삶을 더욱더 풍성하게 할 수 있다”고 강조하여 참석자들로부터 큰 호응을 받았다.

이어서 폐고철류의 사회로 우유팩, 투명 플라스틱, 비닐, 폐병류, 알루미늄이 토론자로 참석한 패널토론이 2부 행사로 개최되었다.

토론자로 나선 우유팩은 자신들이 버려질 때 일정한 장소에 모아만 두어도 훌륭한 화장지로 재탄생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은 종량제 봉투에 넣어서 버린다고 주장하면서 인간들이 행동 변화를 촉구하였다.
투명 플라스틱은 최근 자신들을 분리 배출하여 옷과 가방으로 새롭게 탄생하는 사례를 소개하면서 인간들이 노력을 치하하였다. 자신들에게 붙어 있는 라벨을 제거하고 내용물이 남겨지지 않게 깨끗하게 정해진 장소에 버려진다면 투명 페트병은 더 이상 쓰레기라는 오명을 듣지 않게 될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폐병류는 소주병과 맥주병을 편의점등에 갖고 가면 100원 또는 150원을 받을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일반 색깔이 있는 병들과 혼합되어 버려지고 이 과정에서 깨어져서 일반 잡 유리로 쓰여지는 현실을 고발하였다.
계속해서 폐비닐류, 폐알루미늄은 곳곳에 재활용품 분리 배출함이 설치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다시 태어날 수 있는 자신들을 분리하지 않고 마구 뒤섞여 버리는 인간들을 비난하였다.

플라스틱 포럼의장은 마무리 발언을 통해 인간을 위해 탄생한 수 많은 제품들은 언젠가는 버려지게 된다. 그러나 사람들이 조그마한 관심으로 다시 생명을 이어갈 수 있다. 재활용되지 못하고 혼합하여 버려져는 플라스틱은 인간들만 아니라 자연의 모든 생명들을 위협하고 있다고 하면서 인간들이 각성을 촉구하였다.

이날 엄마의 손을 잡고 재활용도움센터를 찾은 한 어린이는 우리의 잘못된 행동으로 생명을 잃고 자연과 인간을 아프게 하고 있는 재활용품에 미안하다고 하면서 철저하고 깨끗하게 분리 배출할 것을 약속했다.

텀블러 기자 Tumbler@recycle.co.kr.

No 제목 이름 날짜
3962 제주공직사회 청렴도 상승  ×1 ×1 도민감사관 김용균 02-23
3961 훈제구이를 가정의 주방에서 하는 냄비  ×1 천 봉우 02-22
3960 [re] 훈제구이를 가정의 주방에서 하는 냄비 석기시대 02-24
3959 주부폐암을 막으려면 . .?  ×1 천 봉우 02-22
3958 [re] 주부폐암을 막으려면 . .? 석기시대 02-24
3957 모바일 주민등록증 이제 손안에서 간편하게  ×1 제주시종합민원실 김현지 02-20
3956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겨울방학 맞이 ‘에버랜드 겨울캠프…  ×1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 02-20
3955 즐겁게 놀면서 배우는 안전교육, 제주안전체험관  ×1 비밀글 제주소방안전본부 예방대응과 김하연 02-20
3954 가짜 농사꾼에게 농지처분명령과 이행강제금 부과  ×1 아라동주민센터 산업팀장 차무관 02-19
3953 화목보일러 화재 예방, 올바른 사용이 중요  ×1 아라119센터 소방교 오수홍 02-17
3952 마을 혹은 마음과 연결, 로컬 런케이션  ×1 ×1 김명주 02-14
3951 고독사는 사회의 책임인가?   ×1 ×1 문석부 02-13
3950 겨울철 전기제품 안전하게 사용하기  ×1 동부소방서 조천119센터 김형남 02-09
3949 환경을 지키는 작은 실천  ×1 ×1 청정제주환경모니터단 부단장 김용균 02-09
3948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AI(인공지능)를 활용한 자기주도…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 02-08
3947 디지털 환경에서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우리들의 자세  ×1 제주개발공사 정보관리팀 고상혁 02-07
3946 선박 안전운항 준수해야  ×1 비밀글 고기봉 02-06
3945 우리집 작은 소방서 '주택용 소방시설'  ×1 아라119센터 소방교 오수홍 02-05
3944 {기고} 신구간 이사철 화재예방을 위한 안전 가이드  ×1 ×1 제주소방서 119구조대 김현진 02-04
3943 꾸준함이 전문가를 만든다!  ×1 아라동주민센터 산업팀장 차무관 01-31
3942 여성긴급전화1366 제주센터에 후원해주셨습니다 1366제주센터 01-31
3941 [기고]신속한 대피가 어려운 요양시설, 화재 예방이 생명  ×1 구좌119센터 소방사 오승근 01-30
3940 (사)제주YWCA, 제58차·제4차 정기총회 개최  ×1 (사)제주YWCA 01-21
3939 (사)제주YWCA, 창립 70주년 기념식 성황리에 마무리  ×1 (사)제주YWCA 01-21
3938 <플라스틱의 딜레마, 우리는 어떻게?>  ×1 제주개발공사 품질관리팀 이정헌 0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