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속 설 명절... 우리 농산물에 감사의 마음을 담아...
2021-02-04 09:36

원본 이미지 크기입니다.
전 세계 코로나19 누적 확진자 수가 가까운 시일 내 1억명을 넘을 것으로 보인다. 작년 이맘때쯤만 해도 ‘금방 없어지겠지...’ 라고 생각했으나 벌써 최초 발생이후 400여일의 시간이 흐르고 있다.

지난 해 연말 예상대로 코로나19 3차 대 유행이 일어났다.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최근 지역사회 내에서 감염된 신규 확진자들를 분석한 결과, 가족 가운데 먼저 감염된 확진자를 통해 추가 감염이 이뤄진 사례가 전체의 약 25%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역발생 확진자 4명 중 1명꼴로 가족 내 전파가 이루어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지난해 추석을 앞두고 정부는 ‘추석 방역 대책’을 발표했다. 이로인해 “ 방역 권고 준수해 모임 자제해야...” VS “그래도 명절인데 모여야...”라는 새로운 세대 간 갈등이 생겨났다.
이제 가까스로 3차 유행의 고비가 넘어가고 있지만, 1주일 앞으로 다가온 설 명절도 예외는 아닐 것이다. 코로나19 3차 대유행의 양상이 가족 간 전파 양상이 짙었던 만큼 정부의 ‘설 방역 대책’ 또한 지난 해 추석과 다르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닐슨코리아는 27일 설 명절을 앞두고 지난 해 명절 시즌 내 대형 마트 및 대형 체인슈퍼마켓에서의 선물 세트 판매 동향을 발표했다.
이러한 사회 분위기를 반영이나 하듯 명절 선물 시장에도 ‘비대면’, ‘건강’이 트렌드로 나타난 것으로 조사되었다.
2020년 추석 시즌 판매된 선물세트의 판매 비중을 분석해 본 결과 전체의 85% 이상을 먹거리 선물이 차지했다고 밝혔다. 코로나19 영향으로 외출을 기피하게 되고 집에 머무는 시간이 늘어나면서 외식이 줄어들고 실내 취식관련 품목의 판매가 증가한 추세도 최근 명절선물 시장에 전반적으로 영향을 미쳤을 것이다.
이에 닐슨코리아는 ‘코로나19 위기가 장기화되며 내수 침체가 이어지고 있고, 명절 시즌에는 사회적 거리두기로 모임보다 선물로 대신하는 트렌드가 당분간 지속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 라고 전망했다.

누구나 살면서 어려움을 겪을 수 있지만, 지금과 같은 상황은 누구도 경험해보지 않은 위기이다. 이럴 때 일수록 소비심리 위축으로 인해 더 어려움을 겪고 있는 농가와 축산가에 관심이 필요하다. 또한, 이러한 위기를 기회로 바꾸는 서로의 노력이 필요하다.

올해 설 명절은 개인위생과 면역력 증진 등 건강에 관심이 높아지면서 온라인채널을 통한 ‘비대면 감사인사’가 활성화 될 것이라고 한다.
생산 현장에서는 제철 생산된 농·축산물을 활용하여 설 명절용 선물세트로 상품화할 수 있는 새로운 방안을 찾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소비 현장에서는 우리 농·축산물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다. 설 명절을 맞아 그동안 감사한 마음을 우리 농·축산물에 담아 전해보면 어떨까? 이는 한국인의 체질에 가장 잘 맞는 제철 농·축산물을 통해 개인 면역력 증진을 이룰 수 있는 또 하나의 방법이 될 것이다.

언제 끝날지 모르는 코로나19 팬더믹 상황 속에서 이번 설 명절이 최근 위축된 우리 농·축산물 소비 활성화에 많은 도움이 되기를 바래본다.

No 제목 이름 날짜
3568 11월은 불조심 강조의 달  ×1 전민석 11-18
3567 구좌119센터, 의용소방대 전문성 강화 11월 정기교육 실시  ×1 구좌119센터 11-18
3566 추운 겨울, 안전을 위한 화재 예방 수칙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하상윤 11-18
3565 서귀포시노인보호전문기관, 한라대학교 학생 대상 노인인식개선교육 실시  ×1 서귀포시노인보호전문기관 11-17
3564 하나금융나눔재단, (사)제주YWCA에 지역사회 소외계층 지원 및 상생을 위한 …  ×1 (사)제주YWCA 11-16
3563 청렴(淸廉)과 함께 가는 길  ×1 김태현 11-15
3562 청년! 기후위기 대응을 말하고 실천하다.  ×1 김신관 11-10
3561 산불 예방으로 아름다운 국립묘지를 지켜나가자  ×1 국립제주호국원 시설팀장 박상언 11-09
3560 하귀에선 배추사러 해남으로 간다.  ×1 비밀글 하귀농협하나로마트 고영보팀장 11-08
3559 제주도의 말산업 발전을 위한 제언  ×1 ×1 비밀글 양창범 11-07
3558 도로 다이어트 도전! 제주대학교 이유라 11-07
3557 제3회 아태영리더스포럼 제주, 청년을 연결하여 미래를 그리다.  ×1 김신관 11-03
3556 이스라엘, 디지털화 그리고 제주 ICT페스티벌 행사  ×1 비밀글 제주도 정보전략팀장 정창보 11-01
3555 일회용 플라스틱 환경오염 위기 “더 이상 남 일 아냐”  ×1 양현상 10-31
3554 제주도민대학 탐라의 얼 아카데미를 참여하며  ×1 ×1 제주 밥상문화원 김양희 10-31
3553 서귀포시노인보호전문기관, LH주거행복지원센터(서귀포동홍6단지)에서 이…  ×1 서귀포시노인보호전문기관 10-30
3552 모두가 함께 만드는 청렴한 사회  ×1 제주도청 수산정책과 송은아 10-26
3551 서귀포시서부종합사회복지관, 대정적십자봉사회와 협력하여 취약가구 주…  ×1 서귀포시서부종합사회복지관 10-25
3550 대정적십자봉사회, 서귀포시서부종합사회복지관과 ‘시원한 가을 나들이…  ×1 서귀포시서부종합사회복지관 10-24
3549 삭제글 비밀글 삭제글 10-24
3548 갯벌은 미래를 위한 최고의 자산이다.  ×1 고기봉 10-24
3547 해바라기를 닮은 제주의 아이들 전시회 개최  ×1 ×1 비밀글 박경환 10-23
3546 삭제 비밀글 삭제 10-23
3545 작지만 강력한 마법같은 친절의 힘  ×1 ×1 강은석 10-23
3544 작지만 강력한 마법같은 친절의 힘  ×1 ×1 강은석 1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