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가 앞당긴 쓰레기 대란
2020-12-30 11:36
고기봉 (Homepage : http://)

원본 이미지 크기입니다.
코로나19가 앞당긴 쓰레기 대란
환경문제 해결을 위한 개인의식 필요


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되면서 감염에 대한 우려로 외부 접촉을 피하는 ‘언택트(untact) 소비(온라인 유통업체, 택배, 배달음식 등)’로 일회용품 사용량이 급증했다. 온 국민이 마스크를 착용하고 생활하는 것이 일상화돼버린 상황에서 당장 매일 쓰고 버리는 일회용 마스크만 해도 아마 그 양이 어마어마할 것이다.일회용 마스크는 부직포와 콧대를 고정해 주는 철사, 마스크 풀림을 방지해 주는 플라스틱 연결고리, 고무줄 등으로 구성돼 있지만 마스크는 재활용품 분리배출 대상이 아니기 때문에 쓰레기 종량제 봉투로 배출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로 인해 막대한 양의 일회용 마스크들이 종량제 봉투에 담겨 버려지고 있으며, 이를 소각하는 과정에서 플라스틱과 철사 등은 대기오염 물질은 물론 인체에 해로운 물질 역시 발생시킨다.또한 일회용품 줄이기를 위해 시행했던 커피 전문점 등에서의 일회용품 사용 금지 정책이 완화됨에 따라 플라스틱 테이크아웃 컵과 빨대 등의 사용량 역시 크게 증가했다. 일부 프랜차이즈 매장은 다회용 컵 사용 중단을 넘어서 감염 차단을 위해 개인 텀블러 등의 사용을 금지하기도 했다. 코로나19가 장기화되면서 일회용품 사용 정책 완화가 지속되면 앞으로도 플라스틱 컵 등의 사용량 역시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판단된다.한편 일회용품 폐기물 발생량을 줄여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지만 현장에서는 쉽지 않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감염 위험성이 있는 다회용 용기를 꺼리는 소비자들의 목소리로 인해 코로나 19 이전까지 사용이 금지됐던 카페와 식당에서도 일회용품 사용을 재개 하면서 그 동안 자리 잡았던 친환경 제도가 무너질 위기라는 평가가 나오는 실정이다. 
이에 코로나19의 장기화와 함께 감염 예방 대책은 물론 쓰레기 문제에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국가적인 차원의 강력한 정책보다 중요한 것은 바로 개인의 인지와 노력이다. 
우리는 일회용품의 사용을 줄이려고 노력하고, 올바른 쓰레기 분리배출과 배달 음식 줄이기 등으로 쓰레기 문제를 완화하는 데 동참해야 할 것이다. 코로나19가 인류의 건강을 위협하는 것처럼 이로 발생하는 쓰레기로 인한 환경과 생태계의 파괴 역시 인류에 심각한 위협이라는 것을 우리 모두 인식해야 한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재활용 강국이 되기 위해서는 정부의 정책과 규제에 참여하는 자주 시민의 자세가 필요하다. 코로나19 사태로 더 이상 피할 수 없는 ‘쓰레기 팬데믹’ 해결을 위한 메시지로 생각하기 바란다.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시간강사 고기봉

No 제목 이름 날짜
2930 반복되는 사회적 폭력 이대로 괜찮을까  ×1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강산아 05-28
2929 코로나19 시대 관광, 변화에 맞게 해야  ×1 비밀글 변정윤 05-28
2928 위기상황 똘똘 뭉치는 대한민국 근성 꺼내야 할 때(환경의 날 맞아 환경 보…  ×1 허예진 05-28
2927 농어촌민박, 재난배상책임보험에 6월9일까지는 꼭 가입하셔야 합니다  ×1 ×1 비밀글 김지훈 05-27
2926 목재수확, 임업선진국의 시작  ×1 산림조합중앙회제주지역본부 05-27
2925 코로나로 알아보는 제주관광 산업의 발전방향  ×1 비밀글 변정윤 05-27
2924 현대사회의 근본이자 무너진 무죄추정의 원칙  ×1 ×1 강산아 05-27
2923 무분별한 농약 사용 과연 안전한가  ×1 김지환(제주대학교 행정학과 3학년) 05-26
2922 제주도 코로나 19 안전지대 아니야  ×1 ×1 강산아 05-25
2921 코로나-19가 불러온 ‘플라스틱 대란’  ×1 ×1 김소현 05-25
2920 2030 무공해차 전환 100 전기차의 효능과 혜택, 환경적인 결함은 무엇일까  ×1 강향기나 05-24
2919 식탁에 올라온 미세플라스틱, 플라스틱 사용 줄여야  ×1 김두아 05-24
2918 친환경 제주, 도시 숲과 공원이 답이다.  ×1 송민주 05-24
2917 전동 킥보드 편리함 뒤에 숨은 위험성  ×1 현수진 05-24
2916 기후위기 그리고 채식  ×1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정다연 05-23
2915 기후위기 그리고 채식  ×1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정다연 05-23
2914 제주 환상자전거길 제대로 활용이 되는가? : 환장자전거로의 전락  ×1 강지원 05-21
2913 개인형 이동장치(전동 킥보드) 안전하게 알고 타야 하는 ‘개인형 이동장…  ×1 김다빈 05-20
2912 가정의 달 5월, ‘가정위탁의 날’을 아시나요?  ×1 ×1 제주가정위탁지원센터 05-20
2911 바다의 날에 즈음하여  ×1 ×1 고기봉 05-18
2910 주거,복지를 통합한 고령자복지주택 확충을 바라며 고경희 05-17
2909 코로나19와 교통안전 결국 예방이 먼저-'안전속도 5030'정책 시민 동참이 절…  ×1 허예진 05-17
2908 [기고]안전한 교통 환경을 위해 불법 주·정차 이제 그만!  ×1 양지온 05-11
2907 (기고)‘길잃음 사고’ 예방, 우리모두 안전히 집으로  ×1 ×1 비밀글 노형119센터 05-11
2906 은빛마을노인복지센터 노인맞춤돌봄서비스, 블랙야크와 함께하는 '야크 …  ×1 은빛마을노인복지센터 05-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