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보호구역 이대로 놔두어도 괜찮은가?
2020-12-21 08:33
한지원 (Homepage : http://)
하지만 우리의 주위를 둘러봐도 분명히 과속의 대상이 되는 차량들이 고지서가 날라오지 않는 것은 공공연하게 벌어지는 일입니다. 그런데도 바뀌지 않은 것은 문제가 있다.



하나의 사례를 봐 보겠다. 강원도 인제에서 A 양(8세)가 어린이 보호구역 내에서 과속하던 트럭에 치여 숨졌다. 하지만 이 사고가 발생한 후에도 시설은 나아지지 않았다. 사고가 난 그날 1시간 동안 제한 속도인 시속 30㎞를 지키는 차량은 단 한대도 없었고, 과속 단속카메라도 설치돼 있지 않았다. 횡단보도에는 보행자 신호등이 없고 차량 신호등은 점멸 상태였다. 이곳의 한 주민은 “불법 주 정차 차량때문에 등하굣길 키가 작은 저학년 아이가 튀어나오는 것을 못 볼 위험이 있다”고 했고 “차량이 읍내에 진입하기위해 지나는 도로라 속도가 붙은 차량들이 많아 과속단속장비나 불법 주 정차 단속 카메라 설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하지만 이후에도 인제 경찰서 관계자는 “사고 직후 보행자울타리를 추가 설치하고 보행자신호등은 현재 설치 공사 중”이라고 했지만 “과속 단속 장비나 불법 주 정차 단속카메라 설치는 현재 고려하고 있지 않다”고 밝혔다. (출처:강원도민일보)



위의 사례는 다른 지역의 사례이다. 하지만 다른 지역에서 일어난 일이 우리 지역, 제주도에서 안일어 날 확률은 거의 없다. 즉 이렇게 허술한 단속과 장비로는 이런 일이 일어날수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위에서는 과속에 대한 사례를 소개했다면 이번에는 불법 주 정차의 사례를 봐 보겠다. 바로 유명한 민식이법이다. 물론, 민식이 법은 불법 주 정차와는 상관이 없다. 하지만 민식이가 사고를 당한 이유는 신호대기 중이던 차에 가려 달려오고 있던 차를 보지 못하고 달려오던 민식이는 그대로 차에 치여 숨졌다. 하지만 당시 사고 차량 운전자는 시속23.6km로 주행을 하며 어린이 보호구역 시속30km 제한을 지켰다. 지금 여기서 내가 말하고 싶은 점은 민식이는 신호 대기로 정차 중이던 차에 가려져서 사고 차량 운전자가 보지 못했다는 것이다. 이것은 횡단보도 끝 선에 맞춰 주 정차를 한 차량에 가려 우리가 치일 수도 있다는 것이다. 심지어 내가 살고 있는 동네에는 어린이 보호구역 내에서 신호등이 설치 되지 않아 횡단보도를 건널 때 마다 주 정차된 차량을 넘어 차가 오는지 안 오는지 살피다 사고를 당할 뻔한 적도 있다.



위에 사례들을 보았을때 우리는 더욱 철저한 과속과 불법 주정차단속과 오류로 인해서 과속과 불법주차 단속을 빠져나가는 차들을 더 철저하게 잡아야한다. 또한 초등학교 정분에서300M 내가 스쿨존인 법을 개정하여스쿨존의 법위를 넓히고 스쿨존 내의 부족한 안전장치와 신호등을 의무 설치 해야하는 법을 만들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No 제목 이름 날짜
3618 지속  ×1 고기봉 01-02
3617 '고향사랑기부제'로 농업·농촌에 희망을  ×1 비밀글 유효상 12-28
3616 공공주택, 주거 본연의 가치를 담은 공간으로 진화   ×1 제주개발공사 분양주택사업팀 김은정 사 12-27
3615 (오피니언)우리사회에 강요되고 있는 미의 기준  ×1 건입동주민센터 심소연 12-27
3614 도로  ×1 12-26
3613 기고문  ×1 ×1 비밀글 보건환경연구원 12-26
3612 (사)제주YWCA-(사)제주YWCA디지털성범죄상담소, 디지털성범죄 심각성 인식 확… (사)제주YWCA 12-22
3611 우리들이 꿈꾸는 행복한 사회  ×1 이도초등학교 4학년 2반 안유린 12-22
3610 이제는 관심을 가져야 할 용천수  ×1 비밀글 김광민 12-22
3609 물, 아껴야 마르지 않는다.   ×1 김수연 12-21
3608 사회적경제활성화 제주네트워크, 사회적기업가와 함께하는 찾아가는 사회…  ×1 (사)서귀포YWCA 12-21
3607 기후의 미래, 제주의 선택: 탄소 중립으로의 여정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김수지 12-20
3606 파리들이 사는 세상에 묻지마 폭력이 일어난다면 손용석 12-18
3605 '때문에' 보다는 '덕분에'로 살자!  ×1 오정애 12-15
3604 환경교육도시를 통한 지속 가능한 제주로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4학년 김가인 12-14
3603 (사)서귀포YWCA, 제주여성친화도시를 위한 대중매체 성평등 시민모니터사업 …  ×1 서귀포YWCA 12-13
3602 사회적경제활성화 제주네트워크, 사회적기업가와 함께하는 찾아가는 사회…  ×1 서귀포YWCA 12-13
3601 생태계보호 다 함께 노력해야 (부제 : 나무만 보고 숲은 보지 못한다)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이시후 12-13
3600 기고문  ×1 ×1 비밀글 보건환경연구원 12-13
3599 지구의 몸살, 우리의 자그마한 실천으로  ×1 김찬우 12-12
3598 중대재해! 미리 준비하면 막을 수 있다. 지피지기 백전불태(知彼知己 百戰…  ×1 ×1 제주특별자치도 안전정책과 황정호 12-12
3597 플로깅으로 청정 제주바다 지키기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양미래 12-12
3596 함께하면 꿈은 이루어진다  ×1 고기봉 12-12
3595 탄소 배출을 줄이기 위한 첫걸음, 제주의 15분 도시 구축  ×1 안서영 12-11
3594 건강한 음주 문화, 행복한 연말연시 비밀글 김혜빈 1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