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 없는 섬" 제주 구현 노력
2020-12-15 09:54

원본 이미지 크기입니다.
우리나라 청정지역을 대표하는 제주에 미세먼지에 이어 오존까지 덮치면서 오존문제가 심각해지고 있다. 한국환경공단이 운영하는 대기오염도 측정사이트 에어코리아에 따르면 오존은 대기 중에 배출된 질소산화물(NOx)과 휘발성유기화합물(VOCs) 등이 자외선과 광화학 반응을 일으켜 생성된 2차 오염물질이다. 오존에 반복해서 노출되면 가슴 통증, 기침, 메스꺼움, 목 자극 등의 증상을 보이고 기관지염, 심장질환, 폐기종 및 천식을 악화시킨다. 휘발성유기화합물은 자동차, 화학공장, 정유공장과 같은 산업시설과 자연적 생성 등 다양한 배출원에서 발생한다. 오존의 주범인 배기가스를 배출하는 자동차도 제주에서 몇 년 새 크게 증가했다.
이런 배기가스를 줄이기 위해 제주특별자치도에서는 ‘탄소 없는 섬’을 선언했다. 이에 따라 2030년까지 도내 모든 전력을 신재생 에너지로 전환하고 수송 수단 전체를 전기차로 대체해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고 에너지 자립을 이루며 신기후 체제에 대응한다. 현재 도내 차량 중 전기차는 5%의 점유율을 달성하고 있다. 전기차를 대중적으로 보급하기 위해 제주도는 전기렌터카 도입 시 렌터카 등록기준 완화, 차령 연장 등 차별화된 인센티브를 확대·개선 추진해 나가고, 전기렌터카 사용 유도를 위한 이용자 위주의 가치관광 및 환경보전에 대한 자긍심 고취 정책도 추진하고 있다. 그리고 도내 차량 감차정책과 연계하여 내연기관 차량 폐차와 감차 유도 정책도 확대 진행된다. 종전 내연기관 차량을 폐차한 후 전기차 구매 시 150만원 추가 지원과 더불어, 내연기관 차량을 도외로 이전 후 전기차 구매 시에는 이전비용 50만원을 일부 지원한다. 이 외에도 전기차 공영주차장 이용 시 감면제도 확대, 집중충전소 확대 등 배기가스를 줄이기 위해 제주도에서는 노력을 하고 있다.
바람의 섬 제주의 평균 풍속은 7m/s로, 다른 지역에 비해 풍력발전에 적합하다. 무한한 바람과 바다로 둘러싸인 섬의 환경을 이용한 해상 풍력발전은 제주 신재생 에너지 사업의 가장 중요한 축이다.
압도적인 전기차 선도 도시로서의 지위와 섬의 자연적 특성으로 인한 강력한 바람은 그린 에너지 산업을 위한 제주가 가진 가장 큰 자원이다. 이렇게 주도적이며 주체적으로 전기차 이용을 선도하고, 자연적 특성을 이용해 제주를 탄소 없는 섬으로 만들어 나가야 한다.

No 제목 이름 날짜
3993 고사리철 이것만은 지켜주세요!  ×1 고기봉 04-18
3992 [기고] 자연재해! 준비는 지금! 풍수해·지진재해보험으로 안심하세요.  ×1 장명서 04-18
3991 보이지 않는 곳에서 청정 제주의 미래를 지키는 하수처리 이야기   ×1 상하수도본부 공공하수처리시설 현대화사 04-17
3990 [기고] 청년농업인, 지속 가능한 농업의 미래를 여는 열쇠  ×1 ×1 오종훈 04-16
3989 [기고] 내 재산은 내가 지킨다! 풍수해·지진재해보험!  ×1 장명서 04-16
3988 "제주, 가로등 불빛의 밝혀 드립니다. “한 줄기 빛으로 시작되는 안심의 …  ×1 심소연 04-14
3987 봄철 부주의 화재, 예방이 최우선!  ×1 제주소방서 외도119센터 조영수 04-14
3986 환경은 선택이 아니라 생존이다  ×1 ×1 강지상 04-11
3985 산불, 우리 모두가 경각심을 가져야 할 때!  ×1 김제현 04-11
3984 (기고) 비밀글 박승빈 04-10
3983 전동가위 사고 주의! "안전이 수확의 시작입니다”  ×1 제주특별자치도의용소방대연합회 여성회장 04-10
3982 (기고)제주 바다를 지키는 작은 실천, 플로깅의 힘 제주 해양수산연구원 김수강 04-10
3981 불법 소각, 더 이상은 안 됩니다  ×1 ×1 아라119 센터장 김승률 04-09
3980 두 바퀴 위의 제주, 변화의 길을 찾다  ×1 오명수 04-07
3979 산불, 우리 모두가 경각심을 가져야 할 때!  ×1 김제현 04-04
3978 [기고] 봄철 산불, “작은 부주의”가 대형 사회재난으로 이어집니다.   ×1 ×1 김지훈 04-04
3977 119구조대가 알려주는 봄철 안전하게 산행하기  ×1 제주소방서 119구조대 김현진 04-02
3976 고사리 채취 안전수칙!  ×1 제주특별자치도의용소방대연합회 여성회장 03-31
3975 서귀포시노인복지관, 고치모영봉사단 어반스케치팀 '겨울이야기25' 작품…  ×2 서귀포시노인복지관 03-27
3974 [기고] 오동통통 고사리 안전하게 따세요  ×1 제주소방서 119구조대 김현진 03-27
3973 (기고)김 육상양식산업의 미래, 제주 염지하수가 답이다  ×1 제주특별자치도 해양수산연구원 김수강 03-26
3972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찾아가는 청소년 노동 인권 교육…  ×1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 03-19
3971 세계 물의 날을 맞이하여  ×1 고기봉 03-15
3970 (사)제주YWCA, ‘2025 1차 이사실무자 연수’ 진행  ×1 (사)제주YWCA 03-12
3969 길어진 바닷속 여름, 수산물이 사라지고 있다.  ×1 제주특별자치도 해양수산연구원 김수강 03-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