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일상 속 버스 정류장
2020-12-09 11:10
강서영 (Homepage : http://)


원본 이미지 보기
원본 이미지 보기
우리 일상 속 버스 정류장은 (1)과 같으 버스 정류장이 많다.
(1)같은 버스 정류장에는 앉아서 쉴 의자도 없고 버스 이정표 같은 것들이 없어 버스를 탈 때 불편한 경우가 많다.
그리고 교통카드 정보도 필요하다고 생각한다.왜냐하면 교통카드 정보가 없으면 잔액이 부족한지 몰라서 버스를 못 탈 때도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버스를 타는 학생들이나 주민들에게 (2)같은 버스 정류장으로 개선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그러면 버스르 탈 때 언제 오는지 알 수 있고 많이 기다려야 할 때에는 의자에 앉아서 쉴 수도 있기 때문이다.하지만 (1)같은 버스 정류장이 많기 때문에 (2)같은 버스 정류장으로 개선되려면 제주시 시청에서 돈이 많이들 수도 있다.그러므로 1년에 5개씩이라도 버스 정류장을 개선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한다.만약 보도 넓이가 좁고 세울 수 없는 곳이면 쉴 수 있는 의자나 햇빛을 가려줄 수 있는 지붕이라도 세워주는 것이 마땅하다고 생각한다.그러면 버스를 타는 학생들이랑 주민들이 편하고 편리한 버스 이용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시청은 제주 주민들의 편리함과 문제점을 해결하려고 세워진 곳이니까 주민들을 위해 문제점을 개선하는 것이 맞다고 생각한다.월평동에 있는 버스 정류장뿐만 아니라 영평동 신성여자중학교 앞에 있는 버스 정류장, 봉개동에 있는 버스 정류장도 (1)번 버스 정류장처럼 생겼듯이 (1)같은 버스 정류장들이 제주도에 많다.제 친구들(신성여자중학교 재학)중에서도 버스 이정표가 없거나 의자가 없어서 불편했던 적이나 힘들었던 적이 있었다고 했다.그래서 시청에서 이 기사를 보고 최대한 주민들의 불편함을 해소해주고 편리함을 주는 버스 정류장을 세우면 좋을 것 같다.





No 제목 이름 날짜
3996 (기고)불법 소각, 그 감당 못할 책임에 경각심을  ×1 구좌여성의용소방대장 오춘미 04-24
3995 산불없는 제주를 위해 모두가 지켜주세요.  ×1 부재윤 04-22
3994 (기고) 한번에 뚝딱 완성되는 숲은 없다.  ×1 제주시 양은옥 04-22
3993 고사리철 이것만은 지켜주세요!  ×1 고기봉 04-18
3992 [기고] 자연재해! 준비는 지금! 풍수해·지진재해보험으로 안심하세요.  ×1 장명서 04-18
3991 보이지 않는 곳에서 청정 제주의 미래를 지키는 하수처리 이야기   ×1 상하수도본부 공공하수처리시설 현대화사 04-17
3990 [기고] 청년농업인, 지속 가능한 농업의 미래를 여는 열쇠  ×1 ×1 오종훈 04-16
3989 [기고] 내 재산은 내가 지킨다! 풍수해·지진재해보험!  ×1 장명서 04-16
3988 "제주, 가로등 불빛의 밝혀 드립니다. “한 줄기 빛으로 시작되는 안심의 …  ×1 심소연 04-14
3987 봄철 부주의 화재, 예방이 최우선!  ×1 제주소방서 외도119센터 조영수 04-14
3986 환경은 선택이 아니라 생존이다  ×1 ×1 강지상 04-11
3985 산불, 우리 모두가 경각심을 가져야 할 때!  ×1 김제현 04-11
3984 (기고) 비밀글 박승빈 04-10
3983 전동가위 사고 주의! "안전이 수확의 시작입니다”  ×1 제주특별자치도의용소방대연합회 여성회장 04-10
3982 (기고)제주 바다를 지키는 작은 실천, 플로깅의 힘 제주 해양수산연구원 김수강 04-10
3981 불법 소각, 더 이상은 안 됩니다  ×1 ×1 아라119 센터장 김승률 04-09
3980 두 바퀴 위의 제주, 변화의 길을 찾다  ×1 오명수 04-07
3979 산불, 우리 모두가 경각심을 가져야 할 때!  ×1 김제현 04-04
3978 [기고] 봄철 산불, “작은 부주의”가 대형 사회재난으로 이어집니다.   ×1 ×1 김지훈 04-04
3977 119구조대가 알려주는 봄철 안전하게 산행하기  ×1 제주소방서 119구조대 김현진 04-02
3976 고사리 채취 안전수칙!  ×1 제주특별자치도의용소방대연합회 여성회장 03-31
3975 서귀포시노인복지관, 고치모영봉사단 어반스케치팀 '겨울이야기25' 작품…  ×2 서귀포시노인복지관 03-27
3974 [기고] 오동통통 고사리 안전하게 따세요  ×1 제주소방서 119구조대 김현진 03-27
3973 (기고)김 육상양식산업의 미래, 제주 염지하수가 답이다  ×1 제주특별자치도 해양수산연구원 김수강 03-26
3972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찾아가는 청소년 노동 인권 교육…  ×1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 03-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