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페마스크의 발생에 따른 환경오염 해결 방안
2020-12-08 21:41
부소연 (Homepage : http://)

원본 이미지 크기입니다.
코로나19, 페마스크의 발생에 따른 환경오염 해결방안

오늘날 우리는 전 세계적으로 국가적 재난 상황 속에 처해있다. 2019년 12월 중국에서 최초로 발생하고 확산되어 현재까지 전 세계에서 지속되고 있는 코로나19는 우리를 두려움 속으로 몰아넣고 있다. 코로나19가 두려운 이유는 단순히 인간들에게만 영향을 끼치는 것뿐만 아니라 우리가 살아가는 환경에까지 영향을 끼치고 있기 때문이다.코로나19가 확산된 후 우리의 삶은 달라졌다. 우리는 코로나19의 감염 예방을 위해 매일 마스크를 착용한다. 외출할 때 마스크를 착용하는 것은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었다. 우리가 매일 마스크 1장을 소비하는 만큼 매일 버려지는 마스크의 양도 어마어마하다.국내에서 하루 평균 생산되는 마스크는 1,200만 장에 달한다. 중국에서는 하루 1억 1,600만 장을 생산하고, 프랑스에서는 수술용 마스크를 1주일에 400만 장에서 최대 800만 장까지 생산한다. 전 세계에서 매일 생산되는 마스크의 양을 따져보기만 해도 매일 버려지는 마스크의 양이 어마어마하다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 버려지는 마스크가 많아지는 만큼 이에 따른 환경오염의 우려가 커지고 있고 해결방안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며칠 전 유튜브에서 코로나 이후 버려지는 마스크를 재활용하는 것에 관한 영상을 보았다. 영상에는 한 학생이 나오는데 이 학생은 시간이 지날수록 버려지는 마스크의 양이 많아져 환경이 파괴되는 것을 보고 폐마스크를 재활용하는 방안을 연구하기 시작했다. 많은 시행착오를 겪지만, 마침내 폐마스크의 자재를 분리한 후 열풍기로 뜨거운 바람을 쐬어 녹인 마스크를 활용하여 의자를 만드는 것에 성공한다.이 학생뿐만 아니라 많은 사람이 환경오염을 해결할 수 있는 아이디어를 내고 그것을 실현하고자 할 것이다. 하지만 개인이 문제점을 인식한 후 그에 대한 해결방안을 제시하더라도 실질적으로 무엇인가를 크게 변화시키기는 어렵고 그 과정 중에도 많은 어려움이 존재하는 것이 현실이다.따라서 정부와 지자체 등 힘 있는 주체들은 개인과 함께 문제에 대하여 진지하게 고민하고 해결하려는 자세를 가져야 한다. 예를 들어 병원이나 학교가 아니더라도 쉽게 마스크를 수거할 수 있도록 마스크 수거함을 설치하거나 마스크도 분리수거를 해야 한다는 정책을 도입하는 등 개인이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 중에 맞닥뜨리는 고민을 없앨 수 있는 적절한 지원이 필요하다.환경문제에 대한 해결방안을 찾을 수 있는 것은 특정 누군가가 아닌 오늘날을 살아가고 있는 우리 모두이다. 우리가 살아가는 데 발생하는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모두가 함께 고민하고 노력해보는 것은 어떨까.


제주대 행정학과 2학년 부소연

No 제목 이름 날짜
3993 고사리철 이것만은 지켜주세요!  ×1 고기봉 04-18
3992 [기고] 자연재해! 준비는 지금! 풍수해·지진재해보험으로 안심하세요.  ×1 장명서 04-18
3991 보이지 않는 곳에서 청정 제주의 미래를 지키는 하수처리 이야기   ×1 상하수도본부 공공하수처리시설 현대화사 04-17
3990 [기고] 청년농업인, 지속 가능한 농업의 미래를 여는 열쇠  ×1 ×1 오종훈 04-16
3989 [기고] 내 재산은 내가 지킨다! 풍수해·지진재해보험!  ×1 장명서 04-16
3988 "제주, 가로등 불빛의 밝혀 드립니다. “한 줄기 빛으로 시작되는 안심의 …  ×1 심소연 04-14
3987 봄철 부주의 화재, 예방이 최우선!  ×1 제주소방서 외도119센터 조영수 04-14
3986 환경은 선택이 아니라 생존이다  ×1 ×1 강지상 04-11
3985 산불, 우리 모두가 경각심을 가져야 할 때!  ×1 김제현 04-11
3984 (기고) 비밀글 박승빈 04-10
3983 전동가위 사고 주의! "안전이 수확의 시작입니다”  ×1 제주특별자치도의용소방대연합회 여성회장 04-10
3982 (기고)제주 바다를 지키는 작은 실천, 플로깅의 힘 제주 해양수산연구원 김수강 04-10
3981 불법 소각, 더 이상은 안 됩니다  ×1 ×1 아라119 센터장 김승률 04-09
3980 두 바퀴 위의 제주, 변화의 길을 찾다  ×1 오명수 04-07
3979 산불, 우리 모두가 경각심을 가져야 할 때!  ×1 김제현 04-04
3978 [기고] 봄철 산불, “작은 부주의”가 대형 사회재난으로 이어집니다.   ×1 ×1 김지훈 04-04
3977 119구조대가 알려주는 봄철 안전하게 산행하기  ×1 제주소방서 119구조대 김현진 04-02
3976 고사리 채취 안전수칙!  ×1 제주특별자치도의용소방대연합회 여성회장 03-31
3975 서귀포시노인복지관, 고치모영봉사단 어반스케치팀 '겨울이야기25' 작품…  ×2 서귀포시노인복지관 03-27
3974 [기고] 오동통통 고사리 안전하게 따세요  ×1 제주소방서 119구조대 김현진 03-27
3973 (기고)김 육상양식산업의 미래, 제주 염지하수가 답이다  ×1 제주특별자치도 해양수산연구원 김수강 03-26
3972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찾아가는 청소년 노동 인권 교육…  ×1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 03-19
3971 세계 물의 날을 맞이하여  ×1 고기봉 03-15
3970 (사)제주YWCA, ‘2025 1차 이사실무자 연수’ 진행  ×1 (사)제주YWCA 03-12
3969 길어진 바닷속 여름, 수산물이 사라지고 있다.  ×1 제주특별자치도 해양수산연구원 김수강 03-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