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극심해지는 지구온난화, 우리의 생활습관 성찰 및 고안
2020-12-04 21:40
강향기나 (Homepage : http://)

원본 이미지 크기입니다.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2019102007 2학년 강향기나

-극심해지는 지구온난화, 우리의 생활습관 성찰 및 고안-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세계 여러 각 국가에서도 가장 심각한 환경문제 중 하나인 지구온난화는 석유와 석탄과 같은 화석연료 사용이 증가하고 산업화 이후로 대량 생산과 대거 소비가 증가한 환경이 조성된 이후로 더욱 심각해졌다.

해마다 조금씩 상승하는 지구의 평균기온으로 인해 지구의 기후대에도 큰 변동이 일어나고 건조기후 지역과 온대기후 지역이 점점 아열대 지역으로 변해갔고, 가뭄, 홍수, 태풍과 같은 자연재해 발생률과 그 강도가 더욱 거세지고 있다. 이러한 지구온난화는 환경과 상호연결된 전체적인 생태계에 방대한 영향을 미쳤으며 멸종 위기의 동물과 식물이 몇천여 종이나 된다. 해수면 온도가 상승하여 대기 중 온실가스 농도가 증가하며 인간에게 가장 중요한 자원 중 하나인 물도 점점 부족해져 문제가 더욱 악화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여름과 겨울에 난방 및 냉방 비용이 꽤나 많이 나간다. 환경이 파괴되고 지구가 고통받는 것을 알지만, 기온이 높은 날에는 에어컨을 풀가동하고, 기온이 낮은 날에는 난방을 풀가동한다. 이것이 바로 우리의 현실이다.

지구온난화가 더욱 극심해지는 것을 막기 위해 우리는 가장 기본적인 생활습관부터 조금씩 바꿔나가야한다. 예를 들어, 하루에 정해진 시간과 적정 온도를 정해서 난방 및 냉방기를 트는 것을 스스로 지켜나가야한다. 전문가들에 따르면 실내온도를 여름에 섭씨 26도 이상으로 겨울에는 20도 이하로 조절할 경우 이산화탄소의 배출량을 연 231kg 줄일 수 있다고 한다.

그 밖에도 양치질과 샤워를 할 때 물을 계속 틀어놓는 습관 버리기, 폐기물 재활용 실천, 환경친환경적인 상품을 소비하기, 일회용품 사용 줄이기, 전자제품 사용 줄이기(컴퓨터 플러그 빼놓기), 산림 보호 차원으로 나무심기(가장 도움이 많이 됨)등의 방법이 있다.

우리는 일상 속 당연하다고 느껴졌던 습관들이 지구온난화를 더 심각하게 발생시킬 수 있다는 점을 항상 인지하고 살아가야 한다. '나 하나쯤은 편하게 하던대로 해도 되겠지'라는 생각은 버려두고, 다같이 지구를 보존하는 데 협력하는 시민이 되어야한다.

No 제목 이름 날짜
3996 (기고)불법 소각, 그 감당 못할 책임에 경각심을  ×1 구좌여성의용소방대장 오춘미 04-24
3995 산불없는 제주를 위해 모두가 지켜주세요.  ×1 부재윤 04-22
3994 (기고) 한번에 뚝딱 완성되는 숲은 없다.  ×1 제주시 양은옥 04-22
3993 고사리철 이것만은 지켜주세요!  ×1 고기봉 04-18
3992 [기고] 자연재해! 준비는 지금! 풍수해·지진재해보험으로 안심하세요.  ×1 장명서 04-18
3991 보이지 않는 곳에서 청정 제주의 미래를 지키는 하수처리 이야기   ×1 상하수도본부 공공하수처리시설 현대화사 04-17
3990 [기고] 청년농업인, 지속 가능한 농업의 미래를 여는 열쇠  ×1 ×1 오종훈 04-16
3989 [기고] 내 재산은 내가 지킨다! 풍수해·지진재해보험!  ×1 장명서 04-16
3988 "제주, 가로등 불빛의 밝혀 드립니다. “한 줄기 빛으로 시작되는 안심의 …  ×1 심소연 04-14
3987 봄철 부주의 화재, 예방이 최우선!  ×1 제주소방서 외도119센터 조영수 04-14
3986 환경은 선택이 아니라 생존이다  ×1 ×1 강지상 04-11
3985 산불, 우리 모두가 경각심을 가져야 할 때!  ×1 김제현 04-11
3984 (기고) 비밀글 박승빈 04-10
3983 전동가위 사고 주의! "안전이 수확의 시작입니다”  ×1 제주특별자치도의용소방대연합회 여성회장 04-10
3982 (기고)제주 바다를 지키는 작은 실천, 플로깅의 힘 제주 해양수산연구원 김수강 04-10
3981 불법 소각, 더 이상은 안 됩니다  ×1 ×1 아라119 센터장 김승률 04-09
3980 두 바퀴 위의 제주, 변화의 길을 찾다  ×1 오명수 04-07
3979 산불, 우리 모두가 경각심을 가져야 할 때!  ×1 김제현 04-04
3978 [기고] 봄철 산불, “작은 부주의”가 대형 사회재난으로 이어집니다.   ×1 ×1 김지훈 04-04
3977 119구조대가 알려주는 봄철 안전하게 산행하기  ×1 제주소방서 119구조대 김현진 04-02
3976 고사리 채취 안전수칙!  ×1 제주특별자치도의용소방대연합회 여성회장 03-31
3975 서귀포시노인복지관, 고치모영봉사단 어반스케치팀 '겨울이야기25' 작품…  ×2 서귀포시노인복지관 03-27
3974 [기고] 오동통통 고사리 안전하게 따세요  ×1 제주소방서 119구조대 김현진 03-27
3973 (기고)김 육상양식산업의 미래, 제주 염지하수가 답이다  ×1 제주특별자치도 해양수산연구원 김수강 03-26
3972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찾아가는 청소년 노동 인권 교육…  ×1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 03-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