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2020-02-20 00:35
고기봉 (Homepage : http://)

원본 이미지 크기입니다.
제주 도민안전공제보험 제도를 아시나요?
사람은 누구나 삶에 있어서 안전해지려는 기본적인 욕구가 있다. 이에 국가나 각 지방자치단체에서 국민에 대한 안전은 선택과 배려가 아닌 반드시 이행해야 할 책임이라고 본다.
이런 연유에서 최근 일부 지자체들은 시민안전보험이라는 새로운 보험 제도를 도입하고 있으며, 우리 주변에도 여전히 보험의 혜택을 전혀 받지 못하는 등 사고를 당했을 때 삶에 큰 어려움을 겪는 사람들이 많이 있다.
제주도민안전공제보험은 도민들이 일상생활 중 예상치 못한 각종재난·재해로 사고를 당했을 경우 안정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 시민이 안심하고 살 수 있는 안전한 행복 제주 구축에 앞장서기 위해 추진 중인 제도이다.
제주도가 보험회사와 직접 계약을 하고 이를 통해 피해를 입은 시민들에게 금전적 지원을 제공한다. 가입대상은 제주도에 주민등록을 둔 모든 시민으로 등록외국인과 계약 기간 중 제주도로 전입한 시민이라도 보험의 보장대상이다.
제주도민인 경우 별도의 가입절차 없이 자동으로 보험의 대상에 포함돼 혜택을 받게 되므로 시민들의 편의가 증진되고 사회안전망의 실효성이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도민안전공제보험은 자연재해, 폭발, 화재, 붕괴, 대중교통, 뺑소니, 무보험차량사고, 강도사고, 스쿨존교통사고, 성폭력 상해, 농기계사고로 보험자가 입게 되는 사고에 한하며, 보장금액은 사고유형별로 최대 1000만원까지 지원된다.
특히 도민안전공제보험은 다른 보험 가입 여부와 상관없이 보상이 제공된다는 점에서 재난 및 사고로 인해 일상의 어려움을 겪는 시민에게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보험의 보장범위에 포함되는 재난 및 상해 등을 입은 시민은 관련 증빙서류를 첨부해 보험사에 보험금을 청구하면 수령할 수 있으며, 보험계약 기간 중 발생한 사고라면 사고일로부터 3년까지 보험금 청구가 가능하다.
제주 도민안전공제보험이 제주도민 모두가 안심하고 생활할 수 있도록 대비하는 사회안전망으로서의 역할뿐 만아니라 사회의 관심과 각종 제도적인 혜택 밖에 놓여 있어 작은 사고에도 생활 자체가 위협받는 사회적 약자 분들에게 도움이 되는 제도로 정착돼 더블어함께 사는 사회를 만들어나가는데 기여할 수 있게 되기를 바래본다.
사고접수 및 보상관련 문의는 064-710-6918 또는 전국 02-6900-2200 이다.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강사 고기봉(행정학 박사 )

No 제목 이름 날짜
3818 제주 푸드테크 스타트업, 자생력 기반의 지속 성장 필요성  ×1 조유진(제주대학교) 09-26
3817 공직자의 사명감  ×1 ×1 제주특별자치도감사위원회 도민감사관 09-26
3816 제주 장애 대학생들을 위한 취업·진로 관련 프로그램 운영  ×1 김민성 09-25
3815 우리동네 주민자치 시범실시환영합니다 동홍동주민 09-25
3814 죽 한그릇에 담긴 격세지감  ×1 김계담 09-24
3813 소화전 불법 주정차 금지는 나로부터  ×1 ×1 고길훈 09-24
3812 (기고)2024 제주시 소상공인 한마음 박람회 초대  ×1 ×1 이수현 09-23
3811 (기고문) 9월달은 재산세 납부의 달입니다  ×1 삼도1동 09-23
3810 하수슬러지 처리과정을 소개합니다  ×1 상하수도본부 공공하수처리시설 현대화사 09-23
3809 계속되는 오염수 방류, 우리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 비밀글 고은서 09-23
3808 지구와 인간의 지속적 공존을 위한 실천교육의 필요성  ×1 오세빈 09-22
3807 환경을 생각하는 우리의 작은 노력이 더 큰 미래를 만든다.  ×1 고기봉 09-20
3806 환경을 지키는 작은 실천  ×1 ×1 청정제주환경모니터단 09-20
3805 도민행복일자리박람회, 제주일자리의 미래와 취업역량 강화를 위한 기회의…  ×1 제주특별자치도 고용센터과 박소현 09-18
3804 공직자의 청렴관  ×1 ×1 도민감사관 김용균 09-16
3803 [기고] 화재 없는 풍성한 한가위!  ×1 ×1 효돈119센터 소방교 장재혁 09-15
3802 기후위기, 은행이 해결할 수 있을까?  ×1 김현우 09-12
3801 지속 가능한 하수 이송체계 구축  ×1 상하수도본부 하수도부 이윤재 주무관 09-11
3800 제주 향토음식을 담은 새로운 유튜브 채널, '시즈널 딜라이츠'  ×1 ×1 김건우 09-11
3799 [기고]제주 행정구역 개편, 도민에게 적극적으로 알려야  ×1 강승현 09-11
3798 YWCA제주특별자치도협의회, 탈핵기후생명운동워크숍 “제주지역의 지속가…  ×1 (사)제주YWCA 09-10
3797 서귀포삼다종합사회복지관 개관식을 지내며  ×1 ×1 조성태 09-09
3796 제주먹거리여행 기준점이 변화하고 있다  ×1 ×1 문동일셰프 09-08
3795 안심콜로 생활에 안전을 더하세요!  ×1 동부소방서 김녕지역대 소방사 임현준 09-08
3794 (사) 베⋅사⋅모복지장학회,추석맞이 후원물품 기탁  ×1 비밀글 박국찬 09-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