빛이 아닌 빚 속에 빠진 대학생들
2018-06-08 13:57
김대일 (Homepage : http://)
빛이 아닌 빚 속에 빠진 대학생들.hwp ( size : 16.00 KB / download : 15 )

원본 이미지 크기입니다.
내 친구는 빚쟁이다. 사치나 낭비를 즐기지도 않는 평범한 대학생이다. 그럼에도 채무자가 된 이유는 ‘학자금 대출’ 때문이다. 현재 내가 재학 중인 학과의 등록금은 한 학기에 160만원을 조금 웃도는 정도이다. 이는 주요 사립대학교들의 등록금과 비교하면 현저히 낮은 금액이다. 그렇다고 국립대학교를 다니는 학생들의 부담이 없는 것은 아니다. 20대 학생들의 주요 수입원은 아르바이트와 부모님께 받는 용돈이다. 이러한 수입원만으로 등록금과 생활비, 교재비와 같은 부수적인 지출까지 모두 충당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다.

2016년도 통계를 보면 내가 재학 중인 제주대학교에서 학자금 대출을 받는 비율은 8.5% 정도이다. 비율로만 볼 때는 낮아 보이지만 1만 재학생을 기준으로 보면 850명 정도의 학생이 학자금대출을 받으며 학교를 다니고 있는 셈이다. 사립대학의 통계를 보면 적게는 10~20% 정도, 많게는 36%나 되는 학생들이 학자금 대출을 받는다. 이렇게 학자금 대출을 받는 학생들은 졸업을 하고나면 취업도 하기 전 빚을 진 청년 채무자가 되어있다. 2013년 이미 55만명에 달했던 대학생 채무자 수는 꾸준히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국가차원의 노력이 없는 것은 아니다. 소득분위를 늘려서 국가장학금을 받을 수 있는 학생 수 6만 3천명 정도가 늘어났다. 그리고 상환방식 또한 소득에 따라 갚을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하지만 이는 한국장학재단의 이야기다. 금융기관을 끼고 대출을 받은 학생들에게는 해당되지 않는다. 이처럼 사각지대는 존재한다.

올해 서울시립대학교에서는 전국 최초로 입학전형료와 입학금을 폐지하기로 결정했다. 그리고 그에 대한 보충원으로는 서울시가 나선다. 시립대는 앞서 2012년 반값 등록금을 처음 시행하기도 했다. 나는 이러한 선례가 있듯, 많은 지자체와 대학의 연계가 필요하다고 본다. 각 시도마다 편성된 청년 관련 예산에서 정답을 찾을 수 있다.

6월 13일 지방선거를 앞두고 많은 유권자들이 20대의 표심을 얻기 위해 청년관련 공략들을 내세우고 있다. 그러한 정책의 대부분은 청년실업을 고려해서 인지 일자리 창출과 청년 관련 예산의 비중을 확충하는 식의 정책들이 대부분이다. 하지만 청년에는 취업준비생만 있는 것은 아니다. 청년 계층에 대한 조금 넓고 포괄적인 관심과 세심한 분류가 필요해 보인다. 취업을 앞두고 많은 청년이 가지고 있는 신분인 대학생에 대한 관심을 빼고는 청년 복지를 논하기는 어려워 보인다.

No 제목 이름 날짜
3143 평생의 소원을 이루게 하는 "문해교육"  ×1 김승남 05-13
3142 지속 이용 가능한 용천수 관리 체계 구축 해야  ×1 고기봉 05-13
3141 '시간제 보육' 서비스 제도를 아시나요?  ×1 오정애 05-12
3140 제주본부 사회봉사단, 농번기 일손돕기 봉사활동 시행  ×1 한국전력 제주본부 05-12
3139 효도가족 100쌍 찾기 사업 안내  ×1 도 노인장수복지과 유은숙 05-10
3138 은빛마을노인복지센터 노인맞춤돌봄서비스, 블랙야크와 함께하는 ‘야크 …  ×1 은빛마을노인복지센터 05-06
3137 삭제 비밀글 삭제함 05-06
3136 자기만의 속도로 자라는 아동을 위한 '나답게크는아이지원사업' 실시  ×1 지역아동센터제주지원단 05-02
3135 공사장 화재예방 3가지만 실천하자  ×1 ×1 고길훈(서부소방서 안덕119센터) 05-02
3134 봉개동, 번영로 풀베기작업실시  ×1 봉개동 05-02
3133 제16회 설문대할망페스티벌 개최햄수다 하영옵서예  ×1 문병혁 05-02
3132 5월 10일은 바다에 미래를 심는 "바다식목일" 바다에 생명을  ×1 이해창 05-01
3131 5월 10일은 바다에 미래를 심는 "바다식목일" 바다에 생명을  ×1 이해창 05-01
3130 [기고] 야영장에서 흔적을 남기지 않고 떠나기  ×1 도 도시계획재생과 신유경 04-28
3129 생활 하수 처리 방법 홍보, 도민이 더욱 체감할 수 있는 효과적 방법 마련해…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4학년 강지훈 04-28
3128 곱을락'樂' 삼촌들 편안하우꽈~?  ×1 고경희 04-27
3127 일자리가 가져다준 행복  ×1 염옥란 04-26
3126 일상생활 사고 피해, ‘도민안전보험’으로 보상 받으세요  ×1 ×1 제주시 안전총괄과 김성수 04-26
3125 전쟁으로 주목받는 농업의 중요성  ×1 ×1 비밀글 농협경주환경농업교육원 김종우 교수 04-25
3124 개발,무관심에 사라지는 용천수제도 개선 필요  ×1 기봉 04-25
3123 삭제 비밀글 삭제 04-22
3122 소상공인의 든든한 퇴직금 노란우산공제에 가입하세요   ×1 문원영 04-21
3121 출력제어, 분산에너지 그리고 에너지 분권  ×1 ×1 오정헌 04-21
3120 4월 22일 자전거의 날 “자전거로 제주를 지켜요!” 소중한 지구를 지키는 …  ×1 강태욱 04-20
3119 대학의 위기, 제주의 위기  ×1 원고운,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04-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