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제주자치경찰 교통사고 유발 고위험 행위 집중단속한다

[한라일보] 제주자치경찰이 중앙선 침범이나 신호 위반 등 교통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 고위험 행위에 대해 집중단속에 나선다. 제주자치경찰단은 교통사고 예방과 선진 교통문화 정착을 위해 교…

[경제] 제주 중소기업 7월 경기전망지수 반등... 여전히 '부정적'

[한라일보] 제주지역 중소기업 경기전망이 한 달 만에 반등하며 소폭 개선됐다. 그러나 여전히 기준치(100)를 크게 밑돌며 부정적인 인식이 우세한 상황이다. 업종별로는 제조업과 비제조업간 전망…

[정치/행정] 이 대통령, 파격 지역 순회 타운홀 미팅 제주는 언제쯤?

[한라일보] 이재명 대통령이 취임 후 광주와 충청에서 지역 주민과의 소통행보에 나선 가운데 제주도민들과 제주 현안에 대해 논의하는 자리도 마련될 지 주목된다. 이 대통령은 지난 4일 대전컨…

[교육] 제주중앙여고, 제주4·3 문학 작가와의 대화 마련

[한라일보] 제주4·3문학 작가와 학생들이 직접 소통하는 뜻깊은 자리가 마련된다. 제주중앙여자고등학교는 오는 11일 현기영·고시홍·고진숙 작가를 초청해 전교생을 대상으로 '제주4·3문학 작가…

[주목e뉴스] 제주지역 주택시장 '큰손' 외지인 매입비율 '꾸준'

[한라일보] 제주지역 주택을 매입하는 외지인 비율이 3개월 연속 20%대를 기록하고 있어 주목된다. 제주자치도가 발표한 5월 주택통계에 따르면 제주지역 5월 주택 매매거래량은 611건으로 전달 559…

[주목e뉴스] 제주지방 가마솥 더위.. 제주·서귀포 8일째 열대야

[한라일보] 7월 둘째 주에도 낮에는 폭염, 밤에는 열대야가 기승을 부리며 가마솥 더위가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7일 제주지방기상청에 따르면 제주지방은 일본 남쪽 해상에 위치한 고기압의 가장…

[포토] 여름 한낮의 도로

[한라일보] 제주전역에 폭염이 연일 이어지는 가운데 6일 제주시 연동 한 도로가 뜨겁게 달궈져 지열이 피어오르고 있다. 강희만기자 ■기사제보▷카카오톡 : '한라일보' 또는 '한라일보 뉴스'를…

[포토] 스프링클러 돌아가는 농경지

[한라일보] 1주일 가까이 폭염과 함께 비가 내리지 않으면서 6일 제주시 오라동 한 농경지에서 스프링클러가 힘차게 돌아가고 있다. 강희만기자 ■기사제보▷카카오톡 : '한라일보' 또는 '한라일…

[백록담] [문미숙의 백록담] 강정항 크루즈 준모항 시대 촘촘한 대책을

[한라일보] 서귀포시에 위치한 제주민군복합형관광미항(강정항)이 준모항으로 운영된 지 두 달을 넘기고 있지만 관광객 체류 확대와 지역에서의 소비 연계 측면에서 보면 갈 길이 멀어 보인다. 해…

[영화觀] [영화觀/ 퀴어] 사랑과 결함

[한라일보] 누군가를 사랑하는 일이 그저 향기로운 축복이라면 세상이 이렇게 복잡한 냄새로 진동하지는 않을 것이다. 사랑은 종종 아름답게 보여지기 위해 탈취된 채로 전시되곤 한다. 이상형과 …

[오피니언] [열린마당] 눈 건강을 위한 작은 배려, 안경구입비 지원

[한라일보] 최근 교육부가 공개한 지난해 학생 건강검사 표본통계 결과를 보면 제주지역의 시력 이상 학생 비율이 전국 대비 높게 나타났다. 시력 이상 학생들이 증가하는 건 유전적인 요인도 있…

[祝 창립기념일을 축하합니다] [창립기념일을 축하합니다] 7월 7일~13일

"제주산 어간장으로 맛·품질 인정" [한라일보] ▶해어림=8일 창립 23주년을 맞는 해어림(대표 문순천·사진)은 제주산 전갱이와 고등어를 주원료로 해 3년 이상 자연 숙성시킨 어간장을 생산하고 …

[오피니언] [열린마당] 누락된 건축물 도면, 다시 찾습니다

[한라일보] 건축물 현황도는 해당 건축물의 구조, 면적, 용도 등을 명확히 확인할 수 있는 '내 건물의 현재 상태를 보여주는 지도'이다. 현황도는 건축물 소유자가 지자체를 직접 방문해서 발급신청…

[오피니언] [남동우의 월요논단] MADEX 2025, 해양방산의 미래

[한라일보] 2025년 제14회 국제해양방위산업전(MADEX)이 지난 5월 28일부터 31일까지 부산 BEXCO에서 개최됐다. MADEX는 국내 유일의 해양 방위산업 전시회로 2001년 첫 회 이후 격년 주기로 열리고 있다. 올…

[사설] [사설] 올 장마 끝, 폭염·1차산업 피해 등 유비무환

[한라일보] 올해 장마가 지난달 26일 종료됐다. 시작 보름 만에 끝나면서 역대 2번째로 짧은 장마로 기록됐다. 가장 짧았던 때는 1973년으로 7일이었다. 장마 종료 시점도 1973년과 1994년 기록한 7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