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여기 있어요] (7) 제주 밖 사례 ①

[우리, 여기 있어요] (7) 제주 밖 사례 ①
'동물 공존도시' 선포한 서울… 유기동물 안락사 줄였다
  • 입력 : 2022. 09.19(월) 00:00
  • 김지은 기자 jieun@ihalla.com
  • 글자크기
  • 글자크기
서울시 2019년 '동물 공존도시 기본계획' 수립 시행
수의사회 등과 함께 동물등록 지원·24시 구조단 운영
유기동물 입양 활성화 위해 시민단체와도 협력 강화


[한라일보] 유기견 문제는 제주만의 고민이 아니다. 전국 모든 지역이 비슷한 문제를 안고 있다. 한라일보 기획 '우리, 여기 있어요' 7~9회는 제주 밖, 서울시와 경기도 사례를 현장 취재해 담는다. 이는 행정의 적극적 관심과 정책적 움직임, 민관 협력이 문제를 푸는 중요한 열쇠가 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사람과 동물이 공존할 수 있는 섬, 제주를 위한 시사점이기도 하다.

서울시가 민간단체 '동행'과 함께 운영을 시작한 도심 내 유기동물 입양카페 '발라당 입양센터'. 사진=서울시 제공

|제주보다 유기견 적은 서울… 유기동물 안락사율 '한 자리'

"전국 17개 시·도 중에 인구 대비 유실·유기동물 발생률이 가장 높은 곳은 제주로, 인구 1만 명 당 414.1건이 발생했다. 이는 가장 낮은 서울(40건 / 1만명)의 10배가 넘는다." 동물자유연대가 지난해 발표한 '2016~2020년 유실·유기동물 분석 보고서'에 담긴 내용이다. 이 5년간 전국에서 발생한 유기견(유실견 포함)은 42만1610마리였는데, 이 중 6.1%가 '제주', 5.9%가 '서울'에서 발생했다. 두 지역의 큰 인구 수(서울 951만·제주 68만, 2022 행정안전통계연보) 차이에도 유기견 발생 수는 제주가 서울을 넘어서고 있다.

최근 들어 서울시에선 유기동물의 안락사율이 줄고 입양·기증률은 늘고 있다. 지난 2019년 서울시의 유기동물 안락사율(20.3%)은 전국 평균(22.9%)보다 처음으로 낮아졌다. 전체 유기동물 입양률(분양·기증 포함)은 2018년 32.0%에서 2019년 33.9%, 2020년 36.9%로 꾸준히 오르고 있다.

지난해만 놓고 보면 서울시에서 발생한 개, 고양이 등 유기동물(5605마리)의 39.8% 입양되고 나머지는 반환(24.0%), 자연사(22.8%), 안락사(9.5%)됐다. 같은 해 제주도가 운영하는 제주동물보호센터에 입소한 유기동물(5364마리)의 절반 이상이 안락사(51.8%)되고 자연사(22.0%), 입양(17.6%), 반환(6.1%)된 것과 비교하면 그 차이가 뚜렷하다.

이같은 수치만으로 두 지역의 유기견 입양률을 단순 비교하기는 무리가 있다. 서울시는 입양 선호도가 높은 품종견이, 제주는 '믹스견'이라고 불리는 비품종견의 비율이 높은 탓이다. 동물자유연대 보고서에 담긴 2020년 지역별 유기견 현황을 보면 서울시는 품종견이 1920마리, 비품종견이 1497마리였지만 제주는 품종견이 458마리, 비품종견이 5261마리였다. 서울의 경우 품종견 수가 많은 데 반해 제주는 비품종견이 10배 이상 많은 셈이다.

그럼에도 서울시의 유기견 입양 활성화 등 동물보호 정책이 제주에 보여주는 점은 분명하다. 특히 '동물 공존도시'라는 명확한 비전을 가지고 다양한 정책을 펼치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민관 협력이 활성화됐다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

서울시가 2019년 '동물 공존도시'를 선포하며 발표한 자료. 사진=서울시 제공

|2019년 '동물 공존도시' 선포… 민관 협력 등 효과

서울시는 2019년 '동물 공존도시 서울 기본계획'을 수립했다. 내년까지 총 5개년 계획으로 연도별 시행계획을 마련해 추진하고 있다. 올해 계획에는 '동물의 안전과 생명이 보장되는 도시', '사랑과 동물이 함께 누리는 동물복지도시', '생명존중의 가치를 추구하는 도시공동체' 등의 3개 전략 아래 21개 과제가 담겼다.

윤민 서울특별시 동물보호과 동물정책팀 주무관은 "이전에도 1기 동물복지종합계획을 세워 추진해 왔지만 2019년도 민선 7기에 들어서면서 유기동물 정책이 쏟아졌고 동물 공존도시 서울이라는 기본계획을 수립하게 됐다"며 "전국 평균보다 높았던 서울의 유기동물 안락사율이 2019년에 처음으로 뒤집힌 것도 그 해에 발표했던 정책이 주효한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서울시는 동물 등록률부터가 높다. 서울시 지역 반려견은 76만6933마리인데, 이 중 71.7%가 등록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제주지역 반려견 등록률(51.9%, 올해 3월 기준)보다 거의 20% 가량 높은 수치다. 동물 등록률을 높이는 것은 유기견 발생을 예방하는 한 조치라는 점에서 강조된다. 이에 서울시는 서울시수의사회, 손해보험협회와 협력해 기존 4~8만원인 마이크로칩을 통한 내장형 동물 등록을 1만원으로 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2019년 3만8548마리를 시작으로 해마다 지원을 잇고 있다.

서울시는 24시간 유기동물 구조체계도 갖췄다. 전국 지차체에선 처음으로 2020년 '24시간 유기동물 전문 구조단' 시범 운영해 안착 단계에 들어섰다. 유기동물의 구조와 치료 체계를 강화하기 위한 조치다. 서울시 25개 자치구에서 유기동물이 발견돼 신고가 이뤄지면 24시간 구조단이 구조에 나선다. 이후 치료가 필요하면 공휴일이나 야간에도 운영하는 응급치료센터 또는 동물복지지원센터로 이송되며, 보호는 자치구가 위탁 운영하는 동물보호센터가 맡는다.

서울시 마포구 소재 '서울동물복지지원센터'는 유기동물 보호와 입양, 관련 교육 등을 진행하고 있다. 김지은기자

유기동물 입양을 활성화하기 위한 민관 협력도 강화했다. 현재 3개 단체(팅커벨프로젝트, 동물구조119, 동대문구길고양이보호협회)와 손잡고 유기동물 임시보호를 활성화하고 있다. 임시보호 자원봉사자를 모집해 운영하며 한정된 보호시설 공간의 한계를 보완하고 있는 것이다. 가정에서 단기간 보호만 하는 게 아니라 실제 입양으로도 이어질 수 있도록 연계하고 있다.

지난해부턴 민간단체 '동물과 함께 행복한 세상'(이하 동행)과 함께 도심 내 유기동물 입양카페인 '발라당 입양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윤민 주무관은 "동행은 이전부터 유기동물 임시보호를 하던 단체인데, 서울시가 제안해 함께 입양센터를 열게 됐다"며 "동대문구에 폐업한 애견카페 건물을 동행이 임대하고 나머지 운영비는 시에서 지원해 유기동물 보호와 입양 등을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서울시는 이외에도 자치구가 운영하는 유기동물 입양지원시설을 늘리고 입양 시 동물보험 가입 지원, 서울동물복지지원센터 확충, 어린이 동물보호교육 등을 추진하고 있다. 올해부턴 재건축, 재개발지역처럼 유기견이 발생할 경우 들개 발생이 우려되는 곳을 중심으로 반려견 양육실태를 조사하고 교육·홍보 등을 추진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동물등록과 중성화수술 등도 지원한다.

서울시는 유기동물 문제를 비롯한 동물보호에 적극 대응하기 위해 일찌감치 조직도 정비했다. 2012년 조직 내 동물보호과를 신설했는데, 이 역시 전국에선 처음이다. 서울시 푸른도시여가국 산하에 있는 동물보호과는 동물정책팀, 동물복지시설팀, 동물보건팀, 동물관리팀으로 이뤄져 있다. 윤 주무관은 "시 동물보호과에는 동물복지지원센터 근무 공무원을 포함해 현재 18명이 배치돼 있다"며 "서울시 25개 자치구도 3곳만 제외하고는 모두 동물보호팀처럼 전담팀을 두고 있다"고 말했다. <이 기사는 지역신문발전기금을 지원받았습니다.>
  • 글자크기
  • 글자크기
  • 홈
  • 메일
  • 스크랩
  • 프린트
  • 리스트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기사에 대한 독자 의견 (1 개)
이         름 이   메   일
9662 왼쪽숫자 입력(스팸체크) 비밀번호 삭제시 필요
해피멈 2022.09.23 (07:46:06)삭제
안락사 o%로- 최악은 김포시-포천-양주시등- 구조-헝보하느러 너무 괴롭내요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