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라일보] 김완근 제주시장은 1일 지난 1년 간 민생 회복과 현장의 목소리를 듣는 일에 집중했다고 밝혔다. 또 행정시장으로서 한계를 고백하며 남은 임기 동안 시민의 삶에 가장 직접적인 변화를 가져올 자치권 확보에 역량을 집중하겠다는 입장을 내놨다.
김 시장은 이날 오전 제주시청에서 가진 취임 1주년 기자회견에서 "홈치 해결 상담실과 신바람 현장 경청회 등을 통해 총 904건의 시민 건의를 수렴하고, 그 중 214건을 해결했다"며 "나머지 건의 사항들도 직접 챙겨서 빠른 해결을 만들어 내겠다"고 말했다.
또 "민생의 핵심인 돈이 도는 구조를 만들기 위해 원도심 상권 활성화 사업, 1차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농산물우수관리(GAP) 인증 확대에 최선을 다했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회견의 상당 부분은 행정시장으로서 느끼는 한계를 설명하는데 할애했다.
김 시장은 "지난 1년은 제 인생 최대치의 보람을 느끼는 시간이었지만 또한 아쉬움과 한계를 체감하는 혼란의 시기이기도 했다"며 "예산이 수반되는 정책을 독자적으로 추진할 수도, 시민 여러분의 불편을 조례로 해소할 수도, 법인격이 없어 법적 책임의 주체가 될 수도 없다"고 피력했다.
이어 "읍면동 현장을 다녀보면 조례 제정이나 제도 개선이 필요한 사항을 많이 건의하고 현장 접수한 민원만 900건이 넘는다"며 "하지만 "곧 해결하겠다"는 말 만큼이나 도에 건의나 요청하겠다는 말을 자주 하게 된다"는 것이다.
기초자치단체를 도입하고 3개 행정구역으로 나누는 제주도 행정체제 개편과 관련해선 "많은 도민들도 기초단체가 없어 많은 불편을 겪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각계 전문가로 구성된 행정체제개편위원회에서 1년 여간 토론과 논의끝에 권고안을 도지사에게 전달했고, 도지사는 이를 도민 의견으로 받아들인 것"이라고 했다. 이어 "행정체제 개편과 관련한 사무 분장, 재정 분할 문제를 제주도를 중심으로 행정시에서 태스크포스를 구성해 차곡차곡 준비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논란이 여전한 제주들불축제는 계속 이어가겠다는 입장도 밝혔다.
김 시장은 "들불축제 오름 불놓기에 대한 감사위원회의 판단이나 오름불놓기를 되살릴 수 있도록 한 주민 발의 조례안이 도의회 재심의에서 부결돼 입장이 정리됐다고 본다. 그래서 새별오름에 불을 놓는 일은 더 이상 없다"고 말했다. "다만 사흘 동안 축제를 어떻게 진행할 것인지에 대해서는 앞으로 지속적으로 도민 의견을 들으면서 들불축제는 계속 이어가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기사제보▷카카오톡 : '한라일보' 또는 '한라일보 뉴스'를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 064-750-2200 ▷문자 : 010-3337-2531 ▷이메일 : hl@ihalla.com
▶한라일보 유튜브 구독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