훼손된 제주성 원형 복원 원도심 활성화

제주시, 계획안 최종 확정토지매입·발굴정비사업 추진향후 10년간 530억 규모 투입 일제에 의해 철거되기 시작한 후 지속적으로 훼손돼온 제주성(도기념물 제3호) 보존·관리 및 활용계획이 최종 확정됐다. 제주시는 최근 올해…

[천년의 유산 제주城을 살리자(21·끝)/제5부-제주성의 미래는?](3)에필로그

2023년까지 제주성 발굴·복원·정비 단계적 추진3단계로 나눠 530억원 투입 예정성문·성곽·건물 등 정비 복원키로 제주시가 제주성 보존 관리 및 활용계획 수립에 나선 것은 더 이상 훼손 및 멸실실태를 방치할 수 없다는 현실…

[천년의 유산 제주城을 살리자(20)/제5부-제주성의 미래는?](2)정비·보존 방향 어떻게

다른 지방과는 차별화된 고유성 되살릴 수 있어야문화재 지정 40년이 넘었지만 제대로 된 종합보고서조차 없어일제가 성문 허문지 100년 되는 올해를 정비 복원의 원년 돼야道, 정책적 의지와 뒷받침 필요 탐라시대부터 제주인…

[천년의 유산 제주城을 살리자(19)/제5부-제주성의 미래는?](1)다른 지방의 사례

성곽은 민중들의 고통과 집단 장인기술이 만든 결정판남한산성 세계유산 등재 성과한양도성 등도 1970년대부터 정비제주 이제야 걸음마… 보고서 전무 우리나라는 예부터 성곽의 나라라고 일컬어졌다. 조선시대(세조 2년 1456…

[천년의 유산 제주城을 살리자(18)/제4부-옛길을 탐하다](4)보존·활용방안 서둘러야

옛길 변화 특성 파악하고 잔존 실태 정확히 조사보존·활용방안 고민해 나가야주변 이해당사자만이 아니라 도시 전체의 공공자산 인식을 제주에서 근대적 의미의 도시형성은 100여 년 전부터 시작됐다. 일제에 의한 왜곡된 근…

[천년의 유산 제주城을 살리자(17)/제4부-옛길을 탐하다](3)과거의 길, 현재의 길(하)

고유성 지명 공간적 특징 무시 마구잡이식 도로개설은 침탈위한 일제 식민지배의 산물근대화 이전까지 유지되던 길의 골격 차츰 사라지고 신작로 따라 공간변화도 초래 제주도뿐만 아니라 전국 각지의 도로체계는 일제강점…

[천년의 유산 제주城을 살리자(16)/제4부-옛길을 탐하다](2)과거의 길, 현재의 길(상)

제5부-제주성의 미래는? 도심을 실핏줄처럼 연결하는 옛길은 아무렇게나 생겨난 것 같지만 그렇지 않다. 우리나라의 경우 일찍부터 도로, 즉 길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법적으로 세세하게 규정해놓을 정도였다. 조선시대 최고의 …

[천년의 유산 제주城을 살리자(15)/제4부-옛길을 탐하다](1)왜 옛길에 주목하는가

사통팔달 도로가 뚫리고 간선도로 수없이 생겨났지만옛길은 여전히 회색빛 도시를 살아 숨쉬게 하는 실핏줄 역할원도심 일대 옛길 40여곳 남아…분포·잔존실태 등 파악 안돼보존·활용대책 등도 무관심…옛길 포함 제주성 복…

[천년의 유산 제주城을 살리자(14)/제3부-돌하르방은 어디로 갔나](2)홀대받는 돌하르방

도문화재 지정불구 힘센 기관 전유물로 전락원위치로 이전해야 가장 제주다운 성곽 가능정확한 소재지 규명 및 3D 기록화 작업 과제 제주성 돌하르방은 그 자체가 가장 제주적인 상징성을 지닌다. 국내 다른 읍성에서도 성문 …

[천년의 유산 제주城을 살리자(13)/제3부-돌하르방은 어디로 갔나](1)제주성과 함께 하다

지배 이데올로기·민중 염원 결합 산물가장 제주적 조형물 불구 뿔뿔이 흩어져 탐라시대 이래 천년을 이어온 제주성은 일제 강점기에 본격적으로 훼손되고 철거되기 시작했다. 성벽과 성의 주요 건물들이 하나둘씩 사라졌다. …

[천년의 유산 제주城을 살리자(12)/제2부-사라진 성, 훼손된 성곽](6)훼손되고 뒤틀린 현장들

땅 한평 없는 피란민들 성벽 위에 집을 지어 살기도잔존 성벽은 문화재범위 확대 등 통해 보존 정비해야 제주성 파괴의 주체는 어디까지나 일제로부터 비롯됐다. 성곽을 허무는데 무슨 고민이 있었을까. 일제는 이를 통해 탐…

[천년의 유산 제주城을 살리자(11)/제2부-사라진 성, 훼손된 성곽](5)헐어버린 건물들(하)

제주기상의 역사와 함게 성곽.누각 차례로 멸실탐라문화광장 조성 맞물려 종합계획 수립해야 지금은 자취도 없이 사라졌지만 제주성 안에는 고풍스런 누각이 많았다. 제주성의 문루로는 동문인 연상루와 서문인 진서루, 남문…

[천년의 유산 제주城을 살리자(10)/제2부-사라진 성, 훼손된 성곽](4)헐어버린 건물들(상)

지난해 공신정 터 제주기상청 신청사 건립 논란 불거져청사 건립 철회되고 제주성 정비계획·공신정 복원 추진역사문화 경승지로서 경관 살리도록 큰 틀서 접근해야 일제가 허문 것은 성문과 성곽만이 아니다. 제주성과 관련…

[천년의 유산 제주城을 살리자(9)/제2부-사라진 성, 훼손된 성곽](3)성문이 사라지다

1914년 동문·서문 사라지고 간성 2문도 없애제주성 원형 회복 위한 학술규명·관심 절실 제주시 남문로터리 근처 한짓골 진입부. 지금은 쇠락한 도심의 뒷골목이지만 이곳은 제주성의 중심 도로로 관덕정을 향하는 길목이었다.…

[천년의 유산 제주城을 살리자(8)/제2부-사라진 성, 훼손된 성곽](2)도로가 뚫리다

일제 제주성 파괴 시작 해방공간까지 절반 이상 멸실도로 하부는 성곽 기단부 생생… 규명작업 뒤따라야 최근 일제 패망 후 제주에 주둔한 미군정이 남긴 한 장의 지도가 발굴돼 관심을 모았다. '산지항축항도', 영문으로는 T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