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부실장은 이 대표가 전남 지역 국회의원일 때 지역구를 관리하는 비서관으로서 인연을 맺었다.
2014년 전남지사 선거 때 자금, 조직 등의 업무를 담당했던 그는 공직선거법 위반(당비 대납 혐의)으로 유죄 판결을 받고 1년 2개월 실형을 살기도 했다.
이낙연 당시 전남지사는 2015년 12월 그를 정무특보로 기용했다. 출소 4개월만에 이뤄진 이 인사를 두고 지역에서는 공무원 임용 규정 위반 및 보은·특혜 인사 논란 등이 있었다.
이 부실장의 당비 대납 혐의와 보은 인사 논란은 2017년 이낙연 총리 후보자의 인사청문회에서도 야당에 의해 쟁점이 됐다. 야당은 당시 "상식적으로 보좌관과 측근이 상관을 위해 5천만원을 쓴 게 말이 되냐"며 대납 당비의 출처를 추궁했다.
이 부실장은 청문회 증인으로 채택됐으나 불출석했다.
이 대표가 총리가 된 뒤 일선에 물러났던 이 부실장은 지난 4·15 총선 때부터 본격적으로 활동을 재개했다. 그는 종로 선거 사무실에 상주하며 조직 관련 업무를 담당했다고 한다.
이후 8·29 전당대회에서 이 대표가 당선된 이후엔 여의도로 와서 대표 비서실 부실장으로 활동해왔다.
그러다 지난 10월 옵티머스 복합기 대납 의혹 사건이 처음 보도되면서 위기에 봉착했다.
옵티머스 관련 회사인 트러스트올이 지난 2∼5월 이 대표의 종로구 사무소 복합기 사용 요금 76만원을 대납한 사건이다. 복합기 사용료를 대납한 트러스트올 관계자가 이 부실장의 지인이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대해 이 대표 측은 그동안 복합기는 참모진이 지인을 통해 빌려온 것으로,지인이 트러스트올과 연관이 있다는 것은 보도를 통해 알았으며 회계 보고 때 복합기가 누락된 것은 실무진의 착오라고 해명해왔다.
서울시선관위는 지난달 이 부실장을 정치자금법 위반 혐의로 고발했고, 이 부실장은 최근 검찰 조사를 받았던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더불어민주당 이낙연 대표는 4일 측근인 이모 당대표 비서실 부실장이 옵티머스의 복합기 임대료 지원 의혹 등으로 검찰 조사를 받다 숨진 채 발견된 것과 관련, "슬픔을 누를 길이 없다"고 밝혔다.
이 대표는 "유가족에게 어떻게 위로를 드려야 할지 모르겠다"며 이같이 말했다고 대표 비서실장인 오영훈 의원이 기자단에 보낸 문자 공지에서 전했다.
오 의원은 "고인은 9월부터 당대표실 부실장으로 일했고, 최근 서울중앙지검 소환조사에 성실히 임해왔다"고 밝혔다.
또 "확인 결과 고인은 12월 2일 소환 조사 도중 저녁 시간을 위한 휴식 시간에 부인에게 마지막 전화를 하고 연락이 두절된 상태였다"며 "고인의 명복을 빌며, 유가족께 깊은 위로를 드린다"고 했다.[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