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감귤 계통출하 올해도 '지지부진'

제주감귤 계통출하 올해도 '지지부진'
2017년산 상품 28만t 중 43.8% 수준 머물러
인력난 등 영향 밭떼기·직거래 증가로 제자리
감귤혁신 5개년 계획 70% 확대는 "희망사항"
  • 입력 : 2018. 03.13(화) 17:04
  • 조상윤 기자 sycho@ihalla.com
  • 글자크기
  • 글자크기
제주산 노지감귤 출하시 농·감협을 통해 이뤄지는 계통출하가 지지부진한 것으로 나타났다.

 13일 제주감귤출하연합회와 제주농협 등에 따르면 지난 11일 기준으로 2017년산 노지감귤의 출하실적은 상품용 26만3844t을 비롯 수출 1803t, 가공용 7만1916t, 군납 등 3217, 기타 8만225t 등 42만1005t으로 집계되고 있다. 생산예상량 41만t을 조금 웃도는 물량이다. 이 중 도외상품 출하량은 계획량 28만t의 96.0%에 달하고 있다. 이 중 지역농협과 감협 등 생산자단체를 통한 계통출하는 11만7817t으로 출하량의 43.8%에 지나지 않고 있다. 2016년산 계통출하 비율(43.4%)와 비슷한 비율이며, 2015년산(48.1%)에 비해서도 5%p 가량 낮은 수준이다.

 1990년대와 2000년초만하더라도 70%를 넘어섰지만 2005년산과 2010년산 52.1%로 50%를 겨우 유지했었다. 이후 2013년산 45.0%로 낮아진 뒤 2014년산 45.9% 등 40% 중반대에 머물렀다.

 계통출하가 늘지 않는 것은 상인들에 의한 밭떼기가 거래와 함께 영농법인의 택배 등 직거래판매가 증가하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되고 있다. 특히 감귤 농가의 고령화 및 소규모 경작 등으로 감귤 수확 인력 부족 등 현실적으로 계통출하가 어렵기 때문으로 분석되고 있다. 이를 타개하기 위한 다양한 시책이 전개되고 있지만 이 역시 현장과의 괴리로 인해 효과는 미미하다는 지적이다.

 농협 계통출하 점유율이 늘지 않으면서 감귤 유통주체간 조직화 미흡으로 시장교섭력 약화는 물론 출하량 조절을 통한 감귤가격 지지 효과도 제한적일 수 밖에 없다는 것이 수년째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따라서 2015년 '제주감귤 혁신 5개년 추진세부실행계획'에 의한 감귤 계통출하 점유율을 70%로 확대하겠다는 행정과 농협의 계획은 '유명무실'해지고 있다는 비판으로 부터 자유스럽지 못하게 됐다.

 제주농협관계자는 "수확기 인력지원 확대와 수급조절을 위한 감귤계약출하제도 도입 등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 글자크기
  • 글자크기
  • 홈
  • 메일
  • 스크랩
  • 프린트
  • 리스트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기사에 대한 독자 의견 (0 개)
이         름 이   메   일
2979 왼쪽숫자 입력(스팸체크) 비밀번호 삭제시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