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라일보] 고령화된 해녀 사회는 단순한 직업군의 소멸을 넘어 마을 공동체의 붕괴를 의미한다. 해녀는 단지 해산물을 채취하는 노동자가 아니라, 바다와 공존하는 지혜를 지닌 생태 관리자였기 때문이다.
수온 상승으로 소라와 전복의 서식지가 줄어들고, 연안 개발로 갯바위 생태계가 훼손되고 있다. 예전에는 해녀들이 계절과 조류를 읽으며 자원 채취량을 조절했지만 이젠 그 역할을 이어갈 사람이 점점 줄어든다. 해녀들이 세대에 걸쳐 쌓아온 바다의 경험과 기술은 급속히 사라지고 있으며, 이는 곧 지역 생태계의 균형이 무너지는 신호이기도 하다.
해녀 문화는 2016년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됐지만, 그 이름만 남고 실제 현장은 점점 비어가고 있다. 보존의 이름으로 기념비를 세우는 것보다, 해녀들이 지속적으로 생계를 이어갈 수 있는 해양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우선이다.
해녀의 전통 지식과 공동체 운영 방식은 지속 가능한 해양 관리의 중요한 모범이 될 수 있다. 마을 단위의 해양보호구역 관리, 생태관광 연계 프로그램, 해녀학교 운영 등 실질적 지원책이 절실하다.
해녀를 문화유산으로만 바라보는 시각에서 벗어나 해녀 공동체를 지역의 생태 회복과 연계해 바라보고, 성산읍 오조리처럼 해녀의 지혜가 깃든 마을을 중심으로 지속가능한 모델을 만들어야 한다. <고기봉 서귀포시 성산읍주민자치회 위원>
■기사제보▷카카오톡 : '한라일보' 또는 '한라일보 뉴스'를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 064-750-2200 ▷문자 : 010-3337-2531 ▷이메일 : hl@ihalla.com
▶한라일보 유튜브 구독 바로가기